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15:17:58

김재중/여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김재중

파일:JJ로고.png
[ 음반 목록 ]
||<-4><bgcolor=#fff>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파일:원키스.png
2013. 01. 08.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I로고w.png
2013. 01. 17.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2751C"
파일:Y로고.png
2013. 02. 2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햇살좋은날.png
2013. 10. 15.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파일:김재중butterfly.png
2013. 10. 2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c2976d"
파일:WWW.png
2013. 10. 2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ece6cc"
파일:www.png
2014. 01. 2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파일:그거알아.png
2016. 01. 2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noxw.png
2016. 02. 1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애요.png
2020. 01. 1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907EAE"
파일:본진.png
2022. 09. 13.
<nopad>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I AM U
2024. 06. 11.
<nopad>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dfdfdf"
파일:flowergarden.png
2024. 06. 2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김재중sign.png
2018. 06. 27.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defiancelogo.png
2018. 10. 2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flawlesslove.png
2019. 04. 1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럽커버즈.png
2019. 09. 25.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rayoflight.png
2020. 01. 18.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brava.png
2020. 03. 1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lovecovers2.png
2020. 07. 2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breakingdawns.png
2020. 10. 1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브던.png
2021. 03. 3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육등성로고화이트여백.png
2022. 06. 2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fallinboww.png
2022. 11. 0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파일:lovecovers3.png
2023. 11. 01.
[ 참여 음반 ]
||<-4><bgcolor=#fff>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김재중/음반 목록#No Gain|{{{#!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 #acaba7"
2012. 05. 15.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김재중/음반 목록#해 뜰때까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 #1d1d1d; word-break: normal"
2012. 11. 0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김재중/음반 목록#On My Mind|{{{#!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 #0e375a"
2013. 10. 3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5F5A47"
[[김재중/음반 목록#s-5.1.1|{{{#!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F5A47; color: #ffffff"
2006. 02. 2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김재중/음반 목록#s-5.1.2|{{{#!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 #3E5C8A"
2010. 09. 1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김재중/음반 목록#s-5.1.3|{{{#!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 #616A78"
2011. 08. 1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김재중/음반 목록#s-5.1.4|{{{#!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 #544344"
2012. 05. 25.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김재중/음반 목록#s-5.1.5.1|{{{#!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 #402005"
2014. 06. 0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김재중/음반 목록#s-5.1.5.2|{{{#!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 #AA4302"
2014. 07. 2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김재중/음반 목록#s-5.1.6|{{{#!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 #3B956A"
2020. 09. 08.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김재중/음반 목록#s-5.1.7|{{{#!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 #3F554A"
2020. 10. 28.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김재중/음반 목록#s-3.4.1|{{{#!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 #145736"
2021. 07. 2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김재중/음반 목록#s-5.1.8.1|{{{#!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 #321D55"
2022. 08. 2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김재중/음반 목록#s-5.1.8.2|{{{#!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 #321D55"
2023. 05. 05.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김재중/음반 목록#s-5.3.1|{{{#!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 #0A220E"
2007. 08. 0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김재중/음반 목록#s-5.2.1|{{{#!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 #BD3323; word-break: normal"
2009. 09. 1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김재중/음반 목록#s-5.2.2|{{{#!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 #75AD45"
2009. 09. 30.
[ 출연 작품 ]
||<-4><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fff> ||
파일:후지 테레비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솔못병기.png

박성수
2010
파일:SBS 텍스트 로고.svg

파일:보스를지켜라.png

차무원
2011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파일:닥터진.png

김경탁
2012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파일:트라이앵글.png

허영달
2014
파일:악녀1.jpg
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파일:스파이타이틀.png

김선우
2015
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파일:맨홀.png

봉필
2017
파일:닛폰 테레비 로고 화이트.svg

파일:와루.png

카메오
2022
파일:영화 스바루 포스터.jp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태극기휘날리며.webp

중공군
200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베케이션.png

재중
2006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subarut.png

본인
200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천우배.png
신재준
200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더데이t.png

본인
20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자칼이온다로고흑백.png

최현
20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온더로드t.png

본인
2022
[ 관련 문서 ]
||<|5><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c2976d><colcolor=#fff>
활동
||<-2><|2><width=30%> ||<|2><-2><width=30%> ||<-2><width=30%>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1. 개요2. 취미3. 취향4. 성격5. 별명6. 일본어7. 인기8. 락병9. SNS10. 서명11. 타투12. 기타

[clearfix]

1. 개요

김재중의 데뷔 후 여담을 정리한 문서.

