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00:33:15

World // Zero/던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World // Zero
파일:World // Zero Logo.png
던전 · 직업 · · 평가

1. 개요2. 던전의 종류
2.1. 던전2.2. 타워2.3. 무한 타워
2.3.1. 추천 직업과 비추천 직업2.3.2. 팁과 상대하기 어려운 보스 공략
3. 마을4. World 1 / Crescent Cove
4.1. Crabby Crusade4.2. Scarecrow Defense4.3. Dire Problem4.4. Kingslayer4.5. Gravetower Dungeon
5. World 2 / Embersky Jungle
5.1. Temple of Ruin5.2. Mama Trauma5.3. Volcano's Shadow5.4. Volcano Dungeon
6. World 3 / Glacier Valley
6.1. Mountain Pass6.2. Winter Cavern6.3. Winter Dungeon
7. World 4 / Pharaoh's Canyon
7.1. Scrap Canyon7.2. Deserted Burrowmine7.3. Pyramid Dungeon
8. World 5 / Kanoh Gardens
8.1. Konoh Heartland8.2. Konoh Inferno8.3. The Prison Tower
9. World 6 / Atlantic Atoll
9.1. Rough Waters9.2. Treasure Hunt9.3. The Atlantis Tower
9.3.1. 여담
10. World 7 / Mezuvia Skylands
10.1. The Underworld10.2. The Labyrinth10.3. Mezuvian Tower
11. World 8 / Wasteland Oasis
11.1. Rescue in the Ruins11.2. Ruin Rush11.3. Oasis Tower
12. World 9 / Stonewood Forest
12.1. Treetop Trouble12.2. Aether Fortress12.3. Aether Tower
13. World 10 / Crystal Cascade
13.1. Crystal Chaos13.2. Astral Academy13.3. Arcane Tower
14. 이벤트 던전
14.1. Spooky Countyard (2020, 2021년 할로윈)
14.1.1. The Fallen Throne
14.2. 크리스마스 이벤트 던전
14.2.1. 크람푸스
15. 사라진 던전
15.1. Night of the Dead

1. 개요

World // Zero의 던전에 관해 정리한 문서. 한 월드 안에 있는 여러 미션들을 말하며, 몬스터를 죽일 때마다 경험치를 주고 클리어 할 시 보상을 받는다.[1][2]
현재 총 10개의 세계가 있다.

어려움 난이도부터 목숨을 하나만 준다.
정예 난이도부터는 엘리트 몹 스폰율이 증가한다.
마스터 난이도에서는 기본적으로 제한 시간이 생긴다. 다만 월드 4는 예외.

악몽 난이도는 한국 시간 기준으로 12월 11일에 추가되었다. 특이하게도 각 월드의 마지막 던전에만 있는 난이도다. 이 난이도에 대해 설명을 하자면...
  • 22분 30초의 제한 시간.
  • 몹의 스펙 대폭 상승.
  • 몹의 공격 딜레이가 짧아짐.
  • 몹의 인식 거리 대폭 증가.
  • 몹의 이동 속도 증가.
등으로 극한의 난이도를 자랑한다.

그러나 2023년 2월 3일 업데이트로 던전 시스템에 변화가 생겼다.
어려움, 마스터 등의 난이도가 전부 사라지고, 오직 기본 모드나 챌린지 모드만 있게 되었다. 또한 나이트메어 던전 포탈이 마지막 월드에 생기게 되었다. 나이트메어 던전 포탈은 모든 월드의 던전 중에서 무작위로 던전을 정하여서 이를 통해 만렙 장비를 얻을 수 있다. 혼자서도 쉽게 깰 수 있는 난이도여서 이전보다 만렙 전설 장비를 쉽게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나이트메어 던전은 예전과 달리 목숨이 3개이며 오히려 챌린지 모드는 목숨이 하나에 몹 체력도 2배[3]일 뿐만 아니라 엘리트 몹 출현 빈도가 높다. 대신, 시간 제한이 사라졌고, 4성, 5성 장비 획득 확률이 증가한다.
  • 적정 레벨을 기준으로 즉사기나 즉사기에 가까운 공격은 볼드체로 표기한다.
  • 보스(중간보스 포함)는 볼드체로 표기한다.

타워가 처음 나왔을 때는 보스 스테이지를 제외한 층에서 열쇠 상자를 찾고, 출구를 찾아 나가는 방식으로 몬스터는 잡을 필요도 없이 오로지 열쇠와 출구를 찾는 운빨로만 승부해야만 했다. 이로 인해 플레이 도중 피곤함을 느껴 탈주하는 유저가 많아지자 항의가 많았는지 해당 층의 몬스터를 모두 잡아야 다음 층으로 갈 수 있도록 수정되었다.

타워 3이 나오기 전의 타워는 3의 배수층마다 중간 보스가 있고, 15층 장소에 최종 보스가 있고, 나머지 층에는 잡몹들을 처치해 출구를 여는 방식으로 되어있었다. 그러나 지속되는 항의로 편의성 업데이트와 함께 기존 타워의 층수를 10층으로 줄이고, 2의 배수층마다 중간보스를[4] 배치하는 방식으로 수정하였다. 물론 이는 새로 나온 타워 3에도 적용되는 사항이었다. 마지막 층에 최종보스가 있다. 그리고 보스가 출연하지 않는 층[5]마다 랜덤하게 이벤트가 생긴다.[6][Bonus][Challenge]

2. 던전의 종류

현재 월드 제로에는 세 가지 종류의 던전이 존재한다.

이중 던전의 경우 월드 별로 2개 이상이 포진해 있으며 종류가 다양하고 공략 방식도 많기에 플레이어가 가장 자주 플레이하게 될 컨텐츠이다.

타워의 경우 월드 5부터 월드 9 까지의 각 월드에 하나씩 존재하는 일종의 레이드로 다가오는 몬스터들의 웨이브를 뚫고 보상을 얻어가며 마지막 최종 보스를 상대하는 형식을 가지고 있다.

무한 타워는 현재 월드 제로의 최상위 컨텐츠로 수많은 몬스터 웨이브와 한번에 최대 3마리씩 등장하는 보스들을 무찌르며 계속 강해지는 몬스터를 상대하는 고난이도 컨텐츠이다.

나무위키 내 사진들은 인게임에서 직접 찍어온 사진이거나 월드제로 팬덤 위키에서 사진을 가져온 것이다.

2.1. 던전

보통 초보 캐릭터들이 레벨을 올리거나 나이트메어 난이도에서 아이템을 파밍하기 위해 들리는 곳이다.

레벨업 부분에서도 많은 몬스터가 나오고 경험치를 짭잘하게 주는 여러 중간보스격 몬스터들이 나오기에 레벨링에 좋고 극도로 레벨이 잘 오르는 일부 성지 던전들도 존재하는 등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난이도는 던전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3월드 까지의 던전은 쉬운 편이고 4월드의 던전 부터는 난이도가 급격히 상승한다.

파티원의 숫자에 따라 없던 중간보스와 몬스터 팩이 주가되는 등 난이도가 조절되므로 만약 자신의 장비가 훌륭하고 컨트롤에 자신이 있다고 판단된다면 혼자서 던전을 도는 것 또한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9]

일반 던전은 3개의 목숨이 주어지며 이 세 개의 목숨을 모두 잃는다면 게임오버되고 마을로 이동된다. 챌린지 난이도의 던전의 경우 하나의 목숨이 부여된다.

2.2. 타워

일명 레이드라 불리는 월제의 대표 컨텐츠중 하나이다.

몰려드는 50마리의 몬스터 웨이브와 보스들을 제한 시간 안에 처리하고 최종보스를 처치하고 얻는 보상의 개수를 늘릴 수 있으며 모든 층을 시간안에 클리어하면 최종 보스를 잡았을 때 최대 5개의 전리품이 드랍된다.

