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be673> 초대 | 제2대 | 제3대 | 추존 |
김주원 | 김종기 | 김정여 | 김양 | |
<rowcolor=#fbe673> 명주도독 | ||||
김선희 | ||||
}}}}}}}}} |
김주원 관련 틀
|
|||||||||||||||||||||||||||||||||||||||||||||||||||||||||||||||||||||||||||||||||||||||||||||||||||||||||||||||||||||||||||||||||||||||||||||||||||||||||||||||||||||||||||||||||||||||||||||||||||||||||||||||||||||||||||||||||||||||||||||||||||||||||||||||||||||||||||||||||||||||||||||||||||||||||||||||||||||||||||||||||||||||||||||||||||||||||||||||||||||||||||||||||||||||||||||||||||||||||||||||||||||||||||||||||||||||||||||||||||||||||||||||||||||||||||||||||||||||||||||||||||||||||||||||||||||||||||||||||||||||||||||||||||||||||||||||||||||||||||||||||||||||||||||||||||||||||||||||||||||||||||||||||||||||||||||||||||||||||||||||||||||||||||||||||||||||||||||||||||||||||||||||||||||||||||||||||||||||||||||||||||||||||||||||||||||||||||||||||||||||||||||||||||||||||||||||||||||||||||||||||||||||||||||||||||||||||||||||||||||||||||||||||||||||||||||||||||||||||||||||||||||||||||||||||||||||||||||||||||||||||||||||||||||||||||||||||||||||||||||||||||||||||||||||||||||||||||||||||||||||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신라의 명주군왕
김주원 | 金周元 |
|||
|
|||
김주원의 묘 전경. | |||
출생 | 연대 미상 | ||
신라 | |||
사망 | 780년? (향년 불명) | ||
신라 | |||
묘지 | 김주원묘 | ||
재위 | 명주군왕 | ||
768년 ~ 미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본관 | 경주 김씨 → 강릉 김씨(시조) | |
휘 | 주원(周元) | ||
부친 | 김무월랑(金無月郞) | ||
모친 | 연화낭자[1] | ||
아들 | 김종기, 김헌창, 김신 | ||
작위 | 명주군왕(溟州郡王) | ||
봉지 | 명주군(溟州郡) | ||
골품 | 진골(眞骨) | }}}}}}}}} |
[clearfix]
1. 개요
통일신라의 진골 귀족이자 무열왕계 강릉 김씨의 시조로 김헌창의 난을 일으켰던 김헌창의 아버지였다. 현대의 신라계 김씨 대부분이 내물왕계인 것과 달리 김주원은 태종 무열왕 직계였다.작위인 '명주군왕' 중 명주는 현 강릉시 일대의 옛 이름으로 여기서 따온 이름의 행정구역도 있었다. 군왕(郡王)은 제후왕이라는 뜻이다.
학계에서는 이 작위가 실제 내려졌는가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본다. 명주군왕이란 작위는 《 삼국사기》나 《 삼국유사》에서 전혀 찾아볼 수 없으며, 가장 이른 명주군왕에 관한 기록이 조선 시대에 쓰여진 《 동국여지승람》인데, 지리서의 특성상 당대까지 내려오던 전설을 참고하여 집어넣었을 가능성이 높다. 신라에서 갈문왕같이 명예직으로서 왕작을 내린 흔적은 있어도 군왕같은 제후왕의 작위를 내린 기록은 전혀 없다.
또한 태종 무열왕의 5세손이라는 것만 확실할 뿐, 김주원의 가계가 정확히 어떤지는 분명하지 않다. 확실한 것은 무열왕의 차남 김인문의 후손이라는 점뿐인데, 이는 보령시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에서 김주원의 증손자 김흔이 자기 조상이 김인문이라고 했기 때문이다.
