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의 미합중국 해군 군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의 해군 군함 |
|||
구잠함(PC) | <colbgcolor=white,#191919> PC급 구잠함 | |||
초계함(PG) | 더뷰크급, 이리급 | |||
호위함(FF) | 애슈빌급, 타코마급, 컨스티튜션급 | |||
호위구축함(DE) | 에바츠급, 버클리급, 캐논급, 에드솔급, 루더로우급, 존 C. 버틀러급, 딜리급A, 클라우드 존스급A | |||
구축함(DD) |
샘슨급,
칼드웰급, 윅스급, 클렘슨급, |
|||
잠수함(SS) | O급, R급, S급, 바라쿠다급, 아르거넛급, 나왈급, 카샬롯급, 포어포이즈급, 새먼급, 사르고급, 탬버급, 가급, 마크렐급, 가토급, 발라오급, 텐치급 | |||
경순양함(CL) |
오마하급,
브루클린급,
세인트루이스급,
애틀랜타급,
클리블랜드급,
파고급A,
주노급A, |
|||
중순양함(CA) |
펜사콜라급,
노스햄프턴급,
포틀랜드급,
뉴올리언스급,
위치타급,
볼티모어급, |
|||
대형순양함(CB) |
알래스카급, |
|||
순양전함(CC) |
|
|||
전함(BB) |
플로리다급,
와이오밍급,
뉴욕급,
네바다급, |
|||
호위항공모함(CVE) | 롱 아일랜드급, 차져급, 보그급, 생가몬급, 카사블랑카급, 커먼스먼트 베이급 | |||
경항공모함(CVL) | 인디펜던스급, 사이판급A | |||
정규항공모함(CV) | 랭글리, 렉싱턴급, 레인저, 요크타운급, 와스프, 로빈(빅토리어스)UK, 에식스급, 타이콘데로가급, 미드웨이급A | |||
수상기모함(AV) | 커티스급, 탕헤르급, 바네갓급, 커리턱급, 케네스 화이팅급 | |||
병원선(AH) | 릴리프, 솔러스, 컴포트급, 바운티풀, 사마리안, 레퓨지, 헤이븐급, 안타이오스 | |||
군수지원함 | 키어사지AB, 베스탈AR | |||
잠수함모함(AS) | 풀턴급 | |||
구축함모함(AD) | 딕시급 | |||
소해함 | 랩윙급, 레이븐급, 오크급, 호크급, 어드미러블급 | |||
어뢰정 | PT 보트 | |||
공격수송함 | 존 펜, 아서 미들턴급, 프레드릭 펀스턴급, 도이엔급, 윈저급, 옴스비급, 베이필드급, 섬터급, 길리엄급, 하스켈급, 폴 리비어급A, 리버티급, 빅토리급 | |||
연습항공모함 | 울버린급, 세이블급 | |||
지휘함 | 마운트 매킨리급, 애디론댁급 | |||
기타 함선 | USS QUARTZ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미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1번함 USS Gleaves (DD-423)
1. 개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벤슨급 구축함의 후계 함급으로 건조된 미합중국 해군의 구축함. 후계함이라고 하나 자료에 따라 벤슨급의 하위함급 혹은 동일함급으로 분류될 정도로 벤슨급과 큰 차이가 없다.계획 및 승인단계에서는 벤슨급을 베들레헴과 깁스&콕스 이 두개의 조선소에서 건조하기로 했으나 베들레헴 조선소에서 자신들이 건조하는 물량에 대해 감속기어 부분에서의 설계변경을 하였고, 이에 건조가 더 늦은 깁스&콕스 조선소의 물량이 글리브즈급으로 재명명되었다.
기관부 일부 외에는 무장, 선체 등 대부분이 벤슨급과 동일하며, 외형 면에서는 연돌의 기단부 보강구조물(벤슨급은 각진 형상, 글레이브즈급은 반원형)을 제외하면 완전히 동일한 생김새를 가지고 있다.