2. 취미

취미는 요리다. 초등학교 6학년 때 감자탕을 만들었다고 한다.[1] 어머니 어깨너머로 보고 배운 실력이라는 듯. 뛰어난 요리 실력으로 인해 그룹 시절에는 주방 일을 거의 도맡아했다. 앞치마가 위화감 없이 잘 어울린다. 예전에는 레시피를 보지않았지만 요즘은 인터넷 레시피 검색을 많이 한다고.

요리를 잘할뿐만 아니라 깔끔하게 한다. 요리할때 본인만의 순서대로 재료를 넣고 예쁘게 끓이기 때문에 누가 와서 국자로 휘저어 놓으면 화가난다고 한다. SNS에 올려주는 음식 사진들을 보면 하나같이 정갈하게 플레이팅 되어 있어서 성격을 짐작할 수 있다. 된장찌개, 김치찌개 정도는 기본적으로 할 수 있고, 양지머리로 고깃국을 끓이고 대하찜을 해먹고 SNS에 사진을 올려준다. 사진을 올릴 때 종종 팬들에게 요리 팁도 알려준다.[2] 요리 모음집
스트레스 받을때 멍하게 TV만 보고 인터넷만 하고 무료하게 지내는 것보다는 반찬을 세 가지 정도 만들다보면 스트레스가 풀린다고 한다. 채널A <신랑수업>방송에선 아내가 될 사람은 몸만 오면 된다고 언급할 정도로 본인이 스스로 요리와 집안일을 도맡아하고 싶다고 말했다.

2010년 일본 방송에서 가츠동을 만들어 드라마 촬영 스태프들에게 선물하기도 했다. # 참고로 이 가츠동을 맛본 사람들 중에는 에이타도 있었다. 에이타는 "재중 밸런스가 훌륭하다"고 칭찬했다.

드라마 < 보스를 지켜라>에서는 작가가 차무원 역할을 맡은 재중의 팬들을 위한 서비스 정신을 발휘했는지 서나윤(왕지혜)을 대신해 뚝딱뚝딱 요리하는 장면이 나왔다. 앞치마까지 두르고 칼질하고 한 손으로 프라이팬을 돌리는 모습을 보고 서나윤(왕지혜)이 "무원아, 너는 출구가 없구나."라는 감탄사까지 내뱉었다.

2013년 1월, 한국에서 열린 첫 솔로 콘서트 겸 생일 팬미팅에서 라볶이를 끓여서 팬들을 무작위로 추첨해 먹이는 코너를 가지기도 했다.

친한 지인들에게 자주 요리를 해서 대접하며, 가부장적인 성격이 강한 일본에서 이 점이 특이한 지 방송에서도 요리를 몇 번 했었고 이야기 소재로도 많이 사용했다. 방송에서도 몇번 뛰어난 실력을 보여줬는데, 2008년에 channel-a에서 타코야키를 만들었을때는 예쁘고 맛이 좋아 멤버들 중 1위를 차지했다. 일본 스페이스 샤워TV에서 한 '요리가 능숙할 것 같은 남성 뮤지션 베스트10'에서는 2위에 재중이 랭크되었다.

메종이라는 잡지와의 인터뷰에서도 본인의 집을 소개하면서 알리오 올리오를 요리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으며 소속사인 씨제스 엔터테인먼트가 제작한 '수확여행'이라는 프로그램에서도 김준수 박유천이 고군분투하며 닭요리를 만드는 동안, 익숙한듯 빠르고 쉽게 닭볶음탕을 만들었다. 나중에 유천 준수는 재중이 만든 닭볶음탕을 먹으며 감탄을 금치 못했다. 2014년 NYLON 잡지 인터뷰에서는 개인적으로 요리 자격증을 따고 싶으며 책을 내고 싶은 생각도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일본에서 두 권의 레시피북을 출간했다.