때마침 왕자 흔(昕)은 벼슬에서 물러나 은거하며 산중(山中)의 재상(宰相)으로 불렸는데, 우연히 바라는 바가 합치되었다. (흔이) 말하기를 "스님과 나는 함께
용수(龍樹) 을찬(乙粲)을 조상으로 하고 있으니, 스님의 안팎으로 모두 용수(龍樹)의 자손입니다. 참으로 놀라워 감히 미칠 바가 못 됩니다. 그러나 바다 밖에서 함께 했던 일이 있으니 옛적의 인연이 결코 얕다고는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지금 웅천주(熊川州) 서남쪽 모퉁이에 절이 하나 있는데 이것은 나의 조상인
임해공(臨海公){휘(諱)는 인문(仁問)이고,
당나라가
예맥(濊貊:
고구려를 말함)을 정벌할 때에 공이 있어서 임해공(臨海公)으로 봉해졌다.}께서 봉토로 받은 곳입니다.
會王子昕懸車爲山中宰相 邂逅適願 謂曰 師與吾俱祖龍樹乙粲 則師內外爲龍樹令孫 眞瞠若不可及者 而滄海外躡蕭湘故事 則親舊緣固不淺 有一寺在熊川州坤隅 是吾祖臨海公(祖諱仁問唐醻伐獩貊功封爲臨海君公)受封之所
會王子昕懸車爲山中宰相 邂逅適願 謂曰 師與吾俱祖龍樹乙粲 則師內外爲龍樹令孫 眞瞠若不可及者 而滄海外躡蕭湘故事 則親舊緣固不淺 有一寺在熊川州坤隅 是吾祖臨海公(祖諱仁問唐醻伐獩貊功封爲臨海君公)受封之所
허균의 《별연사고적기》에 따르면 김주원의 아버지 무월랑은 왕의 동생으로 나오고, 김주원의 동생이 원성왕으로 나오는 등 신빙성이 떨어지는 기록이 보인다. 이들의 원사료가 된 것으로 보이는 《고려사》에서는 무월랑, 연화부인, 김주원, 원성왕 등의 이름이 전부 누락되어 있다
《 동사강목》에 의하면 김주원의 아버지 무월랑은 본명이 김유정(惟靖)으로, 《삼국사기》에서는 유성, 《삼국유사》에서는 위정으로 적혀 있어 각간 직위를 지녔으며, 혜공왕의 첫 번째 장인이었다. 그러나 김주원의 아버지가 김유정이라는 기록은 조선 후기에나 가서야 나오기 때문에 김주원의 아버지 무월랑이 정말 김유정과 동일인인지는 논란이 있다.
아무튼 그가 전국을 유람하며 수련하던 중 명주의 명문가 박씨의 딸 연화부인과 인연을 맺어 결혼했던 일화가 있는데, 후에 정계에서 세력을 잃게 된 김주원은 자신의 외가가 있는 명주로 물러나게 된다. 이때 원성왕은 비록 왕위에서 밀렸지만 여전히 큰 세력을 지닌 김주원을 달래기 위해 '명주군왕'이라는 작위를 내리고 명주, 익령( 양양군), 삼척, 근을어(평해), 울진 등을 떼어 식읍으로 내주는 등 명주 지역을 거의 김주원의 봉토로 인정해주었다. 물론 이 또한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명주군왕이라는 작위는 사료와 교차검증이 안 된다.
일단 《 삼국유사》 <탑상>편의 조신의 꿈에서 김주원의 증손 김흔의 작위가 명주 태수로 나온다. 명주 지역을 거점으로 한 것 자체는 사실로 보인다. 이후 김주원의 후손들은 강릉을 본관으로 삼았는데, 이것이 바로 강릉 김씨의 시작이라고 한다.
《강릉 김씨 족보》에서는 무열왕의 3남 김문왕의 아들 김대충의 아들 김사인(金思仁)의 아들 김유정(金惟正)의 아들이 바로 김주원이라고 기록하고 있으나, 족보가 으레 그러하듯 교차 검증이 불가능하므로 신뢰에 신중해야 한다. 당장 김주원의 고조부가 김인문이 아닌 김문왕이라고 적은 것이 의문인데 그 이후가 얼마나 사실에 가까운지 알 방법은 없다.