2. 제원
이전급 벤슨급 |
다음급 플레처급 |
배수량: 1,630톤, 만재시 2,395톤 전장: 106.15 m 전폭: 11.00 m 흘수선: 4.0 m (일반), 5.8 m (만재시) 엔진: 밥콕 & 윌콕스 보일러 4대, 2 웨스팅하우스 기어 스팀 터빈(50,000 shp (37,000 kW)) 추진 방식: 2축 최대 속도: 37.4 노트(69.0 km/h)/만재시 32.9 노트(61.0 km/h) 항속거리: 12노트(22 km/h; 14 mph)로 6,500해상마일 (12,000 km; 7,500 mi) 승조원: 192명(전시 260명) |
3. 상세
참조4. 운용사
총 66척이 1938년부터 1942년까지 건조된 후 운용되었으며 이 중 14척이 전쟁 중 손실되었다. 종전 이후에는 그리스, 일본, 이탈리아, 타이완, 터키등에 생존 함선들이 양도되기도 하였다.한국 전쟁에 동원되기도 했다.
5. 함선 목록
함번 | 함명 | 함명 유래 | 취역일자 | 퇴역일자 | 최후 |
DD-423 | USS 글리브스(USS Gleaves) | 알버트 글리브스 | 1940/6/14 | 1946/5/8 | ? |
DD-424 | USS 니블랙(USS Niblack) | 알버트 P. 니블랙 | 1940/8/1 | 1947/6/? |
해군 시설 실험용으로 사용됨 1973년 매각 및 스크랩 |
DD-429 | USS 리버모어(USS Livermore) | 새뮤얼 리버모어[1] | 1940/10/7 | 1947/1/24 | 1961년 매각 및 스크랩 |
DD-430 | USS 에버를(USS Eberle) | 에드워드 W. 에버를 | 1940/12/4 | 1946/6/3 |
그리스에 양도되어 니키(Νίκη)로 활동 ? |
DD-431 | USS 플런켓(USS Plunkett) | 찰스 P. 플런켓 | 1940/7/17 | 1946/5/3 |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난양(南陽)으로 활동 ? |
DD-432 | USS 키어니(USS Kearny) | 로렌스 키어니 | 1940/9/13 | 1946/3/7 | ? |
DD-433 | USS 그윈(USS Gwin) | 윌리엄 그윈 | 1941/1/15 |
1943년
콜롬방가라 해전에서 뇌격으로 대파 자침 |
|
DD-434 | USS 메레디스(USS Meredith) | 조너선 메레디스[2] | 1941/3/1 | 1942년 화물선 호위 중 즈이카쿠의 공격으로 격침 | |
DD-435 | USS 그레이슨(USS Grayson) | 게리 T. 그레이슨 | 1941/2/14 | 1947/2/4 | ? |
DD-436 | USS 몬센(USS Monssen) | 몬스 몬센[3] | 1941/3/14 | 1942년 과달카날 해전에서 포격으로 격침 | |
DD-437 | USS 울시(USS Woolsey) | 멜란히톤 T. 울시 | 1941/5/7 | 1947/2/6 | 1974년 매각 및 스크랩 |
DD-438 | USS 러들로(USS Ludlow) | 어거스투스 C. 러들로[4] |
1941/3/5 1950/6/6 |
1946/5/20 1951/1/21 |
1950년 예비역으로 재취역 그리스에 양도되어 도자(Δόξα)로 활동 ? |
DD-439 | USS 에디슨(USS Edison) | 토머스 A. 에디슨 | 1941/1/31 | 1946/5/18 | ? |
DD-440 | USS 에릭슨(USS Ericsson) | 존 에릭슨[5] | 1941/3/13 | 1946/3/15 | ? |
DD-441 | USS 윌크스(USS Wilkes) | 찰스 윌크스 | 1941/4/22 | 1946/3/4 | 1972년 매각 및 스크랩 |
DD-442 | USS 니콜슨(USS Nicholson) | 니콜슨 가문 |
1941/6/3 1950/7/17 |
1946/2/26 1951/1/15 |
1950년 훈련함으로 재취역 이탈리아에 양도되어 아비에레(Aviere)로 활동 ? |
DD-443 | USS 스완슨(USS Swanson) | 클로드 A. 스완슨 | 1941/5/29 | 1945/12/10 | ? |
DD-444 | USS 잉그레이엄(USS Ingraham) | 던컨 N. 잉그레이엄 | 1941/7/17 | 1942년 미국 유조선 셔멍과의 충돌로 침몰 | |
