歸 돌아갈 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止, 1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8획
|
||||
중학교
|
|||||||
帰[1]
|
|||||||
일본어 음독
|
キ
|
||||||
일본어 훈독
|
かえ-る, かえ-す, おく-る, とつ-ぐ
|
||||||
归
|
|||||||
표준 중국어
|
guī
|
||||||
베트남어
|
qu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歸는 '돌아갈/돌아올 귀'라는 한자로, '돌아가다', '돌아오다'를 뜻한다.2. 상세
歸의 자형 |
歸의 획순 |
阜(언덕 부)의 윗부분, 止(그칠 지), 帚(비 추)로 이루어진 회의자다. 여기서 帚는 빗자루를 의미하고 보통 '멈추다'라는 뜻으로 쓰이는 止는 여기서는 발의 모습을 본뜬 모양의 글자로 '가다'를 의미한다. 옛날에 남자는 장가를 들고 여자는 시집을 갔다. 이 때 남자는 신부의 집에서 3년 동안 딸을 준 것에 대한 보답을 해야 했다. 이 때 신부는 3년 동안 부모님의 품에서 살다가 3년이 지나면 신랑의 집으로 가야 했다.
따라서 歸의 전체적인 의미는 신부의 주된 역할이 빗자루(帚)를 들고서 가는(止) 것인데, 시집을 간 신부는 좀처럼 다시 부모님 품으로 돌아갈 수 없어 시댁의 풍토에 적응하기 위한 방편으로 신부의 집의 흙(阜[2]의 상단)을 가져가서 물에 타서 마시는 풍속이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결혼 풍속 때문에 歸는 '돌아가다', '시집 가다', '돌려보내다' 등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유니코드에는 U+6B78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竹一尸一月(HMSMB)로 입력한다.
간체자와 신자체 외에 약자로 皈(U+7688)이나 敀(U+6540)가 있다. 특히 敀는 한국에서만 사용되는 약자다.
3. 용례
3.1. 단어
- 귀가(歸 家)
- 귀결(歸 結)
- 귀경(歸 京)
- 귀국(歸 國)
- 귀로(歸 路)
- 귀루(歸 壘)
- 귀부(歸 附)
- 귀성(歸 省)
- 귀소(歸 巢)
- 귀의(歸 依): 원래는 불교용어지만, 의미가 커져서 종교의 가르침을 믿고 따른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 귀향(歸 鄕)
- 귀환(歸 還)
- 재귀( 再歸)
- 복귀( 復歸)
- 불여귀( 不 如歸)
- 회귀( 回歸)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 회귀수선전(回歸修仙傳)
- 화산귀환(華山歸還)
- 광마회귀(狂魔回歸)
- 歸鄕: 김동률의 앨범
- 帰り道
- 帰り道は遠回りしたくなる
- 帰結する共犯者
- きみに回帰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