2. 생애
본래 중대 신라 왕위는 무열왕계가 계승하다가, 혜공왕과 그 일가가 김지정의 난으로 몰살당하면서 김양상이 선덕왕으로 즉위하게 된다. 다만 선덕왕은 모계로 무열왕의 혈통을 잇고 있었고, 이후 하대 왕들과도 혈통이 따로 놀기 때문에 과도기적 왕이라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무열왕계와 원성왕 이후의 신라 왕들은 무열왕부터 이미 갈라졌지만, 선덕왕은 성덕왕 때 갈라졌다.선덕왕도 후사가 없었기 때문에 그 뒤를 먼 왕족 중에서 찾아야 했는데, 애초 혜공왕과 같은 무열왕계인 김주원은 본디 귀족들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선덕왕의 뒤를 이을 왕위 계승권자였고, 선덕왕이 죽자 귀족들은 김주원을 불러서 왕위를 잇게 하려고 하였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마침 그 날 금성에 비가 많이 와서 홍수가 났다. 김주원의 집에서 궁에 가려면 알천(현재는 북천이라 부른다)이란 강을 건너야 했는데, 물이 불어버린 바람에 며칠동안 알천을 건너지 못해 화백회의에 참석하지 못했다.
결국 뒤늦게 홍수가 잦아들고 나서 왕궁에 가보니, 그 사이에 왕위는 내물왕계인 정적 상대등 김경신이 집어삼켜 원성왕으로 즉위한 이후였다. 옛날에는 왕도 하늘이 내리는 것이라며, 자연재해 때문에 즉위식에 가지 못한다면 하늘이 왕으로 인정하지 않은 것으로 여겼다는 이야기도 있다. 예를 들어 부여에선 천재지변이 일어나면 그 책임을 왕에게 물어서 왕을 죽였다고 하고 조선에서도 큰문제가 생기면 왕이 덕이 없어서 그렇다는 말이 자주 나왔다.
선덕왕이 돌아가셨는데, 아들이 없었다. 여러 신하들이 논의한 후에 왕의 족자(族子, 친족) 주원(周元)을 임금으로 세우려고 하였다. 그때 주원은 수도 북쪽 20리 되는 곳에 살았는데, 마침 큰 비가 내려 알천(閼川)의 물이 불어나 주원이 건너올 수 없었다. 어떤 이가 말하였다.
“임금이라는 큰 지위는 진실로 사람이 마음대로 할 수 없는 것인데, 오늘 폭우가 내리니 하늘이 혹시 주원을 임금으로 세우려 하지 않는 것이 아닌가? 지금의 상대등 경신은 전 임금의 동생으로서 덕망이 높고 임금의 체통을 가졌다.”
이에 여러 사람들의 의견이 일치하여, 경신에게 왕위를 계승하도록 하였다. 얼마 후 비가 그치니 백성들이 모두 만세를 불렀다.
《삼국사기》 제10권 신라본기 제10 원성왕
“임금이라는 큰 지위는 진실로 사람이 마음대로 할 수 없는 것인데, 오늘 폭우가 내리니 하늘이 혹시 주원을 임금으로 세우려 하지 않는 것이 아닌가? 지금의 상대등 경신은 전 임금의 동생으로서 덕망이 높고 임금의 체통을 가졌다.”
이에 여러 사람들의 의견이 일치하여, 경신에게 왕위를 계승하도록 하였다. 얼마 후 비가 그치니 백성들이 모두 만세를 불렀다.
《삼국사기》 제10권 신라본기 제10 원성왕
그러나 기록상의 계절은 정월 13일, 양력 2~3월인데 이 계절은 태풍도 없고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 가장 건조한 시기라 홍수가 일어날 가능성은 극히 낮다. 김주원이 홍수 때문에 왕위를 포기했다는 것도 납득되지 않는 설명이다.
학자들은 김주원의 정적이었던 김경신이 먼저 자신의 지지세력과 함께 궁을 점령, 조정의 권력을 장악하여 김주원의 세력을 약화시켰기에 김주원이 왕위 쟁탈전에서 밀려난 것이라고 본다. 아무튼 김경신은 즉위해서 원성왕이 된다.