1번째 층은 보스가 나오지 않고 오로지 일반적인 몬스터들만 나오기에 그닥 어렵지 않지만 층을 올라갈때마다 보스가 추가되고 몹들의 레벨이 오르는 등의 변화가 생기기에[10]충분한 인원을 모으고 시도하거나 충분히 강력한 장비를 갖추고 시작하는게 추천된다.

첫번째 보스는 35마리를 죽인 시점에서 나오니 참고하도록 하자.

타워의 최종 보스는 동레벨대 기준 월드 제로의 가장 강력한 적이라고 할 수 있다. 각 타워의 마지막 보스는 패턴도 다양하고 체력 역시 여러 명이 수 분을 때려야 잡을 수 있을 정도로 넉넉한 편이고 거의 모든 패턴 한방 한방이 치명적인 피해를 입힌다. 그리고 개중에는 즉사기와 무적기를 가진 적들역시[11] 존재하기에 레벨업 단계의, 상위 직업과 종결 장비를 갖추지 못한 플레이어들이 트라이할 경우 정말 수없이 죽어나가며 트라이를 해야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특히 8월드

타워에서의 목숨은 팀이 공유한다. 3명이 타워 트라이를 갔고 한명을 남기도 나머지 모두가 한 층에서 죽더라도 전멸하지만 않으면 다음 층에서 전부 부활이 가능하다.라떼는 25크리스탈 내고 부활했었다.

2.3. 무한 타워

현재 월드 제로의 최상위 컨텐츠이자 가장 어려운 난이도의 컨텐츠이다.

만렙인 130 기준으로할 때, 130층에서 시작하며 층을 하나 오를때마다 몬스터의 레벨이 1씩 올라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무한타워 역시 기존 타워처럼 몬스터 웨이브 4차례를 클리어하고 5의 배수의 층마다 보스가 나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무한타워의 경우 잡몹을 잡는 층에서는 별도의 시간제한이 없으며 1인 기준 20마리의 잡몹을 처리하게 되며 풀팟 기준 40마리의 잡몹을 처리해야 한다. 다만 일반 타워처럼 몹들이 어느정도 텀을 두고 나오는게 아니라 사방에서 한꺼번에 몰려오기에 정신차리지 않으면 포위되에 죽기 쉽다.

보스의 경우 일부 보스[12]를 제외한 대부분의 보스가 출현한다. 이들 역시 타워의 층수에 따라 레벨이 올라가기에 타워를 오를수록 더욱 강력한 보스가 나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보스전에는 3분의 시간 제한이 있기에 3분 안에 보스를 처리하지 못하면 게임 패배 처리가 난다.

그리고 보스의 경우 2명까지는 1마리의 보스가 출현하지만 3명부터 2마리의 보스가 출현하며 마지막 5명이 되면 자기마치 세 마리의 보스가 한번에 출몰하여 플레이어를 위협한다. 타워 보스만 세개 뜨거나 드래곤만 세마리가 뜨면 헬게이트다. 각각의 보스의 패턴이 겹쳐서 작용하기에 억까도 많고 죽을 위험도도 아주 높은데다 타임어택까지 해야하는 최고난이도의 컨텐츠에 걸맞는 위용을 보여준다.

2.3.1. 추천 직업과 비추천 직업

보통 스킬의 딜레이가 적거나 원거리인 직업이 좋은 평가를 받는다.

추천하는 직업으로는 은신을 통해 생존성 확보가 가능한 쉐도우 블레이드, 감속 능력을 가진 아쳐, 힐을 통해 생존성을 확보할 수 있는 빛의 마법사가 추천되며 소환사의 경우 단수가 높아질수록 소환수가 정말 녹아내리기에 크게 추천하는 직업은 아니다.

상술한 네 개의 직업을 제외한 나머지 직업으로는 고단으로 올라가기 힘들기에 추천하지는 않는다.

드라군과 가디언의 경우 경직이 지나치게 삼하고 딜도 높지 않아 잡몹한테도 죽는 저조한 성능을 보여준다.

2.3.2. 팁과 상대하기 어려운 보스 공략

보스전이 시작하기 전 잠시 쉬는 시간이 있는데 이때 정비를 할 수 있다.

여러 보스와 몬스터들은 근접에서 빙빙 돌며 공격하면 본스터의 평타를 피할 수 있어 생존에 도움이 된다.

어려운 보스로는 일명 사신 계열로 불리는 @@로드 계열의 몬스터들이 강력하다 평가된다. 그중 에테르 로드의 경우 혼자서도 공격대를 파괴할만한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드래곤 종류의 몬스터드 무적기가 세개나 존재하고 체력이 워낙 많아 타임어택이 힘들기에 어려운 보스중 하나로 칭해진다.이거 세개 보스로 뜨면 멋있다.

최강이자 가장 어려운 보스로는 월드 8의 타워보스 타후라가 있다. 장판기가 워낙 많고 패턴이 매우 빨라 일명 근접 킬러라고 불리며 독딜로 인해 고단에서는 한번만 실수해도 사망이 확정인데다 체력이 모든 보스중 가장 많은 축에 속하기에 요구되는 딜량 역시 굉장히 높다.

3. 마을

파일:town1.png
본 게임의 대표월드인 1 월드의 마을을 정면에서 바라본 사진

게임을 시작하거나 해당 세계에 처음으로 발을 내딛으면 마주하게 되는 곳이다. 게임을 플레이하는데 필요한 대부분의 시설물이 자리잡고 있으며 대다수의잠수를 타거나 펫을 구걸하는플레이어들이 머무는 곳이다. 월드마다 마을 생김새가 사뭇 다르고 NPC가 존재하거나 비밀공간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탐험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즐길거리이다.

기본적으로 모든 마을에는 웨이스톤 이라는 오픈월드 곳곳을 순간이동하게 해주는 텔레포트석이 존재하며 물건을 판매할 상점, 크리스탈을 이용해 거래하는 캐쉬상점, 아이템을 보관할 은행, 장비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대장간, 다른 월드로 이동할 수 있는 포탈, 던전 포탈, 펫 마스터, 펫 에그 상점, 유저 상점이 존재하며 곳곳에 벤치가 놓여져 있다. 예외적으로 1월드에는 유저 상점이 없고 최종 월드의 마을에는[13] 장비를 제로 장비로 변환시켜주는 제로알터와 나이트메어 던전 포탈이 존재한다.

4. World 1 / Crescent Cove

파일:RobloxScreenShot20201115_215824626.png
처음 시작할 때 오는 세계.

세계의 테마는 만[14]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해변과 숲지대이며 그로인해 게, 뱀, 늑대와 멧돼지를 섞은듯한 모습의 보어울프 등의 몬스터들이 출현한다.

최대 15레벨 까지의 장비가 드롭되며 대부분 이 월드의 던전을 모두 클리어할 시점에서 2성 직업으로 첫번째 전직을 하게 된다.

설정에 따르면 원래는 평화롭고 조용한 만이었지만 타락한 나무 장로가 이끄는 악한 세력들로 인해 더럽혀지고 있다고 한다. 그로인해서인지 마지막 던전인 무덤탑 던전 부근은 분위기가 어둡고 자체적으로 피해를 주는 독성 지대가 여럿 존재한다.

난이도가 전체적으로 매우 낮아 원거리 기본직업인 신비술사를 하면 역량에 따라 털끝하나 다치지 않고 다음 세계로 넘어갈 수 있는 일종의 튜토리얼 격인 월드이다.

여담으로 제작자가 가장 공을 들이는 세계이다. 업데이트가 수시로 일어나며 그로인해 지형도 자주 바뀐다.

특이사항으로 마을 안쪽 우물[15] 아래에 킹슬레이어 던전의 입구까지 통하는 지름길이 나 있다. 초반에 던전 입구를 해방할 때 굉장히 유양하므로 한번쯤 들어가 보는 것을 추천한다.

시작지점인만큼 마을은 건물들이 여럿 존재하는 곳으로 파쿠르를 통해 등대를 포함한 대부분의 건물에 올라갈 수 있다.

