步 걸음 보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止,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7획
|
||||
중학교
|
|||||||
歩
|
|||||||
일본어 음독
|
ホ, ブ, (フ)
|
||||||
일본어 훈독
|
ある-く, あゆ-む
|
||||||
-
|
|||||||
표준 중국어
|
bù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步는 '걸음 보'라는 한자로, '걸음', '걷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걸음 |
음 | 보 | |
중국어 | 표준어 | bù |
광동어 | bou6 | |
객가어 | phu | |
민동어 | buô | |
민남어 | pō͘ | |
오어 | bu (T3) | |
일본어 | 음독 | ホ, ブ, (フ) |
훈독 | ある-く, あゆ-む | |
베트남어 | bộ |
유니코드에는 U+6B6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MLH(卜中一竹)로 입력한다.
발의 모양을 본떠 만든 止(그칠 지)가 위아래로 나란히 놓여서 만들어진 회의자이다. 원래 이 글자는 왼발과 오른발을 엇갈리게 그려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는 모습을 본뜬 글자이다. 갑골문부터 이런 형태가 나타나고 있으며, 어떤 갑골문 중에는 行(다닐 행) 사이에 두 발을 그려 넣은 형태가 있어, 길을 걷고 있는 모습을 더 정확히 그려냈다. 그러다 금문부터는 行 없이 왼발과 오른발만 그린 형태로 고정되었다. 이후 자형이 점차 변하여, 위쪽의 발은 현재의 止가 되었다. 한편 아래쪽의 발은 止를 뒤집은 형태로 그려지다가, 어느 순간부터 少(적을 소)와 비슷한 형태를 띠게 되었다.
신자체에서는 아래쪽의 글자를 모양이 비슷한 少로 대체하여 歩(U+6B69)로 쓰고 있는데, 신자체가 구자체보다 획수가 더 많은 드문 사례다.[1]
3. 자형
갑골문 | 금문 | 소전 |
4. 용례
4.1. 단어
- 경보( 競步/ 輕步)[2]
- 구보( 驅步)
- 도보( 徒步)
- 만보기( 萬步 機)
- 보도(步 道)
- 보(步)
- 보무(步 武)
- 보병(步 兵)
- 보초(步 哨)
- 보추(步 趨)
- 보폭(步 幅)
- 보행(步 行)
- 산보( 散步)
- 양보( 讓步)
- 정보( 町步)
- 진보( 進步)
- 진일보( 進 一步)
- 초보( 初步)
4.2. 고사성어/ 숙어
4.3. 인명
- 나가오카 류호( 長 岡 龍歩)
- 나루호도 류노스케( 成歩 堂 龍ノ 介)
- 나루호도 류이치( 成歩 堂 龍 一)
- 나루호도 미누키( 成歩 堂 みぬき)
- 니시무라 호노카( 西 村 歩 乃 果)
- 마부팡( 馬步 芳)
- 마쿠노우치 잇포( 幕 之 内 一歩)
- 모치다 마호코( 持 田 真歩 子)
- 보경운(步驚雲) - 풍운(만화)
- 보연사(步 練 師)
- 스기야마 아난( 杉 山 歩 南)
- 야마베 아유( 山 邊 歩 夢)
- 에도가와 란포( 江 戸 川 乱歩)
- 쿠니키다 돗포( 国 木 田 独歩)
- 타카하라 아유미( 高 原 歩 美)
- 토죠 아유무( 東 城 歩)
- 홍 푸링( 黄 歩 鈴)
- 후지시마 카호( 藤 嶌 果歩)
- 히노모리 시호( 日 野 森 志歩)
- 당보( 當步)
4.4. 창작물
- 行步 2010 尹鍾信~ 行步 2020 尹鍾信: 윤종신의 앨범 시리즈
- 步兵の本領( 보병의 본령)
- 步步惊心( 보보경심)
5. 유의자
- 迶(걸음 유)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歲(해 세)
[1]
다른 사례로는 卑(卑, 曰을 가로지르는 丿획이 丨과 점으로 나뉘어져 있다.)와 卷(巻, 아래의 卩이 己다.)이 있다.
[2]
전자는
걸음의 빠르기를 다투는 스포츠를 뜻하고, 후자는 일상에서 빠르게 걷는 것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