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01 20:54:19

광주 버스 임곡290

{{{#!wiki style="margin:-10px auto" <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8000>
광주광역시
}}}
[[틀:광주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광주광역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광주광역시의 수요응답형버스|
수요응답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28 419 518 1187-1 첨단20
송정33 운림35 첨단40 수완49 지원52-1
문흥53 금남55 지원56 금남57 양산60
매월61 상무62 상무63 상무64 유덕65
송암68 대촌69 대촌70 대촌71 송암72
송암73 송암74 진월75 봉선76 진월77
진월78 진월79 문흥80 두암81 용봉83
용전84 용전85 용전86 석곡87 임곡89
임곡90 임곡91 첨단92 송정93 첨단94
송정96 송정97 송정99 송정100 선운101
지원152 대촌170 진월177 두암181 용전184
충효187 충효188 첨단192 첨단193 진곡196
송정197 대촌270 임곡290 송정296
}}}}}}}}} ||

파일:임곡290.jp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지선(공영)버스 임곡29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주 임곡290 노선도.png
기점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산동(도산동) 종점 광주광역시 광산구 오산동(와산)
종점행 첫차 06:00 기점행 첫차 07:40
막차 21:20 막차 19:15
배차간격 230분(1일 4.5회)
운수사명 동화운수 인가대수 1대
노선 도산동 - 도산역 - 광주송정역 - 광산구청 - 영광통 - 송정공원역 - 송정IC - 아리랑고개 - 우산동중흥S클래스 - 대덕훼미리아파트 - 상수도광산요금센터 - 우산리버힐아파트 - 우산빛여울채아파트(동) - 광주여자대학교 - 역산공원입구 - 하남홈플러스 - 신성화학 - 하남파출소 - 하남1교 - 장수동 - 신등 - 내등 - 박뫼 - 송산유원지 - 박뫼 - 내등 - 신등 - 벽파정 - 연동삼거리 - 보화촌 - 임곡역 - 연계삼거리 - 임동교 - 와산

2. 개요

동화운수에서 운행 중인 지선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90번(도산동 - 은별슈퍼 - 광주여대 - 장수동 - 박호동 - 송산유원지입구 - 박호동 - 고룡동 - 임곡역 - 와산), 구 113번 등임지선, 구 115번이 전신이다. 90번은 91번, 121번과 함께 1998년부터 동화운수에서 운행한 공영버스 노선이었다. 또한 1998년에 박호동, 등임동 지역을 운행하던 113번 등임지선이 115번(광천동 - 상무로 - 영광통 - 등임 - 임곡)으로 분리되었다. 115번은 광주에서 가장 막차가 먼저 끊기던(18시 50분) 노선으로, 지역 주민 외에는 존재감이 없는 노선 중 하나였다.[1] 이후 2004년 개편에서 115번이 폐선되고, 구 50번이 하루 3번 박호동까지 들어갔다가 나오는 걸로 바뀌었다.
  • 2006년 개편 때 구 50번 대신 등임동과 박호동을 거쳐 송산유원지에 들어갔다 나오도록 변경되었고, 와산으로 연장되었다. 또한 번호가 임곡290번으로 바뀌었다.
  • 2019년 7월 1일자로 유애서원 정류장에 추가로 정차한다.
  • 수영선수권대회로 인해 2019년 7월 10일부터 8월 21일까지 도산동 방향은 소촌금호아파트 경유로 직선화 운행했으며, 와산 방향은 우산동중흥S클래스 대신 임시승강장에 정차한 후 바로 상수도광산사업소 정류장으로 갔다.

4. 특징

  • 광주시 시내버스 중 이용객 수가 가장 적다. 참고로, 이용객 수가 가장 많은 노선은 진월07번.[2]
  • 등임동은 이 노선이 없으면 자가용이 없는 이상, 송정리나 광주로 나갈 방법이 없다.[3] 그리고 광주자동화설비공고와 우산동 화훼단지 앞을 지나가는 유일한 노선이기도 하다. 송정주공 정류장 기준으로 위의 송정33번 첨단20번은 왼쪽으로 들어가는 반면 이 버스는 바로 직진한다.
  • 흔하진 않지만 광주에 폭설이 내리면 박호동과 등임동으로 가지 않고 바로 임곡으로 간다. 등임동 지역이 어등산 자락에 있어 길이 험하고 좁은 편이라 오가기가 쉽지 않기 때문.
  • 대촌270번, 송정296번과 함께 공영버스로 운행한다. 공영버스인 만큼, 동화운수가 위탁운행을 하는 대신 차량 유류비와 식대, 운전기사 월급 등을 전부 시에서 지원받는다.
  • 2018년 1월 기준으로 이 노선도 LED 행선 표시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와산 정류소에서 회차할 때 장성군 동화면을 살짝 경유한다. 이것은 임곡89번, 임곡91번도 마찬가지.
  • 아쉽게도 벽지노선 증차계획에서 제외되었다. 대신 장수동 주민들을 위해서 임곡89번을 증차하는 걸로 해결했었고, 지금은 일곡10번이 연장되었기 때문에 없던 일이 돼버렸다.[6][7]

4.1. 시간표

광주 버스 임곡290번 운행시간표
일자 불명 / 출처
횟수 도산동 와산
1 06:00 07:40
2 09:55 11:35
3 13:45 15:25
4 17:35 19:15
5 21:20 ?


5. 연계 철도역



[1] 지금 가장 막차가 먼저 끊기는 노선이라는 타이틀은 송정99번이 계승하고 있다. 원래 99번은 20시 20분이 막차였으나,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인해 근로시간이 단축되면서 첫차 중간착발+왕복3회가 되어버리는 바람에 이렇게 된 것. [2] 일각에서는 충효188번 노선이 이 노선보다 더 수요가 안 나오냐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실제로 공영버스를 제외하고는 충효188번이 수요 꼴찌라는 기사가 2020년에 떴다. [3] 물론 방법이 아예 없는 건 아니다. 신등 정류장( 임곡 89번이 지나감.) 혹은 송산유원지(종점)까지 걸어가서 타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두 정거장 사이의 거리가 워낙 멀리 떨어져 있으며(이 버스를 탑승했을 때 아무도 탑승하지 않았다는 가정을 했을 때 등임동 구간을 지나가는데 대략 10분 정도 걸린다.), 무엇보다도 폭설과 추위, 미끄러운 길을 뚫고 도착해야 한다. 불행 중 다행이라면 송산유원지 정류장은 종점 겸 버스공영차고지라서 도착 후 바로 탈 수 있는 버스들이 꽤 있다는 점이다. [4] 여기가 바로 등임동 구간이다. 신등~송산유원지(종점) 정류장 구간까지다. [5] 다만 임곡89번은 월봉서원(오룡교) 방향으로 가는 반면, 이 버스는 와산이 종점이다. 참고로 오룡(임곡), 와산(임곡) 정류장에서 북쪽, 혹은 서쪽으로 조금만 걸어가면 전라남도 장성군이다. [6] 대원시내버스 송암68번에서 철수하게 된 이유가 있었다고 하지만 임곡89번의 직선화로 인해 89번이 감차되어서 대원이 68번 운행을 다시 재개하였다. [7] 이 89번 감차로 인해 을로운수 예비차 한 대가 증차되었는데, 그것에 대해 말이 좀 있다.. 일각에서는 그 차로 다른 지선 노선 증차시키는게 낫지 않냐라는 의견도 있는 상태이다. 결국 2022년에 중형예비 2대중 1대는 송정93번에 증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