DD-453 | USS 브리스톨(USS Bristol) | 마크 L. 브리스톨 | 1941/10/22 | 1943년 상선 호위 도중 U-371의 뇌격으로 격침 | |
DD-454 | USS 엘리슨(USS Ellyson) | 시어도어 G. 엘리슨[6] | 1941/11/28 | 1954/10/19 |
일본에 양도되어 아사카제(あさかぜ)로 활동 ? |
DD-455 | USS 햄블턴(USS Hambleton) | 새뮤얼 햄블턴 | 1941/12/22 | 1955/1/15 | ? |
DD-456 | USS 로드먼(USS Rodman) | 휴 로드먼 | 1942/1/27 | 1955/7/28 |
1955년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센양(咸陽)으로 활동 1976년 영화 촬영용으로 소모 |
DD-457 | USS 에먼스(USS Emmons) | 조지 F. 에먼스 | 1941/12/5 |
1944년 소해 및 피켓 중 카미카제 공격으로 대파 자침 |
|
DD-458 | USS 맥콤(USS Macomb) |
윌리엄 H. 맥콤 데이비드 B. 맥콤 |
1942/1/26 | 1954/10/19 |
1954년 일본에 양도되어 하타카제(はたかぜ)로 활동 1970년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센양(咸陽)으로 활동[7] |
DD-461 | USS 포레스트(USS Forrest) | 듈래니 포레스트 | 1942/1/13 | 1945/11/30 | 1946년 매각 및 스크랩 |
DD-462 | USS 피치(USS Fitch) | 리로이 피치 | 1942/2/3 | 1956/2/24 | ? |
DD-463 | USS 코리(USS Corry) | 윌리엄 M. 코리 주니어[8] | 1941/12/18 |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기뢰로 인해 침몰 | |
DD-464 | USS 홉슨(USS Hobson) | 리치몬드 P. 홉슨 | 1942/1/22 | 1952년 미국 항공모함 USS 와스프(CV-18)와의 충돌로 침몰 | |
DD-483 | USS 아론 워드(USS Aaron Ward) | 아론 워드 | 1942/3/4 | 1943년 수송선 호위 중 일본 항공기의 폭격으로 격침 | |
DD-484 | USS 뷰캐넌(USS Buchanan) | 프랭클린 뷰캐넌 | 1942/3/21 | 1946/5/21 |
1949년
터키에 양도되어 겔리볼루(Gelibolu)로 활동 ? |
DD-485 | USS 던컨(USS Duncan) | 사일러스 M. 던컨 | 1942/4/16 | 1942년 에스페란스 곶 해전에서 포격으로 격침 | |
DD-486 | USS 랜스다운(USS Lansdowne) | 재커리 랜스다운[9] | 1942/4/29 | 1946/1/17 |
1949년 터키에 양도되어 가지안테프(Gaziantep)로 활동 ? |
DD-487 | USS 라드너(USS Lardner) | 제임스 L. 라드너 | 1942/5/13 | 1946/5/16 |
1949년 터키에 양도되어 겜릭(Gemlik)으로 활동 ? |
DD-488 | USS 맥칼라(USS McCalla) | 보우먼 H. 맥칼라 | 1942/5/27 | 1946/5/17 |
1949년 터키에 양도되어 기레순(Giresun)으로 활동 ? |
DD-489 | USS 머빈(USS Mervine) | 윌리엄 머빈 | 1942/6/17 | 1949/5/27 | 1969년 매각 및 스크랩 |
DD-490 | USS 퀵(USS Quick) | 존 H. 퀵[10] | 1942/7/3 | 1949/5/28 | ? |
DD-493 | USS 카믹(USS Carmick) | 대니얼 카믹 | 1942/12/28 | 1954/2/13 | ? |
DD-494 | USS 도일(USS Doyle) | 리처드 도일[11] | 1943/1/27 | 1955/5/19 | ? |
DD-495 | USS 엔디콧(USS Endicott) | 새뮤얼 엔디콧[12] | 1943/2/25 | 1954/8/17 | ? |
DD-496 | USS 맥쿡(USS McCook) | 로데릭 S. 맥쿡 | 1943/3/15 | 1949/5/27 | ? |
DD-497 | USS 프랭크포드(USS Frankford) | 존 프랭크포드[13] | 1943/3/31 | 1946/3/4 | ? |