4.1. Crabby Crusade

레벨 제한 1
배경 : 해변
몬스터[주의]파일:월드제로 쪼렙 어스크랩.png
이름 레벨 체력
Earth Crab(대지의 게) 1 300
등에 작은 나무와 꽃들을 달고 있는 게의 모습이다.
집게발 공격 : 22
묘목 휘두르기 : 45
파일:월드제로 저렙 몬스터.png
이름 레벨 체력
Toucan(큰부리새) 1 300
원래 큰부리새보다 크기가 뻥튀기되었으며, 깃털이 매우 화려하다.
물기 : 33
버드 스트라이크 : 56

보스
파일:쪼렙보스.png
이름 레벨 체력
Crabbage(양게추) 2 2500
월드제로에서 처음으로 만나는 보스. 게의 모습에 양배추들이 합쳐진 모습이 꽤나 기괴하다.
집게발 공격 : 32
양배추 폭탄 : 33 (화상[17] 3초 / 초당 33)

4.2. Scarecrow Defense

레벨 제한 4
  • 몬스터

파일:월드제로 까마귀.png
이름 레벨 체력
Crow(까마귀) 4 613
크기가 뻥튀기 된 까마귀.

파일:월드제로 뱀.png
이름 레벨 체력
Cobra(맹독 코브라) 4 613
크기가 뻥튀기 된 코브라. 더 위협적인 모습으로 변했다. 여담으로, 같은 모습에 색만 다른 코브라들이 월드제로에서 자주 나온다.

파일:월드제로 강화 까마귀.png
이름 레벨 체력
Blackened Raven(검은 까마귀) 4
플레이어가 두 번째로 만나는 보스. 눈에서 보랏빛 불이 나오는 것 빼곤 까마귀와 같은 모델링을 공유한다.

이 던전은 특이하게도 웨이브 형식을 띄고 있다. 하지만 허수아비는 꽤나 단단해서 일부러 방치하지 않는 이상 터지지 않는다.
소환술사의 소환수들이 허수아비를 때리는 버그가 있다. 대미지는 안 들어 간다.

4.3. Dire Problem

레벨 제한 7
  • 몬스터
    • Boarwolf(보어울프)
      파일:월드제로 맷돼지.png
      이름처럼 멧돼지 늑대가 합쳐진 모습이다. 크기는 늑대와 비슷한 편.
      • 공격
      • 몸통박치기
        몸통박치기로 피해를 준다.
    • Elite Boarwolf(엘리트 보어울프)[18]
      파일:월드제로 강화 맷돼지.png
      보어울프에서 뿔만 붉은빛으로 빛나는 것빼곤 바뀐 모습이 없다.
      • 공격
      • 몸통박치기
        몸통박치기로 피해를 준다. 일반 공격보다 공격력이 조금 더 강하다.

      이 몬스터는 다른 쪽으로 악명 높은데, 서브퀘스트 중 이 몬스터를 무려 1000마리나 잡아오라는 정신나간 퀘스트가 있기 때문. 클리어하면 공짜 탈것인 Boarwolf를 준다. 탈것을 타고 다니는게 그냥 뛰어다니는 것보다 빨라서 후반부 던전에는 필수품. 따라서 언젠가는 잡아야 해야 한다. 작정하고 잡으면 3시간 정도면 깰 수 있으며, 자신이 없다면 Prison Tower 이전까지 시간 날때마다 틈틈이 해주면 된다.[19][팁]
  • 보스
    • Dire Boarwolf(다이어 보어울프)
      파일:월드제로 보스 맷돼지.png

    플레이어가 만나는 세 번째 보스로, 외형은 흡사 몬스터 헌터 시리즈 진오우거를 닮았다.
    보스방 직전에 굴러오는 돌에 맞으면 3초간 기절하고 올라오는 곳으로 순간이동 된다.
  • 공격
  • 몸통박치기
  • 수정 폭발
다이어 보어울프의 특수기 되시겠다. 다이어 보어울프가 기를 모으는 듯한 수정같은 것을 생성시킨 뒤 그걸 중심으로 빙글빙글 돌다가 폭발시켜 대미지를 준다. 이 던전을 플레이할 법한 레벨의 플레이어에겐 대미지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겠지만 폭발까지 딜레이가 길어서 왠만하면 피할 수 있다.

4.4. Kingslayer

레벨 제한 10

이 던전은 특이하게 보스의 방에 도달했을 시 게들이 Crab Rave를 추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나오는 몬스터들

파일:레벨10어스크랩.png
이름 레벨 체력
Earth Crab(대지의 게) 10 1264
  • 기본공격
집게발로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 나무 휘두르기
등에있는 나무를 휘두른다 기본공격보다 큰 피해를 입힌다.

파일:볼케이노 크랩.png
이름 레벨 체력
Volcano Crab(화산 게) 10 1264
붉은 색의 게의 모습에 등딱지는 화산같이 연기를 뿜어대며 울퉁불퉁한 돌기들이 솟아있다.
  • 기본공격
집게발로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 불 내뿜기
잠깐 기다린뒤 불을 내뿜는다 직격당할 경우 큰 피해[21]가 들어오니 웬만해선 피하는 것이 좋다.

파일:월드제로 번개크랩.png
이름 레벨 체력
Thunder Crab(번게 게) 10 1264
푸른색의 게의 모습이며,다른 게들과는 다르게 다리가 사람의 손 모양으로 생겼고, 등딱지에 가시가 솟아있다.
  • 기본공격
집게발로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 전기공격
잠깐 기다린후 집게발에서 전기가 나와 플레이어를 공격한다.맞을경우 600정도의 피해를 입게된다. 다만 시전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피할 수있다.
이름 레벨 체력
Crabbage(양게추) 10 5055
  • 기본공격
집게발로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 양배추 폭탄
초록색 양배추 폭탄을 주위에 뿌린다.
여담으로 Crabbage는 게(Crab)과 양배추(Cabbage)의 합성어다.
  • 보스
파일:킹크랩.png
이름 레벨 체력
King Crab(킹크랩) 10 6500
다른 게들보다 훨씬 거대하며, 눈이 여럿 달린것이 흡사 외계생물 같은 모습이다.
  • 기본 공격
집게발로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 제자리 뛰기
    킹 크랩이 제자리에서 뛰면서 하얀 원이 생기는데, 하얀 원이 가득차면 내려찍어서 범위 안에 있는 플레이어를 기절시킨다.
  • 불 뿜기
집게발에서 불을 뿜어 피격한 대상에게 화상을 입힌다.

이 보스를 5번 잡으면 킹크랩이 쓰고 있는 왕관을 준다.

4.5. Gravetower Dungeon

레벨 제한 12

언데드들을 배경으로 한 던전으로, 구울 기사와 영혼 말, 흡혈귀 보어울프와 나무의 수호자, 유독성 구가 나온다.

경험치 수급 끝판왕 던전이다.
  • 몬스터

    • 파일:구울기사.png
      이름 레벨 체력

      Ghoul Knight(구울 기사) 12 1674

    네크로맨서의 데스나이트와 뼈대와 스킬을 공유한다.[22]
  • 기본 공격

    • 검으로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가끔씩 사진에 나오는 푸른빛 검기를 품은 검으로 내리치며, 맞으면 플레이어는 스킬을 5초동안 사용하지 못하는 저주에 걸린다. 여담으로 저 푸른빛 검기는 Swordburst 2에서 나왔던 검기이다.
파일:RobloxScreenShot20201016_114124037 (2).png
* Spirit Horse(영혼 말)
가시가 솟아있는 말의 모습이다. 레벨에 비해 대미지가 매우 강하니 유의하자.[23]

