曾 일찍 증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曰,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중학교
|
|||||||
曽
|
|||||||
일본어 음독
|
ソウ, (ゾ)
|
||||||
일본어 훈독
|
かさ-なる, かつ-て, すなわ-ち
|
||||||
曾
|
|||||||
표준 중국어
|
céng, zē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曾은 '일찍 증'이라는 한자로, '일찍', '곧', '거듭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6F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金田日(CWA)로 입력한다.갑골문에서부터 나타나나 자원은 명확하지 않은데, 제기의 모양을 본떠 만든 상형자라는 설도 있고[1], 시루의 모양을 본뜬 것으로 甑(시루 증)의 원 글자였다는 설도 있다.[2]
글자체에 따라 八자 변을 丷로 쓰기도 한다.
가나문자 so(히라가나:そ ; 카타카나:ソ) 의 유래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김증한( 金曾 漢)
- 미내증부의미( 彌 奈曾 富 意 彌)
- 소가 마치코(曽 我 町 子)
- 소네노 요시타다(曽 禰 好 忠)
- 소네 아라스케(曾 禰 荒 助)
- 소노 슌타(曽 野 舜 太)
- 소다 히로히사(曽 田 博 久)
- 소라노 마리아(曽 良 野 まりあ)
- 이증백( 李曾 伯)
- 재증걸루( 再曾 桀 婁)
- 주증녀( 朱曾 女)
- 증공(曾 鞏)
- 증려(曾 黎)
- 증삼(曾 參)
- 증순희(曾 舜 晞)
- 증자(曾 子)
- 증지교(曾 之 喬)
- 쩡줘진(曾 卓 君)
- 쩡윈판(曾 允 凡)
- 키소지 헤이타( 木曽 路 兵 太)
3.4. 지명
3.5.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會(모일 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