배우 진이한이 본인 집에 와서 석박지를 한 입 먹어보더니 설렁탕 집에서 파는 것 아니냐고 반응을 보인 적이 있었고, 다른 지인들도 김재중의 요리가 맛있다고 인터뷰에서 밝히기도 했다. 과거에는 조미료를 쓰지 않았고 그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최근에는 조미료를 좋아하고 잘쓰는 모습을 보여줬다.

김치까지 손수 담글정도로 요리에 통달했지만 유독 양식에는 약한 모습을 보인다. 평소에 양식을 즐겨먹지않기도 한다. 그 외에는 계란말이를 어려워한다.

이처럼 요리를 잘하다보니 요리에 대한 자부심이 크다. 누군가에게 요리를 해줬을때 김재중이 요리를 잘한다는 사실에 의외라는 반응을 자주 보이는데, 그런 반응을 보면 괜히 자존심이 상한다고 한다. 김재중하면 당연히 요리왕이라는 인식이 생겼으면 좋겠다고.

3. 취향

  • 좋아하는 동물은 코끼리. 인도 같은 곳을 가면 자체적으로 팬들과 회사가 코끼리 굿즈를 선물해준다. 코끼리 모양의 아이템을 사서 트위터에 올리면 팬들이 보고 너도나도 같이 질러대서 품절 기록을 세우고 있다. 판매처들도 당황해서 아이돌은 대단하구나 하고 인증할 정도. 그래서인지 팬아트에 동물이 같이 그려지면 코끼리일 때가 많다. 팬사이트에서는 굿즈도 코끼리 모양으로 자체 제작한다.
2012년 5월, 태국 코끼리 멸종 위기를 걱정하는 트위터 멘션이 올라오자 해외 팬들이 '잴리펀트를 구하라!(Save the JAElephant!)'라는 프로젝트를 만들었다. 잴리펀트는 재중(Jaejoong)과 엘리펀트(Elephants)의 합성어다. 코끼리 보호를 위해 기부하는 프로젝트이다.
  • 과거 이상형은 손발이 예쁜 여자였다. 사람을 처음 보면 얼굴이 아니라 부터 보고 손톱 끝까지 꼼꼼히 챙겨보며, 손이 예쁘면 거기서 빛이 난다고 한다. 일본 방송에서는 이상형을 그림으로 그려달라고 하자 다른 멤버들이 얼굴을 그릴 때, 혼자서 손 하나만 그려놨다. 그런데 최근 2019년 연애의 맛에서 MC 중 한 명인 박나래를 지목하며 얼굴은 안 보고 매력적인 여자 그리고 내적인 미를 선호한다고 밝혔다. #
  • 사생으로 엄청난 고생을 겪었던지라 차량을 바꿔타면 모르지 않을까하는 마음에 수많은 차를 구매했었다. 갖고 있는 자가용 중 미디어를 통해 다양한 차종이 자주 목격되는데, 보유하고 있는 차종 중 하나가 람보르기니 무르시엘라고. 그리고 디스패치에 의해 논현동의 어느 대패삼겹살집에 외식을 하러 나온 모습이 찍혔는데 그때 몰고 온 차가 롤스로이스 레이스였다. 그렇지만 군 입대를 하기 전에 보유하고 있던 자동차들을 모두 팔았다고 한다. 기본적으로 JYJ 멤버들 모두 차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많기로 유명하다. 지금은 모두 처분했다고 한다.
  • 패션에 관심이 많고 실제로 옷을 잘 입고 다니는데, 한때 여성복에까지 관심을 가졌다. 좋아하고 자주 애용하는 패션은 니트에 청바지 그리고 부츠다. 유행을 선도하는 스타일이기보다는 자신만의 스타일이 확실하다. 편한 옷을 좋아하고 정장은 좋아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악세사리를 굉장히 좋아해서 공적으로든 사적으로든 매번 수많은 악세사리를 착용하고 다닌다.
  • 인테리어에 관심이 많다. 부모님께 저택을 구입해 선물할때도 본인이 직접 인테리어에 관여해 거동이 불편하신 부모님을 위해 편하면서도 세련된 인테리어를 선보였고, 2011년 11월 호 라이프 스타일 매거진 메종에서 새롭게 이사한 집의 인테리어를 공개한 적이 있다. 혼자 사는 남자의 집이라고 믿기 힘들 정도로 심플하고 럭셔리한 느낌 때문에 화제를 모았다. 잡지에 나온 곳은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최고급 빌라인데 지금은 이사를 가서 그곳에서 살지 않는다.
  • 맵고 짠 음식을 상당히 좋아한다고 알려져 있는데[3], 따뜻한 물에 겨자를 타서 먹거나 밥에 겨자를 비벼 먹거나 샌드위치 안에 고추장을 넣는 등 상당히 매니아적인 특이한 식성을 가지고 있다.[4] 싱거운 음식을 먹기 힘들 때 소금을 많이 타서 먹는다.[5] 과거 동방신기 시절 세계에서 가장 매운 부트졸로키아를 먹었을 때 요리해서 먹으면 맛있을 것 같다고 했다.[6]