파일:RobloxScreenShot20201016_114314112 (2).png
* Vampire Boarwolf(흡혈귀 보어울프)검은색 보어울프이다. 특이하게 이 개체는 멧돼지의 엄니가 없어서 얼핏 보면 그냥 늑대같기도 하다. 이 몬스터는 멀리 있을 때는 그냥 보라색 불꽃 같지만 접근하면 몬스터의 모습이 드러나면서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참고로 흡혈귀답게 공격이 들어가면 그만큼 체력이 회복된다. [24]
파일:RobloxScreenShot20201016_114406772 (2).png * Tree Guardian(나무의 수호자)
고릴라와 나무를 합친 듯한 모습이다.
* Toxic Goo(유독성 구)
월드제로에서 독창적으로 만든 몬스터인 Goo(구)의 녹색 버전으로 이름처럼 맞으면 독에 걸린다. 여담으로 월드3에서 펫으로 나온다.
  • 보스
    파일:RobloxScreenShot20201016_121015065 (2).png
  • Corrupted Greater Tree Ent(타락한 거대 엔트)
반지의 제왕 세계관에 나오는 엔트가 모티브인듯 하며, Tree Guardian(나무의 수호자)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훨씬 크고 나이 들어 보인다. 설정상 월드 1을 오염시키고 있는 장본인. 지 혼자 타락된 것 같기도 하고 누군가에 의해 타락 된걸 수도 있다.
다른 몬스터들과 다르게 플레이어에게 내리는 저주가 없으나, 체력이 반 이상 깎이면 나뭇가지들 사이에 숨어 무적이 되고 구울기사들을 소환하는 나뭇가지로 만든 차원을 3개 만들어 구울 기사들을 소환한다. 차원과 구울 기사들을 모두 격파하면 무적이 풀리고 엔트와 다시 싸울 수 있다. 그런 후에는 보스에게 빛나는 보라색으로 발톱도 생기며 머리모양도 무슨 마신처럼 변하면서 강화된다. 여담으로 엄청난 딜로 일격사 시키면 무적 패턴을 씹고 죽일수 있다. 다만 구울 기사들과 차원은 여전히 스폰하고 보호막도 정상적으로 생긴다.
  • 기본공격
팔을 휘둘러 공격한다.
  • 넘어져(?) 공격
일부러 플레이어를 향해 쓰러져서 무개로 찍어누르며 공격한다.

악몽 난이도 공략

구울 기사의 공격에는 절대 맞지 말도록 하자. 몹들이 매우 강한 데다 속도도 빨라 공포에 걸리면 죽을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호구 보스였던 엔트도 무시할 수가 없는데, 1페이즈 대미지가 최소 8만대 정도 되며, 크리티컬이 터지면 12만이 나온다. 물론 2페이즈로 돌입하면 공격력이 감소되지만 공격 속도도 빠르고 아프니깐 체력 조절을 잘하며 때리자.

5. World 2 / Embersky Jungle

파일:RobloxScreenShot20201115_221408028.png
첫번째 세계에서 15 레벨을 달성하면 이 세계로 넘어올 수 있다.

세계의 테마는 화산과 정글, 그리고 그곳에 매몰된 신비로운 유적지로 그로인해 던전 곳곳에 함정들이 많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최대 30레벨의 장비가 드롭되며 이 월드를 졸업할 때 쯤이면 보통 20레벨 후반대에서 30레벨대에 도달하게 된다.

설정에 따르면 고블린들이 나고 자란 곳으로 하지만 모험가들이 불쑥 찾아와서 평화로운 삶을 박살내겠지화산 안에 커다란 생물이 살고있으며 그 생물이 무언가를 지키고 있다고 한다.

마을이 두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고 곳곳에 앉아서 쉴 벤치와 더운 열대우림인 주제에모닥불이 많다. 편의성이 좋지 않은 편으로 플레이어 상점과 은행의 거리는 그럭저럭 가깝지만 상점과 미용실과의 거리가 멀어 그렇게 좋은 평을 받는 마을은 아니다.

5.1. Temple of Ruin

레벨 제한이 15
  • 몬스터
  • Spear Goblin(창 고블린)

    • 녹색 작은 고블린이 창을 들고 있는 모습. 공격은 약하다.

        파일:Slingshot_Goblin2.PNG.png
  • Slingshot Goblin(새총 고블린)

    • 새총을 쏘는 작은 고블린. 원 모양으로 쏘는 위치를 표시한다. 생각보다 위력이 강하니 잘 보고 피하는 것이 좋다.
      파일:Fire_Flower2.PNG (1).png
  • Fire Flower(불 꽃)

    • 식충 식물이 모티브인듯 하며 머리가 붉은 색이다. 입에서 커다란 불덩어리를 발사하며 맞으면 화상을 입는다. 원으로 범위를 표시하니 보고 피하면 된다.
      파일:Electric_Flower.PNG.png
  • Electric Flower(전기 꽃)

    • Fire Flower(불꽃)에서 색놀이 한 버전으로, 입에서 번쩍거리는 덩어리를 발사한다. 이 몬스터 역시 원으로 범위를 표시한다.
  • 중간보스
    파일:RobloxScreenShot20201016_133706791 (2).png
  • Goblin Gatekeeper(문지기 고블린) -중간보스도 볼드체 아니었나요?-
    중간 보스로, 중반에 단독으로 나오고, 보스인 고블린 기사와 같이 나온다.
  • 보스
    파일:RobloxScreenShot20201016_133846951 (2).png
  • Goblin Knight(고블린 기사)
    기존 고블린보다 거대하며, 기사처럼 갑옷과 방패로 무장했다.
  • 함정
  • 대나무 함정
밑에서 솟아나고, 옆에서 날아오는 대나무 함정이 있다. 월드4에서도 이 함정이 나오니 미리 피하는 연습을 해보자.
  • 망치 함정
    여러개의 진자운동을 하는 거대한 망치 함정이 있다. 맞으면 옆으로 튕겨나가니 타이밍을 맞춰서 피하자.
  • 벽 함정
빠른 시간안에 벽을 지나가야 한다. 시간이 갈수록 벽이 좁아지기 때문에 벽이 완전히 좁아지면 사망하게 된다.

여담으로, 이 스테이지는 클리어하는 방법이 보스를 잡고 끝내는 게 아닌 Royal Crystal이라는 분홍색 보석[25]을 밟으면 끝난다.

5.2. Mama Trauma

레벨 제한 18
  • 몬스터
  • Spear Goblin(창 고블린)
  • Slingshot Goblin(새총 고블린)
  • Cobra(맹독 코브라)
    징검다리밑에서 여러마리가 등장한다. 모두 잡아야 다음 몬스터들이 있는 곳으로 갈 수 있다.
    파일:Quillodile.png
  • Quillodile(퀼로다일)

    • 등에 가시가 달린 악어의 모습을 한 몬스터. 그냥 새로 나온 잡몹 정도이다. 이 몬스터도 Goo(구)에 이어 펫으로 등장했다.
      이름의 뜻은 Quill(고슴도치의 가시)과 Crocodile(악어)의 합성어이다.
  • Fire Flower(불 꽃)
  • Electric Flower(전기 꽃)
파일:Poison_Flower.PNG.png * Poison Flower(독 꽃)불 꽃,전기 꽃과 함께 나오는 몬스터. 맞으면 독에 걸린다.
  • 중간보스
  • Goblin Gatekeeper(문지기 고블린)
    중반 미니보스1로 등장한다. 달라진건 없다.
  • Goblin Knight(고블린 기사)
    중후반 미니보스2로 나온다. 달라진건 없다.
  • 보스
파일:Mama_Quillodile.PNG.png
* Mama Quillodile(마마 퀼로다일)
특이하게 시작하자마자 나와서 플레이어에게 달려드는데,주위에 있는 모든 퀼로다일을 잡으면 도망간다.물론 마마 퀠로다일만 주구장창 패면 지 알아서 도망간다.
이후 최종보스전에서 체력이 모두 찬 채로 등장하는데, 꼬리치기에 맞으면 3초정도 기절한 상태로 튕겨나간다. 일반적인 퀼로다일과 같이 생겼지만 크기만 뻥튀기된 모습이다.

징검다리나, 튀어 오르는 거대한 버섯 등, 점프맵 장르에서 나올법한 것들이 자주 나온다.

