慮 생각할 려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心, 1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5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リョ
|
||||||
일본어 훈독
|
おもんぱか-る
|
||||||
虑
|
|||||||
표준 중국어
|
lǜ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생각할 려(慮). '생각하다', '헤아리다', '걱정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생각하다 |
음 | 려 | |
중국어 | 표준어 | lǜ |
광동어 | leoi6 | |
객가어 | li | |
민동어 | lê̤ṳ | |
민남어 | lū[1], lī[2] | |
오어 | ly (T3) | |
일본어 | 음독 | リョ |
훈독 | おもんぱか-る, はか-る | |
베트남어 | lự |
유니코드에는 U+616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PWP(卜心田心)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思(생각할 사)와 소리를 나타내는 虍(범 호)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고려( 考慮)
- 무려( 無慮)
- 배려( 配慮)
- 사려( 思慮)
- 석려( 釋慮)
- 숙려( 熟慮)
- 심려( 心慮/ 深慮)[3]
- 염려( 念慮)
- 우려( 憂慮)
- 원려( 遠慮)[4]
- 정려( 靜慮)
- 천려( 淺慮)
- 후려( 厚慮)
3.2. 고사성어/ 숙어
- 근우원려( 近 憂 遠慮)
- 무사무려( 無 思 無慮)
- 사려분별( 思慮 分 別)
- 심모원려( 深 謀 遠慮)
- 심사숙려( 深 思 熟慮)
- 여무소부도(慮 無 所 不 到)
- 우자천려( 愚 者 千慮)
- 조불려석( 朝 不慮 夕)
- 천려일득( 千慮 一 得)
- 천려일실( 千慮 一 失)
- 천사만려( 千 思 萬慮)
- 초심고려( 焦 心 苦慮)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3.6.1. 훈독
- 慮(おもんぱか)る: 숙고하다, 세세히 배려하다.
- 慮(はか)る: 생각하다, 노리다, 꾀하다.
둘 다 비상용독음이다. おもんぱかる는 그래도 慮る로 종종 쓰는 편이지만 はかる는 慮로는 거의 안 쓰고 보통 計(셈 계)를 써서 計る로 쓴다.
3.6.2. 음독
リョ.- 考慮(こうりょ): 고려
3.7. 중국어
虑(lǜ): 생각하다, 고려하다, 우려하다, 걱정하다.중국어에서는 思(생각 사) 부분을 心(마음 심)으로 간화해서 虑로 쓴다.
4. 유의자
- 勘(헤아릴 감)
- 考/ 攷(생각할 고)
- 揆(헤아릴 규)
- 念(생각할 념)
- 料(재료 료, 헤아릴 료)
- 思(생각할 사)
- 想(생각 상)
- 憶(생각할 억)
- 惟(생각할 유)
- 恁(생각할 임)
- 測(헤아릴 측, 잴 측)
- 度(헤아릴 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