4. 성격

화려한 외모 탓에 차갑고 냉정한 성격이라 보는 사람이 많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알면 알수록 된장국 같은 사람이라는 평이 주류. 동방신기 시절 이지적이고 과묵한 이미지가 강했는데 사실 SM에서 요구한 것이였다. 충청남도 공주 출신이라[7][8] 사투리가 남아있어 구수한 이미지로 보이면 안된다는 판단하에 데뷔 초 뜻하지 않은 묵언 수행을 했다고 한다.

활동하면서 조금씩 본색(?)을 드러내기 시작하자 입담도 함께 터졌다. 예능감이 좋은 편이라 동방신기 멤버들 중에서는 예능 출연 때마다 맹활약했다. 유재석이 진행하던 해피투게더 출연 때는 난데없는 태진아 성대모사로 빵 터뜨리는 장면도 보여주었다.[9] 게다가 자타공인 하체 부실로 자주 넘어진다거나 휘청거리면서 예능에서 스포츠를 하면 팀의 구멍이었다. 지구 중력때문이라고 뭐라나 이런 모습에 유재석이 예능 잘 한다며 매우 탐내는 모습을 보여주었다.[10] 심지어 2008년경 무한도전의 새 멤버로 영입 제안이 왔었다고 한다. 여기에도 아마 유재석의 추천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당시 소속사인 SM엔터테인먼트는 사투리마저 숨겨야 한다며 말을 하지 말라는 컨셉을 내릴 정도로 철저한 이미지 관리로 유명했는데, 쫄쫄이를 입고 뛰어다녀야 하는 무한도전에 자사 아이돌을 고정 출연시킬 리가 없어 무산되었다.[11] 동방신기의 일본 활동이 점점 궤도에 오르던 시기이기도 했고.

본인도 자신의 외모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오히려 먼저 다가가는 성격이라고 말했다. 그래서 '저 친구 이미지와 다르게 적극적이고 선한 친구구나'라는 말을 듣게 됐다고 한다. 가진것에 비해 굉장히 소탈하고 사람을 좋아하고, 누구나 부러워할 만한 친화력 배려와 매너를 가지고 있다. 같은 업계들을 물론이며 동네 사람들까지도 굉장한 인맥을 보여준다. 당근을 이용해 거래를 종종하며, 사람을 구해 같이 산책을 하거나 술 한잔을 하기도 했다고 한다. 과거 생일파티를 열었을 때도 대규모의 사람이 와서 축하해주었고 그 곳엔 홍석천을 비롯해 송승헌, 정석원, 영화 < 내 머리 속의 지우개> 이재한 감독, 한경, 야마시타 토모히사 등이 참석했다.

5. 별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재중/별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일본어

일본어를 정말 잘한다. 과거 동방신기 시절부터 일본 진출을 위해 일본어를 배우기 시작했다. 동방신기 시절 여러 토크쇼와 예능에 출연하고 이미 2009년에 일본 드라마에 출연했을 정도로 실력이 출중한 편이었지만, 중간에 에이벡스와의 마찰로 인해 일본 활동을 할 수 없었던 시절이 있었음에도 지금 실력이 비교도 안되게 는 모습이다. 단순히 일본어로 뜻을 표현하는 정도가 아니라 유창하게 농담과 진지한 말을 오가며 자연스러운 입담을 펼치는 수준으로 일본 내에서도 네이티브 급으로 평가받는다. 김재중은 언젠가 일본 활동을 재개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일본어를 잊지 않기 위해 현지 친구들과 꾸준히 연락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고 한다. 군대에 들어가서도 개인시간에 틈틈히 일본어 공부를 했다고 한다.