DD-618 | USS 데이비슨(USS Davison) | 그레고리 C. 데이비슨 | 1942/9/11 | 1949/6/24 | ? |
DD-619 | USS 에드워즈(USS Edwards) | 윌리엄 A. 에드워즈[14] | 1942/9/18 | 1946/4/11 | ? |
DD-620 | USS 글레넌(USS Glennon) | 제임스 H. 글레넌 | 1942/10/8 |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기뢰로 인해 대파 독일 해안포에 의해 격침 |
|
DD-621 | USS 제퍼스(USS Jeffers) | 윌리엄 N. 제퍼스 | 1942/11/5 | 1955/5/23 | ? |
DD-622 | USS 매독스(USS Maddox) | 윌리엄 A. T. 매독스 | 1942/10/31 | 1943년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에서 독일 폭격기의 폭격으로 격침 | |
DD-623 | USS 넬슨(USS Nelson) | 찰스 P. 넬슨 | 1942/11/26 | 1947/1/? | ? |
DD-624 | USS 볼드윈(USS Baldwin) | 찰스 H. 볼드윈 | 1943/4/30 | 1946/6/20 |
1961년 몬토크 포인트에 좌초 자침 |
DD-625 | USS 하딩(USS Harding) | 세스 하딩 | 1943/5/25 | 1945/11/2 | 1947년 매각 및 스크랩 |
DD-626 | USS 새터리(USS Satterlee) | 찰스 새터리 | 1943/7/1 | 1946/3/16 | ? |
DD-627 | USS 톰슨(USS Thompson) |
리처드 W. 톰슨 로버트 M. 톰슨 |
1943/7/10 | 1954/5/18 | 1972년 매각 및 스크랩 |
DD-628 | USS 웰스(USS Welles) | 기드온 웰스 | 1943/8/16 | 1946/2/4 | 1969년 매각 및 스크랩 |
DD-632 | USS 코위(USS Cowie) | 토머스 J. 코위 | 1942/6/1 | 1947/4/21 | ? |
DD-633 | USS 나이트(USS Knight) | 오스틴 M. 나이트 | 1942/6/23 | 1947/3/19 | 1967년 표적함으로 소모 |
DD-634 | USS 도란(USS Doran) | 존 J. 도란 | 1942/8/4 | 1947/1/29 | ? |
DD-635 | USS 얼(USS Earle) | 랄프 얼 | 1942/9/1 | 1947/5/17 | ? |
DD-636 | USS 버틀러(USS Butler) | 스메들리 D. 버틀러 | 1942/8/15 | 1945/12/8 | 1948년 매각 및 스크랩 |
DD-637 | USS 게라르디(USS Gherardi) | 밴크로프트 게라르디 | 1942/9/15 | 1955/12/17 | ? |
DD-638 | USS 헌든(USS Herndon) | 윌리엄 L. 헌든 | 1942/12/20 | 1946/5/8 | ? |
DD-639 | USS 슈브릭(USS Shubrick) | 윌리엄 B. 슈브릭 | 1943/2/7 | 1945/11/16 | 1947년 매각 및 스크랩 |
DD-640 | USS 비티(USS Beatty) | 프랭크 E. 비티 | 1942/5/7 | 1943년 수송선 호위 중 독일 항공기의 뇌격으로 격침 | |
DD-641 | USS 틸먼(USS Tillman) | 벤자민 R. 틸먼 | 1942/6/4 | 1947/2/6 | ? |
DD-645 | USS 스티븐슨(USS Stevenson) | 존 H. 스티븐슨 | 1942/12/15 | 1946/4/27 | ? |
DD-646 | USS 스탁턴(USS Stockton) | 로버트 F. 스탁턴 | 1943/1/11 | 1946/5/16 | ? |
DD-647 | USS 쏜(USS Thorn) | 조너선 쏜 | 1943/4/1 | 1946/5/6 | 1977년 항공모함 USS 아메리카(CVA-66)의 표적함으로 소모 |
DD-648 | USS 터너(USS Turner) | 대니얼 터너 | 1943/4/15 | 1944년 폭발 |
6. 매체에서의 등장
- 월드 오브 워쉽에서 중화민국(대만)에 넘어간 형식인 셴양이 범아시아 8티어 정규 구축함으로 나왔다.