5.3. Volcano's Shadow

레벨 제한 22
  • 몬스터
Spear Goblin(창 고블린)
파일:월드제로 창고블린.png
붉은색의 창고블린도 나온다.
  • 공격
  • 찌르기
    창으로 찔러서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 Elite Goblin(엘리트 고블린)
    파일:월드제로 강화 고블린.png
    녹색,붉은색 개체로 나뉜다. 외형은 워크래프트 시리즈의 오크와 비슷하다.
  • 공격
  • 기본 공격
    칼을 휘둘러서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 불 붙이기
    검에 불을 붙인다. 이 상태로 기본 공격에 맞으면 화상을 입는다.
  • 횃불 불기
    횃불을 불어서 불을 뿜는다. 맞으면 화상을 입는다.
파일:RobloxScreenShot20201016_164922148 (2).png
* Minion of Cerberus(케르베로스의 미니언)
후술할 보스 케르베로스의 그림자의 축소판 버전이며, 공격방식도 비슷하다. 다수가 등장하며 보랏빛 브레스를 발사하고, 할퀴는 공격 등을 한다.
  • 중간보스
파일:RobloxScreenShot20201016_165347004 (2).png
* Goblin Gatekeeper(붉은 문지기 고블린)
  • 공격
  • 기본 공격
    팔을 휘두르거나, 방망이로 찌르고, 휘두른다.
  • 내려찍기
    문지기가 기운이 빠진 듯 서있다가 방망이로 내려찍는다. 맞으면 다운이 된다.
이 문지기 고블린을 5번 잡으면 사이드 퀘스트 하나가 완료되며, 경험치 2256을 준다.
그동안 나왔던 문지기 고블린의 색놀이판이다.
  • 보스
파일:RobloxScreenShot20201016_165624947 (2).png
* Shadow of Cerberus(케르베로스의 그림자)
케르베로스의 미니언의 뻥튀기판이며, 공격방식이 상당히 비슷하다. 허나 크기에 맞춰서 피해량도 높아졌으니 주의.
화산 던전의 보스인 케르베로스와 헷갈리지 말자. 이 개체와 그 개체는 엄연히 다른 개체이다. 이 개체를 5번 잡았다고 사이드 퀘스트에서 케르베로스의 날개를 주진 않는다. 대신 마그마 날개라는 케르베로스의 것과는 다른 날개를 준다.

5.4. Volcano Dungeon

레벨 제한 26
  • 몬스터
  • Gargoyle(가고일)
파일:월드제로 가고일.png
붉은색 악마의 모습을 한 몬스터. 어째 이름은 가고일이지만 돌로 되어 있지 않다.
  • 공격
  • 몸 통박치기
몸통 박치기를 해서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입힌다.
  • Magma Goo(마그마 구)
파일:월드제로 마그마 구.png
월드제로에서 독창적으로 만든 Goo의 두 번째 버전. 맞으면 화상에 걸리며, 이 개체 역시 펫으로 나왔다.
  • 공격
  • 때리기
    플레이를 손으로 두 번 때려서 피해를 준다.
  • Magma Bat(마그마 박쥐)
    파일:월드제로 마그마 박쥐.png
    날개달린 붉은 악마의 모습을 하고 있다.
  • 공격
  • 몸통 박치기
    몸통 박치기를 해서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준다.
  • Lava Golem(용암 골렘)
    파일:월드제로 마그마 골렘.png
    플레이어가 마주할 첫 번째 골렘. 내리치기 공격은 플레이어를 3초동안 기절하게 만들어 피하는 것이 좋다.
  • 공격
  • 팔 휘두르기
    팔을 휘둘러서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준다.
  • 팔 내려치기
    팔을 내려쳐서 큰 피해를 준다.다만 시전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백스텝으로 피할 수있다.
  • 보스
  • Cerberus, Volcano Guardian(케르베로스, 화산의 수호자)
파일:월드제로 월드2 최종보스.png
월드 2의 최종보스. 다만 이전에 나온 케르베로스의 모델링을 공유하며, 공격방식도 비슷하다. 이 개체를 5번 잡으면 마그마 날개를 보상으로 준다.
  • 공격
  • 앞발 휘두르기
앞발을 휘둘러서 피해를 준다.
  • 브레스
    전방에 브레스를 쏴서 피해를 준다. 브레스에 맞을시 화상 디버프에 걸리니 주의하자.
    • 점프
점프를 한 뒤 착지해서 보스주변의 공간에 피해를 준다. 피격 시 기절한다.
  • 녹색 광선
    입에서 레이저를 뿜어서 피해를 준다. 직격으로 맞으면 죽을 정도로 큰 피해가 들어오므로 피해야 한다.

체력이 75% 이하 남으면 문 안으로 도망친다. 케르베로스를 따라 들어가면 거대한 심장과 케르베로스가 맞이해준다.
  • 불덩이 공격
일정 시간마다 빨간색 원을 만든 뒤 빨간색으로 전부 채워지면 불덩이를 소환해 해당 범위에 피해를 입힌다. 피해를 받을 경우 화상 디버프가 걸린다.

그리고 2페이즈에서 체력이 30% 이하가 되면 잠시 무적 상태가 되면서 머리가 3개가 생긴다.
머리가 3개로 늘어난 만큼 브레스와 녹색 광선의 범위가 매우 넓어졌으니 주의.
  • 메테오
    머리를 위로 들어 메테오를 여러 개를 소환한다. 그리고 빠른 속도로 플레이어를 조준해 원을 만든다. 조금이라도 느려지면 적지 않은 피해를 입는다.

보스인 케르베로스의 난이도가 처음 도전하는 플레이어 기준으로 조금 버거운 편이다. 시도때도 없이 뿜어대는 화염 브레스는 까딱 잘못하면 지속적으로 들어오는 기본 대미지 + 화상 대미지와 함께 상당히 위험하며, 중간중간 발사하는 녹색 광선도 위력이 상당한 수준이다. 체력이 많고 레벨이 높아도 이 공격을 정통으로 맞으면 매우 위험하다. 장비의 퍽을 잘 맞춰 화염저항을 100% 이상으로 끌어올려주고 도전하자. 상대하기가 매우 수월해진다.

여담으로 이 던전부터는 체력바가 보라색이고 검보랏빛 아우라를 뿜어내며 체력바 위에 ELITE라고 적힌 몬스터가 출현하니 주의하자.

악몽 난이도 공략

적들의 인식 거리가 매우 넓어져 몹몰이도 쉬워진 데다, 보스룸 이전 방을 제외하면 각 방이 그다지 넓지 않아 빠르게 처리가 가능하다. 하지만 용암 골렘의 스턴 공격은 매우 위험하고, 케르베로스의 공격 속도도 매우 빨라졌으니 방심하지 말자.

6. World 3 / Glacier Valley

파일:wold3.png
월드의 테마는 설원. 일본식 건출물들과 설산에 위치한 온천등으로 볼때 주로 일본의 겨울을 모티브로 삼았다는것을 알 수 있다.

월드의 전체적인 난이도는 이전 월드들에 비하면 어려운 편이다. 빙결 디버프가 매우 뼈아프고 아이스 골렘의 체력이 무지막지한데다 랩터류 몬스터들이 굉장히 빨라 초행이라면 포위당해 죽기 쉽다.

파일:sinsa.png
일본식 건축 양식을 차용한 것처럼 토리이가 곳곳에 위치한다.

파일:icefuss.png
여담으로 크리스마스 이벤트의 보스 크람푸스가 설산 꼭대기에 얼어붙어 존재한다.

6.1. Mountain Pass

레벨 제한 30
  • 나오는 몬스터들
  • Snow Raptor(눈 랩터)
파일:월드제로 스노우 랩터.png
아킬로바토르와 비슷하게 생긴 랩터다. 이동 속도도 빠른 주제에 어그로 범위가 굉장히 넓어 3월드 초기거나 던전이 요구하는 최소 레벨에서 플레이하면 굉장히 골치아픈 녀석.
  • 공격
머리박치기
플레이어에게 머리박치기를 해서 피해를 준다.