제대 후 본격적으로 일본 활동을 시작했고, 혼자서 다양한 예능과 토크쇼에 출연했다. 콘서트와 팬미팅에서도 따로 통역을 쓰지않고 적절한 유머를 섞어 분위기를 잘 이끌어 지루할 새가 없다는 평을 받는다. 특히 합동콘서트를 진행하고 오면 트위터에 재중의 일본어 실력에 놀랐고 토크가 재밌었다는 타팬들의 후기가 많이 올라온다.

7. 인기

파일:attachment/김재중/cdtv86hero.jpg
해외 인기가 압도적으로, 일본 여성이 뽑은 '남자 친구로 삼고 싶은 싶은 남자(CDTV 2010년 상반기/하반기)' 1위, 베스트 지니스트(2010년 3위, 2011년 2위)에 등극했다.(국내외 통산) 이 두 투표는 일본 내에서 3대 투표에 속하는 차트로서 인기의 지표가 되는 가장 권위 있는 투표로 꼽힌다. 나머지 하나의 투표는 잡지 앙앙의 '안기고 싶은 남자'인데 현재 행해지지 않고 있음을 고려하면 가장 신뢰도 있는 양대 투표라고 할 수 있다. 김재중은 이 차트에서 차근차근 올라와 결국 1위까지 기록하여 많은 사람을 놀라게 하였다. 외국인이 1위를 차지한 것은 16년 만에 처음이다. 일본에서 동방신기를 아는 일반인은 대체로 '한가운데에 있는 애가 잘생겼다'로 알고 있다. 동방신기에서 나온 이후 국외 활동을 잘 못하고 있지만, 현재에도 여전히 엄청난 인기를 자랑한다. 참고로 2011년 일본 트위터 유명인 랭킹에서 화제의 일본 국민 걸그룹 AKB48에 이어 2위를 기록하였으며, 개인으로서는 1위의 기록이다.

2014년 일본에서 시행된 K-POP 이케멘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일본에서는 기존 팬을 위주로 콘서트밖에 활동하지 못했는데도. 1위로 뽑힌 이유가 여러 팬을 공감의 도가니에 빠트렸다.[12]

해외의 한 팬은 그저 예쁘게 생겼기 때문이 아닌, 노래, 연기 등에서 팬들에게 또 다른 즐거움을 주는, 단순한 아이돌에 국한된 것이 아닌 엔터테이너적인 모습이 큰 인기의 요인일 거라는 평을 내렸고, 많은 팬의 공감을 샀다.

8. 락병

연예인병보다 무섭다는 락병에 4년간 걸렸다고 고백했다. 평소 좋아하던 을 자주 듣고, 아이돌에서 솔로 아티스트로 변화하는 시점에서 걸렸다고 볼 수 있다. 당시에는 뭐든지 다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고 다 이루어질 것 같았다며 일명 나르시시즘에 취해있었다고 말했다.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눈빛부터 말투, 걸음걸이, 패션 등 하나하나가 지금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 시절을 그리워 하는 팬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에 본인이 40대즈음에 갱년기가 온다면 처방제 역할로 한번 고려해보겠다고 언급한 적 있다.
파일:50AAFF96-6D25-484E-B328-9DEFB868B9F5.gif
파일:96D1420B-E98D-4977-8418-F9A96D9BA06B.jpg
파일:4717BEBF-2D39-4402-AC7F-31C7C4C5C31A.gif
락병의 끝은 군대였다. 구부정한 걸음이 국방부로 인해 척추가 펴지면서 락병을 완치했다고 한다. 현재는 아이돌재중 vs 락재중을 본인이 직접 언급하면서 락병에 걸린 과거의 자신을 돌아보고 있다.