- 험프리 보가트 주연의 1954년작 영화 '케인호의 반란(The Caine Mutiny)'에서 USS 로드먼(DD-456)[15]이 가공의 소해함인 USS 케인으로 등장한다. 원작 소설의 배경은 구축함에서 소해함으로 재분류된 클렘슨급 구축함이지만, 촬영 당시 클렘슨급이 전량 퇴역한 상태라 역시 소해함으로 재분류된 글리브스급은 USS 로드먼을 사용했다.
7. 둘러보기
현대의 이탈리아 해군 함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잠수함/정 |
<colbgcolor=#fefefe,#393b42>플루토급RM/R, 아차이오급RM/R,
타졸리급R,
토리첼리급R, 가자나 프리아로자급R, 리비오 피오마르타급R, 엔리코 토티급R, 사우로급, 토다로급 |
|||
어뢰정 | MS472급R, 스피카급RM/R, PT 보트R | ||||
고속정 | 풀미네급R, 프레시아급R, 폴고레급R, 람포급R, 에스플로라토레급 | ||||
미사일 고속정 | 스파르비에로급R | ||||
원양초계함 | 시리오급, 카시오페아급, 코만단티급 | ||||
초계함 |
가비아노급RM/R 피에트로 드 크리스토파로급R, 알바트로스급R, 미네르바급R, 타온 디 레벨(PPA)급 |
||||
호위구축함 | 알데바란급R | ||||
호위함 | 경호위함 | 루포급 | |||
대잠호위함 | 첸타우로급R, 카를로 베르가미니급(1962)R, 알피노급R, 마에스트랄레급 | ||||
방공호위함 | 카를로 베르가미니급, { FREMM EVO} | ||||
구축함 | 구축함 | 산 조르지오급RM/R 임페투오소급R, 판테급R, 아르티에르급R, 아비에르급R | |||
방공구축함 | 임파비도급R, 아우다체급R, 뒤랑 드 라펜급, 오리존테급, { DDX} | ||||
순양함 | 두카 델리 아브루지급RM/R, 안드레아 도리아급R, 비토리오 베네토급R, | ||||
상륙정 |
MTP(LCVP)R, MTM(LCM)-2/3/6급R, SR.N6급 호버크래프트R MTP96급, MTM217급, LCM62급 |
||||
상륙함 | LPH | 산 조르지오급, 트리에스테급 | |||
LST |
안테오R, 에트나R, 안드레아 바필레R, 그라도급R, 콰트로급R |
||||
소해함 | 레리치급, 가에타급 | ||||
수송함 | 폰자급, 고르고나급 | ||||
군수지원함 | 스테로페R, 에트나급, 스트롬볼리급, 파네레아급, 불카노급 | ||||
정보수집/연구함 |
스테뻬타R, 오스티아R, 바르바라R, 아미랄료 마나기, 알리안스, 레오나르도, 로세티급, 니페급, 일레트라급 |
||||
경항공모함 | 주세페 가리발디급, 콘테 디 카보우르급 | ||||
훈련함 | 아메리고 베스푸치, 아라고스타급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RM: 이탈리아 왕립해군(Regina Marina)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현대의 그리스 해군 함정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colbgcolor=#003f87> 잠수함 | 포세이돈급, 글라브코스급, 오케아노스급, 파파니콜리스급 | ||
어뢰정 | 에스페로스급R, 에스테렐급 | |||
고속정 | 아이올로스급R, 아이올로스급R, 톨미급, 루센급, 보트시스급, 카발로디스급, 라스코스급, { 사펠로급} | |||
초계함 | 아포스톨리스급R, 오스프리 55급, HSY-55급, HSY-56A급 | |||