*Crystal Spider(수정 거미)
파일:월드제로 수정거미.png
Crabbage(양게추)못지않게 혐오스럽게 생긴 거미. 몸 곳곳에 노란색 가시가 달려있다.
  • 공격
  • 다리 내려찍기
앞다리를 올린뒤 내려찍어서 피해를 준다.
  • Ice Flower(얼음 꽃)
파일:월드제로 얼음꽃.png
앞서 말한 불 꽃, 전기 꽃들과 같은 모델링을 공유하며, 맞으면 속도가 느려진다.
  • 공격
  • 얼음 발사
플레이어가 몬스터 근처에 있지않을 때만 발동되는 스킬로 얼음을 발사하기전 발사하는 위치에 하늘색 원을 표시한뒤 하늘색원안의 하늘색이 꽉 채워지면 얼음을 발사한다. 만약 맞을경우 4초동안 이동속도가 느려지는 디버프에 걸린다.
  • 물기
플레이어가 몬스터 근처에있으면 발동되는 스킬로 플레이어를 물어서 피해를 준다.

여담으로 모든 꽃 몬스터는 원거리 공격과 근접 공격이 모두 닿지 않는 구간이 존재한다.
  • Frost Golem(서리 골렘)
    파일:월드제로 프로스트 골렘.png
맞으면 플레이어는 얼음 상태로 굳어 4초동안 있는다. 다만 점프가 가능해서 서리 골렘이 한 팔로 내리치는걸 피할 수 있다.
  • 공격
  • 팔 휘두르기
팔을 휘둘러서 피해를 준다.
  • 팔 내려치기
    팔을 내려쳐서 피해를 준다. 위의 팔 휘두르기보다 더 많은 피해를 입히며 맞을시 4초간 빙결 디버프[26]에 걸린다.

서리 골렘의 시선이 끌리자마자 바로 돌진하지 말자. 발견하자마자 두 팔로 내리치는 경우가 있다. 눈으로 보고 피하자.
이 몬스터는 성가시는 점이 있는데 바로 팔 내려치기 공격은 팔라딘의 방패로 막아도 디버프가 그대로 들어온다. 그러므로 팔 내려치기를 시전한다면 막을 생각 하지말고 그냥 피하자.
  • Icy Goo(얼음의 구)
    파일:RobloxScreenShot20201017_155029844 (2).png
    Goo의 세 번째 모델링. 이 개체 역시 펫으로 나왔다.
  • 공격
  • 때리기
    플레이어를 2번 때려서 피해를 준다. 일정 확률로 공격에 맞을 경우 이동속도가 느려지는 디버프에 걸린다.
  • 보스
  • Woolly Mammoose(울리 맘무스)[27]
파일:월드제로 3-1 보스.png
매머드의 모습에 무스의 뿔이 달려있는 모습이다.
  • 공격
  • 머리 박치기
머리를 휘둘러서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준다.
  • 내려찍기
머리를 내려찍어서 플레이어에게 큰 피해를 준다. 또한 이 공격을 맞을시에는 4초간 빙결 디버프에 걸린다.
  • 랩터 소환
    랩터들을 소환한다.

6.2. Winter Cavern

레벨 제한 35

나오는 잡몹들은 Mountain Pass와 동일하다.

유일하게 더블보스가 나오는 던전이다.
  • Ice Barricade(얼음 벽)
파일:월드제로 얼음 바리케이트.png
보스전을 하기전에 만나게되는 장애물이다. 당연히 장애물인 만큼 공격력은 없지만 체력이 매우 높고 이 장애물을 부수는 동안 뒤에서 서리 골렘이 완전히 부술 때까지 계속 스폰되기 때문에[28] 되도록이면 장애물을 빨리 부수는 것이 좋다.
  • 보스
  • Alpha Raptor(알파 랩터)
파일:RobloxScreenShot20201017_162335428 (2).png
붉은 랩터이며, Beta Raptor과 함께 나오는 보스이다. 기존 랩터보다 크기가 조금 더 거대하다.
  • 스킬
  • 머리박치기
머리박치기를 해서 피해를 준다.
  • 회복
보스주변에 원이 있는데 그 원이 베타 랩터의 원과 겹치면 회복을 한다.
  • Beta Raptor(베타 랩터)
파일:월드제로 베타랩터.png
주황빛 랩터이며, 알파 랩터와 같이 나오는 보스다.
스킬은 알파 랩터와 같다.

여담으로 보스가 가끔씩 공격을 멈추고 두 보스가 서로를 바라볼때가 있는데 이때는 방해를 받지않고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이때 최대한 많은 피해를 입혀야한다.[29]

특이하게도 여기 던전의 보스는 두 마리가 나오는데, 보스 주변의 원이 겹치면 체력 회복을 하기 시작한다. 파티 플레이 시 떨어뜨려서 없애도록 하자. 물론 스펙이 좋다면 회복량을 넘어서는 공격을 퍼부어서 잡을 수 있긴 있다.

솔로 플레이에서 상대해야 하는 경우에는 보스를 떨어뜨려 놓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인데, 이 점을 이용해 자리를 잘 잡으면 1명분의 공격만 받으며 보스를 상대할 수 있으니 참조. 힐, 방벽 스킬을 지닌 펫을 가지고 가면 수월하게 잡을 수 있으니 참고.
특히 마스터 난이도에서는 솔플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체력이 많고 그에 따라 회복량도 만만하지 않다. 파티로 가서 체력이 늘어날 지언정 떨어뜨려서 체력을 깎는게 낫다.

6.3. Winter Dungeon

레벨 제한 40
나오는 잡몹들은 Mountain Pass와 같다.
  • 장애물
  • Red Thorns(붉은 가시덩굴)
파일:월드제로 윈터던전 장애물.png
이 던전에 나오는 빨간색 장애물로 같은 장애물인 Ice Barricade에 비하면 체력이 적은편이다.
  • 중간보스
  • Castle Knight(성기사)
파일:월드제로 윈터던전 중간보스.png
2마리가 나온다. 외형은 고블린 기사와 같은 모델링을 공유한다.[30]
  • 공격
  • 휘두르기
무기를 휘둘러서 피해를 준다.
  • 찌르기
찔러서 휘두르기보다 더 많은 피해를 준다. 이 기술을 사용할 때는 무기에 파란 효과가 생기니 참고하자.
  • 내려치기
내려쳐서 큰 피해를 주고 맞은 플레이어를 잠깐 기절 시킨다.
  • 보스
  • WinterFall, The IceDragon(빙룡 윈터폴)
파일:월드제로 아이스 드래곤.png
크기가 매우크다.
왕좌의 게임에 나오는 와이트가 된 비세리온과 비슷하게 생겼다. 브레스와 무차별 광선을 혼용해서 쏜다는 점에서는 이 녀석과 비슷하기도 하다.
  • 공격
  • 물기
플레이어가 가까이 있을 때만 시전하는 공격으로 플레이어를 물어서 피해를 준다.
  • 날개 공격
날개를 휘둘러서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준다. 맞을경우 이동속도가 감소하는 디버프에 걸린다.
  • 브레스
    전방에 브레스를 뿜어서 큰 피해를 준다.

용의 체력이 반 이하로 떨어지면 날갯짓을 하는데 아래는 날갯짓을 한 상태에서 시전하는 기술들이다.
  • 착지
착지를 해서 즉사기 수준의 피해를 준다. [31]얼음 뒤를 제외한 보스룸 전체를 덮을 정도로 범위가 넓다. 하지만 시전시간이 10초 정도로 길기때문에 쉽게 피할 수 있다.
  • 푸른 광선
광선을 아무렇게나 쏴서 광선이 지나간 곳에 피해를 입히는 결정을 설치한다. 레이저에 직격으로 맞거나 장판에 가까이 가면 10초동안 빙결 디버프에 걸림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어 자칫하면 사망하기 때문에 잘 피해야 한다.

날갯짓을 하며 시전하는 기술 두 개만 조심한다면 쉽게 잡을 수 있다.