9. SNS

JYJ 멤버들 중 SNS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가장 팬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있다.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 영향력이 크다. 한국 트위터 영향력 랭킹에서 꽤 큰 차이로 1위를 유지 중이다. 팔로워 수는 2012년 8월 96만명 이상으로 계속 늘고 있으며, 트위터 관련 시상식인 shorty award에서 1위를 하기도 했다. 2011년에 이어서 2012년에도 셀러브리티부분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2년 연속 저스틴 비버다. 자신의 셀카나 친구, 반려묘 등 소소한 일상 생활을 올려서 팬들에게 즐거움을 주고 있다. 그만큼 트위터에 올라오는 일상 생활이 기사화 되는 속도도 빨라졌다. 2010년 10월에 개설한 이전 트위터 계정은 잦은 해킹으로 2012년 11월 1일에 삭제하였고 2012년 12월에 지금의 계정을 만들었다. 트위터 계정 2013년 9월 6일 인스타그램도 시작했다! 인스타그램을 시작한 이후로 열심히 사진 및 영상을 올려 팬들의 길고 긴 떡밥 가뭄에 단비를 내려 주는중이다. 인스타그램 계정 2014년 4월 2일 부로 페이스북도 시작했으나 현재는 없앤 상태다.

10. 서명

파일:jjlogo1.png
역대 서명
파일:김재중서명1.png 파일:김재중서명다크1.png
파일:김재중서명2.png 파일:김재중서명다크2.png
<rowcolor=#fff> 데뷔 ~ 2006 2006 ~ 2016.02.11.
파일:김재중서명3.png 파일:김재중서명다크3.png
파일:김재중서명4.png 파일:김재중서명다크4.png
<rowcolor=#fff> 2016.02.12. ~ 2016.07.28. 2016.07.29. ~ 2016.08.14.
파일:김재중서명5.png 파일:김재중서명다크5.png
파일:김재중 서명.svg 파일:김재중서명다크.png
<rowcolor=#fff> 2016.08.15. ~ 2018.11.29. 2018.11.29. ~ 현재

11. 타투

타투가 13개 있다.[13]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본인이 잊기 싫은 것, 위안 받은 것, 감사한 것을 몸에 새겨 넣었다고 한다. 인생에 있어 큰 사건들은 등 뒤에다 새겼고 지키고 싶은 신념은 앞에 새겼다고 한다. 가슴에 있는 타투들은 어떤 일이 일어났을 때 판단하는 척도의 개념으로 새겼다고 한다. 2번, 3번, 4번, 5번은 모두 같은 타투이스트의 작업물이다. 해당 타투이스트는 2013년 콘서트에서 배에 페이크 타투를 그리는 작업도 했다.
파일:김재중타투.jpg
파일:김재중타투옷.jpg
<rowcolor=#fff> ▲ TVfXQ SOUL
(2005)
2005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스페인 출신 타투이스트에게 시술 받은 것이다. f는 Forever의 약자로 '동방신기의 정신은 영원하다'라는 뜻이다. 등 위쪽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파일:김재중타투1.jpg
파일:김재중타투2.jpg
<rowcolor=#fff> ▲ The pleasures of the mighty are the tears of the poor
Hope to the end
A song will outlive sermons in the memory