호위함 | 에피루스급R, 엘리급, 히드라급, { 키몬급(3대)} | |||
구축함 | 아이가이온R, 니키급R, 미아울리스R, 키몬급R, 키몬급(2대)R, 테미스토클리스급R | |||
상륙정 | 세리포스급, 케팔로니아급 | |||
상륙함 | <colbgcolor=#003f87> LST | 이아손급 | ||
소해함 | 피레아스급R, 안티오피급R, 에브니키급, 에우로페급 | |||
수송함 | 판도라급, 프톨레마이다급 | |||
군수지원함 | 케르키니급, 제우스급, 프로메테우스급, 악시오스급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그리스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바레인 |
카타르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
[1]
미해군 최초의
군종 목사.
[2]
1차 바르바리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부사관. 함상 백병전 도중 중상을 입은 아군 장교를 보호하였다. 그로부터 5일 후 전사했다.
[3]
20세기 초의 미해군 장교. 수병 신분이었던 1904년에 메인급 전함 USS 미주리에서 사격 훈련을 하던 중 탄약고에 화재가 발생하자 호스를 건내 받을 때까지 탄약고에 물을 끼얹었다. 이로 인해 명예훈장을 수여받았다.
[4]
미영전쟁 당시 미해군 장교. 프리깃 체셔피크의 부선장으로 영국군 프리깃 HMS 섀넌을 상대로 전투를 벌이던 중 전사하였다.
[5]
스웨덴 출신 발명가.
남북 전쟁 당시 철갑선 USS 모니터를 설계했다.
[6]
최초로 비행기 조종사가 된 미해군 장교. 1928년 조종하던 비행기가 추락하며 사망했다.
[7]
기존에 셴양이라는 이름으로 운용되던 USS 로드먼이 1969년 좌초 후 제적되었고, 맥콤이 함명과 페넌트 넘버를 그대로 이어받았다.
[8]
20세기 초반의 미해군 장교. 1920년 자신이 타고있던 비행기가 추락하자 불타는 잔해 속으로 뛰어들어 조종사를 구조한 후 사망하였다. 이로인해 명예훈장을 수여받았다.
[9]
20세기 초반의 해군 장교. 1919년 잉글랜드-미국 무착륙 비행을 최초로 성공해낸 영국 비행선 R-34의 승무원 중 하나였다. 이 공로로 해군십자훈장을 수여받았다.
[10]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의 미해병대 부사관. 아직 병사였던
미국-스페인 전쟁 당시 엄청난 포화에도 불구하고 아군 건보트에 신호를 보낸 공로로 명예훈장을 수여받았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독일군의 포격이 갈아엎은 길을 헤치며 탄약을 운반한 공로로
수훈십자장을 수여받았다.
[11]
1차 바르바리 전쟁 당시 해군 수병. 바르바리 해적들에게 나포되어 트리폴리항에 정박해있는 프리깃 USS 필라델피아를 불태웠다.
[12]
1차 바르바리 전쟁 당시 해군 수병. 바르바리 해적들에게 나포되어 트리폴리항에 정박해있는 프리깃 USS 필라델피아를 불태웠다.
[13]
유사전쟁 당시 미국 사략선 벨데베레의 선장.
[14]
미영전쟁 당시 해군 장교후보생. 1813년 영국군 브릭 슬루프 HMS 펠리컨을 상대하던 중 전사하였다.
[15]
바로 위에 언급된 셴양과 같은 함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