악몽 난이도 공략

필드 난이도가 매우 올라갔다. 수정 거미의 대미지가 매우 상승했고, 특히 서리 골렘의 내려치기 공격을 맞으면 사실상 죽는다. 그리고 성기사 2마리를 상대하는 것도 버거워졌다.
물론 윈터폴은 크게 어렵지 않다. 하지만 버그로 아주 가끔씩 모션이 보이지 않으므로 주의하자.

7. World 4 / Pharaoh's Canyon

파일:wold4.png
월드 3의 퀘스트를 전부 클리어 했을 시 올 수 있는 세계.

층 테마는 사막과 독. 화상보다는 덜 아파도 지속시간이 훨씬 긴 독 디버프를 받으니 주의.
이 곳은 이전까지의 월드보다 어렵다. 또한 맵에 함정이 매우 많으니 정신줄 바짝 잡고 플레이하자.
지금까지 강화를 안했어도 이 지역부터는 강화를 어느정도 해야 한다. 60레벨 이전까지는 흔한 장비만 강화해 써도 충분하나, 60레벨이 되었다면 타워를 돌 수 있는데, 돌거면 어느정도 강화를 해야한다.

파일:wo4.png
2024년 5월 갤럭시 이벤트로 인해 월드가 많이 바뀌었다. 전체적으로 6월드처럼 중력이 없어지고 저지대가 독성 물질에 뒤덮였다. 추후 갤럭시 이벤트 종류 후 하늘의 ufo와 저중력은 사라졌지만 여전히 저지대는 독성 물질에 뒤덮혀 있다.

7.1. Scrap Canyon

레벨 제한 45
  • 몬스터
    • Happy Cactus(행복한 선인장)행복한건가
      파일:해피선인장.png
      말 그대로 인간처럼 팔다리가 자라있는 선인장.
      • 팔 휘두르기
        팔을 휘둘러서 피해를 준다.
      • 팔 모으기
        두 팔을 모아서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준다.
    • Dark Scorpion(어두운 전갈)
      파일:월드제로 다크 스콜피온.png
      작은 검은색 전갈이다.
      • 찌르기
        집게발로 찔러서 피해를 준다.
    • Desert Flower(사막 꽃)
      파일:월드제로 사막꽃.png
      앞서 나온 꽃들과 같은 모델링을 공유하는 꽃.
      • 모래 늪
        모래를 발사하여 스플래시 대미지를 주고, 모래가 떨어진 자리에 플레이어의 이동속도를 느리게 하는 늪을 생성한다.
      • 물기
        가까이 있을 때만 시전하는 기술로 물어서 피해를 준다.
    • Red Scarab(붉은 풍뎅이)
      파일:월드제로 빨간벌레.png
      딱정벌레와 비슷하게 생긴 거대한 벌레.
      • 물기
        플레이어를 물어서 피해를 준다.
      • 자폭
        한번이라도 공격당했을 시 즉시 자폭해 주변에 피해를 준다.

      체력은 Green Scarab과 같으나, 한대 맞으면 그 즉시 자폭한다. 일반 풍뎅이 상대하듯 상대했다가 자폭뎀에 피볼 수 있다.
  • 함정
    • 불 붙은 돌
      파일:월드제로 불붙은 돌.png
      말 그대로 불 붙은채 굴러오는 돌. 돌에 닿는 순간 돌이 폭발해 상당한 피해를 입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 파이프
      파일:월드제로 파이프1.png
      독이 나오는 파이프로 독에 맞을시 독 디버프에 걸리니 주의.
  • 보스
    • The Wasteland Tyrant(황무지의 폭군)
      파일:월드제로 4-1 보스.png
      멧돼지를 타고 있는 녹색 피부의 거인. 처음에는 탑 위에 있어서 공격이 불가능하다. 보스룸 사방에 4개의 나사가 사슬, 더 나아가 탑과 연결되어 있는데, 사슬을 고정하고 있는 나사 4개를 모두 끊어야 보스와 싸울 수 있다.
      • 박치기
        박치기를 해서 피해를 준다.
      • 밀쳐내기
        짧은 딜레이 후에 플레이어를 조금 밀쳐낸다.
      • 밀쳐내기
        보스 밑에 원을 만든 뒤 원의 하얀게이지가 다 차면 다운시킨 뒤 매우 먼 거리를 밀쳐낸다. 위치를 잘못 잡으면 이 스킬로 낙사할 수 있으니 주의.
      • 투사체 발사
        체력이 절반 이하로 내려가면 시전하는 스킬로 독 투사체를 발사하여 피해를 준다.

      플레이어가 입히는 대미지를 경감해 받는 유일한 보스. 이 때문에 실질적인 체력에 비해 잡는 시간이 훨씬 더 오래 걸리며, 플레이어가 그냥 팼다간 오래 걸린다. 하지만 보스룸 내의 파이프에서 나오는 독에 대미지를 입는다. 당장 보스가 체력이 줄면 독 공격을 한다는 점을 생각해 본다면 아이러니 그 자체.

7.2. Deserted Burrowmine

레벨 제한 50
  • 몬스터
  • Happy Cactus(행복한 선인장)
파일:월드제로 선인장1.png
공격은 4-1과 같다.
  • Desert flower(사막 꽃)
파일:레벨 50사막꽃.png
역시 공격은 4-1과 같다.
  • Green Scarab(녹색 풍뎅이)
파일:월드제로 초록벌레.png
녹색 자폭풍뎅이.
  • 공격
  • 물기
플레이어를 물어서 피해를 준다.
  • 자폭
체력이 0이 될경우 자폭해서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준다. 이때 자폭피해는 몬스터에게도 들어간다.
  • Rock Golem(바위 골렘)
파일:월드제로 돌골렘.png
  • 공격
  • 팔 휘두르기
팔을 휘둘러서 피해를 준다.
  • 팔 내려치기
팔을 내려쳐서 팔 휘두르기보다 더 많은 대미지를 준다. 이때 맞을 경우 3초간 스턴에 걸리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피해야한다.
  • Cobra(맹독 코브라)
파일:월드제로 코브라2.png
월드1과 2에 나왔던 그 코브라 맞다.
  • 공격
  • 물기
플레이어를 물어서 대미지를 준다. 물릴경우 일정확률로 독 디버프에 걸리기 때문에 조심하자.
  • 함정
  • 독구름
파일:월드제로 독 구름.png

일정시간마다 배경이 초록색이 되면서 몰려오는 초록색 구름이다. 이 구름에 닿으면 독 디버프에 걸리니 주의하자.
  • 보스
  • 중간보스
  • Buff Cactus(강화 선인장)
파일:월드제로 강화 선인장.png
  • 공격
  • 때리기
플레이어를 때려서 피해를 준다.
  • 팔 모으기
팔을 모아서 때리기보다 조금 더 큰 피해를 준다.
  • 최종보스
  • Sand Scorpion(모래 전갈)
파일:월드제로 모래전갈.png
  • 공격
  • 찌르기
집게로 플레이어를 찔러 피해를 준다.
  • 독침
꼬리에 있는 독침으로 플레이어를 찔러 피해를 준다. 피격당할경우 독 디버프에 걸린다.
  • 땅 파기
땅을 파서 잠깐 숨은뒤, 플레이어가 있는 위치로 나와서 공격한다. 이때 이 스킬에 피격당할경우 3초동안 스턴에 걸린다.
  • 녹색 광선
꼬리로 녹색 광선을 발사해서 매우 큰 피해를 입힌다.[32]
  • 전갈 소환
모래를 발사해서 플레이어를 느리게한뒤 전갈을 소환한다.

일정 시간마다 독구름이 몰려오는데 닿으면 약 8초 동안 중독 상태에 걸린다. 최대 30초까지 중첩이 가능하다.