김주원이 명주로 일가를 이끌고 갈 때 그 행렬이 아주 크고 성대해 볼 만했다고 한다. 왕위를 다투던 최고 귀족 가문이었으니 그랬을 것이다. 그렇게 이주하던 중 어떤 산에 머물렀는데 그 산이 지금의 주왕산이라고 한다. 전설에 따르면 주왕산에서 공부를 하였으며, 고려의 군사를 막기 위해 주왕산성을 쌓았다는 전승도 있다. #
다만 김주원이 명주로 물러났음에도 그의 영향력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라 아들들은 수도 금성의 정계에 계속 남았다. 첫째 김종기는 시중을 지내는 등 고위직을 역임했다. 하지만 둘째 김헌창이 김헌창의 난을 일으키고 그 아들 김범문의 난이 연이어 일어나면서 무열왕계는 6두품으로 강등되었다(족강일등).
이는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에 따른 것인데, 정작 사서에서 김주원의 후손인 김흔과 김양은 이후에서 진골의 직위를 차지하는 기록이 나타난다. 위에서 언급된 바에 따르면 낭혜화상은 태종 무열왕의 후손은 맞지만 김인문의 후손은 아닌데 이를 보면 김문왕, 김노차, 김인태, 김지경, 김개원 중 하나를 조상으로 두는 것으로 보이고 이들이 족강될 때 김주원 일파는 숙청 기류에서 피해간 것으로 보인다.
이후 첫째 김종기의 후손은 김종기의 손자로 신무왕 옹립에 공을 세우고 문성왕 대 권신으로 자리매김했던 김양 및 그의 사촌인 김흔 때 대가 끊겼고 둘째 김헌창의 후손은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반란으로 그 아들인 김범문 때 멸족된다. 다만 김주원 본인 및 나머지 일가는 김헌창이 반란을 일으킨 웅천주( 웅주)와는 완전히 국토 반대편인 하서주(명주)에 있었고 반란에 참여하지 않았으므로 달리 처벌받지는 않았다.
후삼국시대 명주의 호족이었던 김예(金乂)가 그의 후손이다. 김예는 고려 건국 과정에서 공을 세워 왕씨 성을 하사받아 왕예가 되었다. 단 고려에서 왕씨를 사성받은 사람들은 고려 멸망 이후 조선에서 본래 성 강릉 김씨로 복성했다. 초기 조선은 왕씨를 숙청했는데 실제 왕씨가 아닌 사성 왕씨까지 그럴 필요는 당연히 없었기 때문.
한편 김예 이외에 궁예를 지지했던 명주의 호족 왕순식이 김주원 후손이라고 태조 왕건 드라마를 비롯한 여러 매체의 영향으로 알려져 있는데 순식이 김주원의 후손이라는 당시 기록은 없다. 고려 대에 왕건에게 신뢰의 증표로 개성 왕씨를 하사받아( 사성정책) 왕순식으로 개명했던 것인데 명주의 호족이라는 점과 원래 왕씨가 아니었다는 점, 위의 김예와 같은 명주 지방 호족이었기 때문에 김주원의 후손이지 않았겠냐는 의심이 있으나 사서에는 이에 대한 기록이 없다. 김주원의 셋째 아들의 후손이라는 서술은 일단 셋째 아들의 존재부터가 정식 사서와 교차검증되지 않은 정보이다.
강릉시 성산에 명주군왕릉이 있다.
[1]
성은
박씨이고, 명주(강릉)일대에 살았던 사람인데, 당시 명주에 볼 일이 있었던 김주원의 아버지인 무월랑이 첫 눈에 반한 사람이 있었다. 이 사람이 바로 연화낭자다. 하지만 무월랑은 명주에 공부를 하러 온것이지, 거기에 살 목적이 아니었기에 자신의 고향이자 수도인
경주시로 돌아가게 된다. 이렇게 둘의 상봉(相逢)은 끝나는 줄 알았으나, 연화낭자의 그리움이 담긴 편지를 잉어에게 띄워 결국 무월랑에게 닿는다. 이렇게 둘은 경주에서 재회하고 혼인하였으며, 이 둘의 아들이 바로 명주군왕(溟州郡王) 김주원이다. 이 설화가 바로 강릉지역에 유명설화인 월화정 설화이다.
월화정 정자의 위치는 강릉 남대천 암상에 2층에 위치해 있다. 1940년 동해 복부선 철도 부설로 철거되었지만, 2003년 당시 자료의 고증을 통해 강릉 김씨 대종회에서 복원하고 오늘날 까지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