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1-10-04 19:33:13

극젱이



1. 개요2. 설명

1. 개요

🚜 농기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906344><colcolor=#fff> 전통 농기구 가래 · 갈퀴 · 곡괭이 · 곰방메 · 괭이 · 극젱이 · 나대 · 나래 · ( 조선낫) · 넉가래 · 달구지 · 도리깨 · 따비 · 마체테 · 맷돌 · 멍석 · 멍에 · 모종삽 · 물추리막대 · 방아 · 번지 · 삼태기 · · 쇠스랑 · 써레 · 용골차 · 용두레 · 쟁기 · 지게 · · 호미 · 흙싸개
농기계 경운기 · 농기계 작업기( 로터리 · 베일러 · 집초기) · 스프링클러 · 예초기 · 이앙기 · 조면기 · 콤바인 · 탈곡기 · 트랙터 · 굴착기 · 지게차 }}}}}}}}}

파일:극젱이.png
논밭을 가는 데 사용하는 농기구이다. [1]

2. 설명

지역에 따라 ‘굽젱이(경기도 안산)·훌쳉이(경상남도 창녕)·훌찡이(강원도 봉평)·술쳉이(전라남도 광산)·훌치기(전라남도 보성)·끌쟁기’로도 불린다.

대체적인 모습은 쟁기와 거의 같다. 그러나 쟁기에서 큰 구실을 하는 볏이 없으며 보습도 덜 휘었고(거의 평면을 이룸), 끝이 뾰족하지 않고 둥그레하다.

또, 술은 곧은 편이고 몸체도 매우 빈약하다. 손잡이도 쟁기와는 달리, 술 위쪽에 나무 비녀를 질러서 양쪽에서 잡을 수 있다.

보통 호리로 끄는데, 소가 귀하거나 소가 들어서기 어려운 곳에서는 사람이 지게를 지고 지게 가지에 끈을 매어 끌기도 한다.극젱이의 형태는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강원도나 전라북도의 일부 산간지대에서는 양쪽으로 뻗어 나간 자연목을 성에로 쓰기도 하는데(길이 150㎝ 정도),한마루를 가랑이진 부분에 세워서 힘을 받도록 한다. 또, 전라북도 진안 일대에서는 좌우로 뿔이 달린 술을 써서 손잡이로 이용한다.보습을 술 끝에 고정시키는 방법도 여러 가지이다. 안산에서는 보습의 뒤쪽 아랫부분을 움푹하게 하고 그 안에 술 끝을 박은 다음 쐐기로 고정시킨다.이에 비해 강원도에서는 보습 위에 술과 나란히 덮장을 대고 그 사이에 쐐기를 박아 보습의 앞쪽을 덮누르게 한다.
충청도에서는 보습 뒤에 쇠띠를 두르고 이에 쐐기를 박아서 고정시킨 것을 쓰기도 한다.

극젱이는 논에 쓰기도 하지만 주로 밭을 가는 데 쓴다. 바닥이 좁고 험한 곳에서 얕게 갈 때, 또는 쟁기로 갈아 놓은 땅에 이것을 끌어서 골을 타기도 한다. 쟁기로 갈면 볏밥이 한쪽으로만 갈려 나가나, 이것을 쓰면 양쪽으로 나가기 때문에 감자밭 따위를 매는 데 편리하다.극젱이는 쟁기보다 힘이 약한 게 흠이다.

토질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극젱이로는 하루 6백∼1천 평의 땅을 다룰 수 있다. 무게는 11∼15㎏이다.극젱이의 부분 명칭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부리망:가는 새끼로 그물처럼 얽어서,
논밭을 갈 때 소가 곡식이나 풀을 뜯어먹지 못하도록 주둥이에 씌우는 망.
② 한태:소의 등 위로 둘러 감아 봇줄에 맨 줄로서 봇줄이 아래로 처지지 않게 하는 것.
③ 봇줄:멍에의 양끝 턱진 곳에 매어, 물주리막대에 연결한 끈으로 멍에에서 비롯되는 소의 힘을 이 줄이 받아서 전한다.
④ 배때끈:소의 배에 둘러 감아 봇줄에 맨 줄. 봇줄이 위로 떠올라가지 않게 한다.
⑤ 물주리막대:봇줄이 소의 뒷다리에 닿지 않도록, 봇줄의 두 줄 사이에 끼우는 막대.
⑥ 까막머리:봇줄을 매기 위해 성에 끝에 박은 비녀목.
⑦ 성에:한 끝이 술의 윗부분에 연결되어 앞으로 길게 뻗어 나간 나무로, 허리에 한마루 구멍이 있고 앞 끝에 까막머리가 가로 꽂혀 있다.
⑧ 한마루:성에와 술을 연결시키는 나무나 쇠막대.
⑨ 술:극젱이의 몸 아래로 비스듬히 뻗어 나간 나무로 끝에 보습을 맞추는 넓적하고도 뾰족한 바닥이 있고, 그 뒤에 네모난 한마루 구멍이 뚫렸다.
⑩ 보습:술 바닥에 맞추어 끼우는 삽 모양의 쇳조각으로 땅을 갈아서 흙덩이를 일으킨다.
⑪ 손잡이:술 뒷부분에 가로 끼운 짧은 막대이다.이와 같은 부분 명칭들은 지역에 따라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인다.전라남도지방에서는 새해의 첫 소날[上丑日]에는 논밭에 나가 극젱이를 씌워서 몇 두락의 땅을 갈게 한다. 그곳에서는 그것을 ‘소 방아리 붙인다’고 하는데, 일종의 시경(試耕)인 셈이다. 이렇게 하면 소가 한 해 동안 건강하고 풍년이 든다고 믿는다.다른 지역에서는 좋은 날을 따로 잡아 일을 시킨다. 그러나 충청남도지방에서는 첫 소날을 ‘소달깃날’이라고 하여 일을 시키지 않고 잘 먹이고 쉬게 한다.
나무위키 가 이쯤은 돼야지!
출처
[1] 쟁기와 목적이 비슷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