(2008)
뜻은 강자의 쾌락은 약자의 눈물, 죽도록 바라다, 좋은 노래는 좋은 말씀보다 기억에 오래남는다. 등 양쪽에 높은음자리표처럼 보이도록 배치했다.
파일:김재중타투3.jpg
<rowcolor=#fff> ▲ 날개 타투
(2008)
뜻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김재중이 오랜 팬이라고 밝힌 라르크 앙 시엘 hyde의 날개죽지에 날개 타투가 있고 2013년부터 하이도의 날개 타투 사진을 트위터 헤더로 쓰고 있는 것을 미루어보아 하이도의 영향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다.
파일:김재중타투7.jpg
<rowcolor=#fff> ▲ O I II VI / O II O IV
(2008)
허리 척추선을 따라 세로로 새겨져있다. 호적상 생일 1월 26일, 실제 생일 2월 4일을 로마자로 적은 것이다.
파일:김재중타투5.jpg
<rowcolor=#fff> ▲ Always keep the faith
(2008)
언제나 신념을 지키자는 의미이다. 처음에는 가슴 중간에 새기려고 했으나, 타투 아티스트의 제안에 따라 왼쪽 가슴에 대각선으로 새겼다. 무엇을 잃을지 두려워하지 않고, 신념을 지키겠다는 다짐을 심장과 가장 가까운 곳에 새기고 싶었다고 한다. 타투가 눈에 잘보이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서 등에 새기는걸 선호하는데, 이 타투는 매번 보면서 다짐하고 지킬 수 있도록 일부러 앞쪽에 새겼다고 한다.
파일:김재중타투6.jpg
<rowcolor=#fff> ▲ deferto neminem
(2009)
셰익스피어의 햄릿에 나오는 라틴어 격언이다. 뜻은 남을 탓하지 말라. 왼쪽 가슴의 Always keep the faith 타투 바로 위에 새겼다.
파일:김재중타투4.jpg
<rowcolor=#fff> ▲ MICKY / JUNSU
(2010)
생일 타투를 기준으로 양쪽 허리에 대칭으로 위치해있다. 2010년 SM과의 소송에 사실상 승소하고 JYJ로 데뷔한 것을 기념하는 타투이다.
파일:김재중타투8.jpg
<rowcolor=#fff> ▲ Ohne Glauben Bist Du Tot
(2012)
신념이 없다면 죽은 것과 다름이 없다는 뜻의 독일어 격언이다. 척추를 따라 새겨넣었다. 독일에서 스페인 출신 타투이스트에게 받은 것이라고 한다.
파일:김재중타투9.jpg
<rowcolor=#fff> ▲ 나비 타투
(2013)
나비는 화려하지만 강풍이나 소낙비에 져버리는 연약한 존재이다. 겉으로 드러나는 화려함만을 쫓다가 반쪽짜리 인생을 살지말자라는 의미에서 새긴 것이다. 사진에서 배에 있는 십자가 문양은 페이크타투이다.
파일:김재중타투10.jpg
<rowcolor=#fff> ▲ AMA VISET QUOD FAC
(2014)
뜻은 사랑하라 그리고 그대가 원하는 것을 행하라. 아랫배에 위치해있다.
파일:김재중타투11.jpg
<rowcolor=#fff> 피스 마크 타투
(2016)
오른쪽 팔 안쪽에 있다.
파일:김재중타투12.webp
<rowcolor=#fff> 높은음자리표 타투
(2016)
왼손 엄지 부근에 있다.
파일:김재중타투13.jpg
<rowcolor=#fff> 섭리의 눈 타투
(2016)
오른쪽 팔목에 있다. 김재중이 소띠라서 타투이스트가 이 디자인을 제안했다고 한다.

12. 기타

  • JYJ 멤버 중 유일한 오른손잡이이다.
  • 몸에서 냄새가 전혀 안 나고, 굳은살이 생긴 적도 없다고 한다.[14] 여담으론 레이저 제모를 받아서 이제는 수염이 안 난다고 밝힌 바 있다.
  • 의 <Way back home>은 본래 김재중에게 들어왔던 곡이라고 한다. 그러나 1차 가안에서 기존에 존재하는 곡과 유사점이 있다고 판단하여 결과적으론 받지 않았다.
  • 연습생 시절 슈퍼주니어 희철과 크게 싸운 적이 있었다. 데뷔 전, 재중이 햄버거 하나를 누구껀지 안 물어보고 편지로 이 햄버거 누구 거에요? 누구 건지 몰라도 제가 좀 먹을게요. -재중- 라고 쓰고 먹었는데 그게 희철의 햄버거였다. 화가 난 희철은 재중한테 전화를 걸려 했으나 이 당시에 재중이 휴대폰이 없었다. 그 후에 데뷔하고 화해해서 사이가 다시 좋아졌다.
  • 드라마 < 트라이앵글> 리허설 당시 너무 추운 나머지 퍼 재킷을 입고 있었는데 그 모습이 드라마 공홈 현장 스케치에 담겨져 있었는데 알고보니 무대의상이였다. 그 퍼 재킷을 다나카상에게 2개씩이나 선물로 줬다. 알고보니 도쿄돔 콘서트에서 입은 무대의상으로 무려 구찌 980만원이라고 밝혀졌다. 그러나 털이 너무 날린다고.. 게스트였던 카라, THEBLACKLABEL 청소 아주머니에게 너무 혼났다고 본인이 돈 벌어서 하나 장만해주겠다고 말했다.
  • 주량이 무려 7병 반이다. 술터뷰를 통해 삼겹살 집에서 혼밥을 했는데 딱 그 정도 먹고 집을 가고 싶었다고 말했다. 안주로는 전자레인지에 돌리지 않은 편의점 편육을 좋아한다고 한다. 술은 주종을 섞어 마시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밝히기도 했다.
  • 김재중의 자작곡 중에 ' 나만의 위로'라는 노래가 있다. 2013년 1월의 본인 인터뷰에 따르면 그 노래의 가사는 실제 본인 경험담이라고 한다. 사랑하는 여성이 있었는데 그 사람을 위하여 커플링까지 준비했지만 결국 인연이 닿지 않았다고. 상대의 반지는 환불했지만 본인 반지는 생활기스로 인해 환불을 받지 못했다고 한다.
  • 배우 박용하와 굉장히 각별했다고 한다. 사망 전날 밝은 목소리로 ‘형이 다음 달에 한 번 시간 낼게. 소주 한 잔 하자’고 약속했다는 마지막 통화를 했다고도 밝혀졌다. 2010년 7월 12일 미국에서 귀국 후 곧바로 故 박용하의 묘를 찾아가 명복을 빌었으며 사망 이후 매년 찾아가서 추모하고 있다.
  • SM 엔터테인먼트와의 분쟁 이후에도 소속 가수들과 친분을 이어오고 있다. 2017년 12월 18일 후배 샤이니의 멤버 종현이 안타깝게 세상을 떠났을 때, SM과의 분쟁 과정에서 회사와 깊은 감정의 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문을 다녀왔다. 종현의 빈소에 SM 관계자들이 얼마나 많이 모여 있었을지를 생각하면 어려운 발걸음을 한 셈이다. 이후에도 슈퍼주니어 데뷔 10주년도 트윗으로 축하해주었고, 김희철과도 아직도 사석에서 만나며 잘 지내고 있다. 또한 소녀시대 태연이 먼저 인스타그램으로 팔로우하기도 했다.
  • 2024년, 콘서트에 군대 동기가 찾아왔고, 함께 경례 구호를 외치는 모습이 화제가 됐다. #

