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11:14:05

금남맨션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e8340b><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 #555555"
[[자치구|{{{#ffffff 자치구}}}]]
광산구 남구 동구 북구 서구
}}}}}}}}} ||
파일:광주_금남맨션.jpg
금남맨션 전경
<colbgcolor=#FF4500><colcolor=#fff> 명칭 금남맨션
영문 명칭 Geumnam Mansion
종류 주상복합
주소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196번길 14 (금남로3가)
완공 1977년 2월
동수 1개동
층수 지하 1층, 지상 10층
세대수 48세대
면적 71㎡, 96㎡
주차대수 15대

1. 개요2. 특징 및 시설
2.1. 상업시설
3. 주변 환경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3가에 위치한 주상복합 아파트이다.

2. 특징 및 시설

금남맨션은 10층 이상으로 지어진 광주 최초의 아파트라는 역사적인 가치가 있다.[1] 충장로에 지어진 무등맨션(10F)과 양동 삼익맨션(12F)보다도 1년 이상 더 빨리 지어졌고 광주에 고층아파트 시대를 알린 신호탄이나 마찬가지였다.

다만 높이는 약 32m 정도라 8~90년대에 들어서 금남로변에 세워진 빌딩들에 가려져 존재감은 딱히 없다.

지금은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건설 당시에는 고급 공동주택임을 나타내던 ‘ 맨션’이란 단어를 사용했고[2] 그에 맞춰 방 3개의 넓은 실내공간과 최신식 엘리베이터 설치로 중산층들을 끌어모으기에 충분하였다.[3]

다만 주차공간은 형편 없는 수준이다. 고작 15대 밖에 주차할 수 없기 때문인데, 이는 평균 1가구 1대 꼴로 차량이 보급된 지금의 기준에서 그런 것이지 당시에 자가용을 가진다는건 부와 권력이 없다면 매우 힘든 일이었다. 그리고 지금처럼 건축규모에 맞춰 필수적으로 주차공간을 만들도록 규제하지도 않았다.

2.1. 상업시설

주상복합으로 1~2층은 상가, 그 위로는 아파트이다.

1층에는 진한미술관이 있는데, 특이하게도 세계 조각·장식 박물관도 겸하고 있다.

2층에는 대부분 변호사, 법무사 사무실이 들어와 있다.

3. 주변 환경

3.1. 위치

금남로의 안쪽, 5.18민주화운동기록관(옛 가톨릭센터) 바로 뒷편에 자리잡고 있다. 길 건너편 충장로가 광주의 3대 상권이라 1년 365일 북적이는 것과 달리 이쪽은 예술의거리 영향으로 미술관이나 갤러리가 많은 동네라서 유동인구도 적고 조용한 편이다. 그래서 의외로 보기보다 주거 환경이 나쁘지 않다.

3.2. 교통

교통여건은 매우 좋다. 일단 금남로와 인접해있다는 점에서 별다른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정도.

다만 금남로에서 축제나 시위가 벌어진다면 차량통행이 통제되기 때문에 차량을 통한 접근이 매우 빡세진다.

3.2.1. 도시철도

3.2.2. 시내버스

파일:버스정류장 아이콘.svg 5.18민주화운동기록관 (광주 1137 | 국립아시아문화전당(구.도청) 방면)
파일:버스정류장 아이콘.svg 국립아시아문화전당(구.도청) (광주 1123 | 금남로4가역 방면)
파일:버스정류장 아이콘.svg 예술의거리입구 (광주 1126 | 금남로4가역 방면)
파일:버스정류장 아이콘.svg 예술의거리입구 (광주 1127 | 대인시장(동) 방면)

3.3. 교육

초등학교는 광주중앙초등학교로 배정 받는다.

4. 관련 문서


[1] 모든 용도를 통틀어 광주 최초의 10층 이상 건축물은 1974년에 지어진 전일빌딩이다. [2] 일본에서는 여전히 맨션이 우리나라의 아파트와 같은 수준의 공동주택을 뜻하는 말로 사용된다. [3] 하지만 1년 뒤에 지어진 무등맨션이 압도적으로 넓은 실내(40평대)와 더 번화한 입지를 갖췄고 삼익맨션은 초현대식으로 고층과 단지형을 접목하면서 당시 중산층들에게 훨씬 선호도가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