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04:01:12

내남단층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 수도권
추가령 구조곡( 신갈단층 · 왕숙천단층)
<rowcolor=#000> 경상도
양산단층 · 밀양단층 · 내남단층
}}}}}}}}} ||
<colbgcolor=#000><colcolor=#fff> 내남단층
內南斷層 | Naenam Fault
파일:내남단층.png
▲ DCF는 덕천단층, YSF는 양산단층을 뜻한다
깊이 10~16km
면적 38.44km2
최대 발생
가능 규모
Mw 5.6 ~ Mw 6.1
1. 개요2. 상세3. 지진활동

[clearfix]

1. 개요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에 위치한 최대길이 6.2km의 단층. 2016년 경주 지진의 원인이 된 단층이다.
SBS뉴스

2. 상세

지진 발생 이후 정부 주도로 작성된 보고서[1]에 따르면 깊이는 10~16km이며 최대 길이는 6.2km이다. 보수적으로 해석하여 단층의 가로-세로 비를 1:1로 했을 경우 최대 면적은 38.44km2이다.

파열면적-최대규모지진 경험식에 의해 구해진 최대 발생 가능 규모는 모멘트 규모(Mw) 5.6 이지만, 95% 신뢰구간에서 보수적으로 계산한 최대 발생 가능 규모는 Mw 6.06(6.1) 이다.

2016년 경주 지진이 Mw 5.5로 평가받기 때문에 경험식에 의해 구해진 최대 모멘트 규모 수준의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보수적인 수준의 최대 규모인 Mw 6.1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지진 에너지의 특성상 2016년 경주 지진에 비해 최대 7.943 배 강한 지진이 보수적으로는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만약 이 단층에서 보수적으로 설정한 최대치인 모멘트 규모 6.1의 힘이 쌓여있다면, 2016년 경주 지진이 최소 7번은 발생해야 모두 해소된다는 뜻이다.

3. 지진활동

1978년부터 지진을 관측하기 시작한 기상청 기록에 따르면 2016년 경주 지진의 규모 5.1 전진이 발생하기 전까지 이 단층에서 발생한 지진은 없다. 다만 2016년 경주 지진 이후 2024년 현재까지도 규모 1.0~2.0 수준의 여진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1] 원전 설계기준 재평가를 위한 '16.9월지진 지진원 특성조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