[1] 090829 일본 잡지 Love&Beauty Recipe [2] 프롬으로 깍두기 레시피를 올려준 적도 있다. [3] 자료영상 [4] 자료영상 # [5] 라이프타임 '트래블 버디즈' 자료영상 # # [6] 2008년 SBS '슈퍼주니어의 인체탐험대' 동방신기 편 출연 당시 # [7] 학창시절의 대부분을 보낸 공주시에 부모님을 비롯한 가족이 아직도 살고 있으며, 스케줄이 바빠도 시간을 내서 자주 찾을 정도로 애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모교인 공주사대부설중학교 근처 학교인 공주고등학교 공주교육대학교 학생들의 목격담이 간간히 있는 편. 2022년 7월에는 자신이 다녔던 초등학교와 중학교[15] 인근에 있는 한 분식점을 찾아 식사하고 점내 손님들의 식사비를 대신 계산하며 골든벨을 울렸다. [8] 2013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공식 트위터에 충남의 아들로 올라왔다. 안희정 충남도지사가 인증샷으로 마무리. 김재중도 동방신기 시절에 출연한 KBS 해피투게더에서 공주의 3대 자랑으로 박찬호, 박세리, 김재중이라는 발언을 했다. [9] 태진아는 본인의 음악적 양아들이라며 십 수년뒤에 김재중을 위해 군대 면회와 공연을 펼치기도 했다. [10] 당시에도 지금도 유재석은 신인 예능인 발굴에 매우 관심이 많다. 하하 노홍철이 무명이던 시절에도 잘 보고 있다며 챙겨준 일화가 있고, 이것이 무한도전 출연으로까지 이어진다. 최근에는 이미주, 주우재 등이 유재석의 예능픽 캐릭터로 유명하다. [11] 이 자리에 들어온 것이 신화 전진. 당시 신화는 SM에서 나온 뒤였다. [12] JYJ 멤버는 물론, 자신을 응원해주는 팬을 마음으로부터 사랑하고 있는 재중. 특히 여성에게 친절하고 신사적이라 그런 그의 따뜻함에 반해버린 팬들도 많다. 최근에는 소년같이 귀여운 웃는 얼굴뿐만 아니라 남자다운 섹시한 표정도 짓는 재중. 나이가 들수록 반짝임을 더해가는 재중에게서 눈을 뗄 수가 없다. [13] 2024년 기준 [14] 자료영상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3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3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5] 공주중동초, 공주사대부설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