居道
생몰년 미상
1. 개요
신라 초기의 장군으로 지금의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 지역을 신라 영토로 편입시켰다.2. 생애
탈해 이사금 재위기에 활약한 인물이나 국왕을 중심으로 역사를 서술하는 '본기'에는 안 나오고 거도 '열전'에만 행적이 써 있다.그는 석탈해 때 '간(干)' 벼슬을 했었는데, 거칠산국(지금의 부산광역시)과 그 옆의 우시산국(지금의 울산광역시)은 초창기 신라( 사로국, 즉 경주시) 바로 근처에 있었기 때문에 국경지대에 위협이 되었다. 이에 신라의 장군 거도가 변경[1]의 지방관이 되어 두 나라를 병합할 계획을 짰다. 마침 이 당시 이 지역에는 매년 한 번씩 여러 말들을 들판에 모아놓고 군사들이 말을 타고 달리면서 노는 정기적 행사 마숙(馬叔)이라는 게 있었는데, 거도는 이 행사를 치르는 것으로 위장해 군사를 동원했고 우시산국과 거칠산국 두 나라 사람들도 마숙 행사를 자주 보아 왔으므로 신라가 평소 하던 대로라고만 생각해 별다른 대비를 하지 않았다. 이 틈을 타 거도는 이 기병을 이용해 두 나라를 기습 공격해 멸하였다.
사실 이는 병법 삼십육계 중 승전계의 제1계인 만천과해에 해당한다. 즉 병법의 기본. 중국에서는 삼국지의 태사자가 이 책략을 사용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도 삼국사기의 지명도가 삼국지에 비해서 낮은 때문에 그다지 알려져 있지는 않다. 훗날 우산국 정복으로 유명한 이사부가 가야 공격 때 거도의 계략을 공부해 그대로 다시 한 번 써먹었다고 한다.
삼국사기 기록상에서 신라가 경주 바깥의 다른 나라를 병합한 첫 사례고, 이 때쯤부터 신라가 진한권 지역 안의 여러 나라 중에서 약간씩 주도권을 잡기 시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경주 코앞인 울산은 그렇다치고 경주에서 약간 거리가 있는 부산 지역은 고고학적으로는 석탈해( 1세기)는 커녕 한참 뒤 4~5세기쯤 돼야 금관가야계 유물 대신 신라계 유물이 본격적으로 나오기 시작하므로 이 거도의 정복 기록과 맞지 않는 문제가 있다. 사실 삼국사기 초기 기록은 이것 말고도 앞에서 망한 나라가 나중에 멀쩡히 재등장(...)하는 사례가 종종 있기도 한데,[2] 연대가 잘못됐거나 완전한 멸망이 아니라 일시적인 정복이었던가 할 수도 있다.
3. 둘러보기
삼국사기(三國史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1권 「신라 1권 (新羅 一)」 | 2권 「신라 2권 (新羅 二)」 | |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 ||
3권 「신라 3권 (新羅 三)」 | 4권 「신라 4권 (新羅 四)」 | 5권 「신라 5권 (新羅 五)」 | |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 |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 8권 「신라 8권 (新羅 八)」 | 9권 「신라 9권 (新羅 九)」 | |
김법민 |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 |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 ||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 ||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 |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 고주몽 · 고유리 |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 |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 |
고궁 · 고수성 |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 |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 |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 고원 · 고건무 | |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 ||
고장 |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 ||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 |||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 |||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 |||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 |||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 |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 부여의자 | |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1]
경상남도
양산시로 추정한다. 울산과 부산 사이로 볼 만한 지역은 지리적으로 양산밖에 없고, 본기에는 석탈해 동시대 때
가야가
낙동강을 넘어 양산(물금)으로 쳐들어온 것을 격퇴한 황산진 전투도 나온다.
[2]
예를 들어
온조왕 때
백제에게 항복한
마한이 있다.
김부식도 고구려
태조왕 본기에서
마한이 다시 등장하자 "아니 온조왕때 망했다면서 지금 나온건 뭐지?"라는 각주를 달았다. 삼국사기 내용은 김부식이 지어낸 게 아니라 김부식도 더 옛날 사서를 보고 취합해서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김부식조차도 앞뒤가 안 맞는 것이 이해하기 어려운(그러나 다른 기록이 따로 없으니 일단 쓰긴 쓰는) 부분이 많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