7.3. Pyramid Dungeon

레벨 제한 55

나오는 몬스터는 4-2와 같다.
  • 함정
    • 타일 함정
      파일:월드제로 함정1.png
      밟으면 타일이 땅으로 꺼지는 함정. 피라미드 내의 함정은 밟으면 체력의 절반을 잃고 살아나올 수 있으나, 보스룸의 함정은 자동으로 꺼지며 떨어지면 즉사였으나 최대 체력의 40% 피해로 수정되었다.
    • 죽창 함정(가시))
      파일:월드제로 함정2.png
      일정시간마다 죽창이 바닥위로 올라오는 함정으로 밟으면 대미지와 함께 3초간 관통 디버프에 걸린다.
    • 죽창 함정(발사)
      파일:월드제로 함정3.png
      일정시간마다 죽창이 발사되는 함정. 죽창에 맞으면 3초간 넉백 상태에 빠진다.
    • 불 붙은 돌
      파일:월드제로 돌굴러가유.png
      4-1에 나온 돌로 닿으면 폭발한다.
  • 미니보스
    • Buff Cactus(강화 선인장)
      파일:강화선인장 2.png
      스킬은 4-2와 동일. 한 마리는 피라미드 입구 앞에서, 한 마리는 피라미드 내부에서 출현한다.
  • 보스
    • Anubis, Trickster of Titans(아누비스, 환영의 거신)
      파일:월드제로 아누비스.png
      패턴 설명

      내려찍기(약) 보스가 지팡이로 바닥을 내려찍어 충격파를 일으킨다.

      내려찍기(강) 보스 아래에 수정형 오브젝트가 생기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보스가 바닥을 내려찍어 4방향으로 원형 충격파를 일으킨다.

      Green Scarab 소환 여러 마리의 Green Scarab이 맵에 소환된다. 소환된 Green Scarab들의 레벨은 1로 고정된다.

      레이저 소환 보스룸 가운데의 회전하는 수정형 오브젝트에서 레이저가 발사된다. 기본적으로 1개만 발사되나, 보스 체력이 50% 이하일 경우 2개, 25% 이하일 경우 3개까지 발사된다.

      포탈 소환 보스의 체력이 50% 이하로 내려갈 경우 발동. 보스에게 하얀 수정형 보호막이 생기며 무적이 된다. 맵에는 플레이어 1인당 포탈 2개가 생성되며, 이 안에서 Golden Cobra들이 무제한으로 소환된다. 생성된 포탈들을 전부 파괴하면 패턴이 끝난다.

      보스가 문제가 아니라 보스룸이 문제인 보스전. 보스 자체의 패턴은 호구에 가까우나, 보스룸 바닥이 매우 빠른 속도로 붕괴해가니 당장 살기 위해선 바닥에 신경써야 한다. 보스룸 밑 공허에 떨어지면 최대 체력의 40% 감소한다. 바닥은 무너지지, 보스룸 내에는 잡몹이 쏟아지지, 보스는 계속 다가오지, 여러모로 정신 사나우니 다른 던전을 도는게 낫다. 만약에 제로 무기 노가다를 한다고 하면 악몽 말고 마스터 난이도를 돌자.


여담으로 던전의 배경이 피라미드인 만큼 함정들이 매우 많다.

악몽 난이도 공략

역시 필드가 문제다. 특히 중간보스는 매우 빠르게 공격하므로 조심하자. 아누비스의 공격력도 상당히 올라갔으니 마냥 맞지 말자.
사실 여긴 이전 난이도에서도 100레벨 아이템을 주기 때문에 굳이 할 필요가 없다

8. World 5 / Kanoh Gardens

파일:wold5.png
월드 4의 퀘스트들을 모두 클리어하면 올 수 있다.

월드의 테마는 벚꽃이 만개한 정원. 마을 곳곳에 벚꽃과 나뭇잎이 흩날리며 포장도 잘 되어 있는등 굉장히 아름답고 산뜻한 느낌을 준다. 하지만 숲 깊숙히 들어갈 수 록 위험한 종류의 몬스터들이 많아지고 맵도 어둡고 칙칙해 지는등 마냥 밝은 곳은 아니다.

전체적으로 난이도가 어느정도 있는 월드이다. 이전 네 개의 월드와는 달리 잡몹들이 다채로운 패턴을 사용하기 시작하고 본격적으로 어려운 기믹의 던전이 추가되며 결정적으로 타워가 추가된다.[33]

공포와 화염 디버프를 부여하는 적들이 많이 나온다.

그네 등등 마을 내에 흥미로운 오브젝트나 npc 들이 존재한다.

과거 매우 의미심장한 오브젝트들이 존재했었다.[예시]

8.1. Konoh Heartland

레벨 제한 60
발렌타인 이벤트와 함께 추가된 새로운 던전이다. 이 던전에서 조심해야 할 것은 보스의 번거로운 패턴과 공포를 거는 잡몹들과 던전에서 나오는 다리에 있는 함정과 죽창이 날아오는 함정[35] 정도다. 중간보스도 등장하지 않는 던전이지만 그만큼 최종 보스의 패턴이 까다롭고 다른 던전들과 전혀 다른 공략을 요구해 어느정도 난이도가 있는 던전이다.

특이하게 맵에 함정 오브젝트가 많은 편이다. 또 사거리를 무시하고 날아오는 블로섬 트리의 공포 장판 등으로 인해 여러 발판 위에서 공포와 창의 스턴을 맞고 높은 레벨에서도 산화하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

파일:5-1_Room5-2.webp
만약 오비가 어렵거나 억까에 공포에 지쳤다면 바로 아래쪽으로 대쉬하여 아래에서 위로 올라오는 것으로 장판기를 피할 시간을 충분히 벌 수 있고 창 오브젝트도 해결할 수 있다.
  • currupted greater tree
    파일:CorruptedGreaterTree_sq.webp
    해당 던전의 최종보스. 기본적인 패턴은 두가지로 굉장히 적지만 일정 시간동안 딜을 몰아 처리해야하는 타워형 보스 [36] 이기에 패턴 자체는 매우 쉽지만 공략 도중 무적 페이즈에 돌입하면 몬스터 무리를 소환하기에 폭딜에 능한 네크로맨서, 소환사, 버서커 등의 직업이 높은 효율을 보여준다.
  • 무적 보호막
    기본적으로 보스는 모든 피해에 면역인 완전 무적 상태이다. 하지만 이 상태에서 보스가 소환하는 블로섬 트리 2마리, 푸른 새총 고블린 2마리, 푸른 엘리트 고블린 2마리를 모두 처치하면 30초간 공격 가능 상태가 된다. 30초 후에는 도로 무적 보호막을 활성화하고 몬스터 무리를 소환한다. 보스가 죽을때까지 무한히 반복되는 패턴이다.
  • 공포의 일격
    주기적으로 보스는 플레이어를 중심으로 하여 공포를 부여하는 장판을 세개 깐다. 맞으면 어느정도 아프고 공포 디버프를 부여하기에 가능한한 대쉬를 이용해 피해야하는 패턴이다.
  • 배기구 방출
    주기적으로 전장 바닥에 있는 배기구가 보랏빛으로 변하며 배기구 위의 모든 플레이어에게 공포 디버프와 대미지를 입힌다. 공포도 공포거니와 공격력이 상당히 높기에 가능한한 배기구에 올라가지 말자.

8.2. Konoh Inferno

레벨 제한 65
6, 7월드와 함께 월드의 던전 수를 맞추기 위해 추후 추가된 던전이다. 전체적인 난이도는 이전 던전인 코노 하트랜드보다 낮지만 장판기를 난사하는 보스와 중간 보스가 존재하는 등 근거리 직업으로 플레이하기 난이도가 있는 던전중 하나이다.
  • root of ignis
    파일:RootofIgnis_FlamingRoots.webp
    [37]
코노 인페르노의 중간보스. 다수의 고블린을 대동하고 나오므로 어느정도 주의를 요하는 보스이며 특히 뿌리뽑기 패턴의 딜이 상당한 편이다. 하지만 보스의 패턴 자체는 굉장히 쉽기에 침착하게 대처하면 어렵지 않게 무찌를 수 있다.
  • 핸드 슬램
    보스가 손바닥으로 바닥을 후려친다. 범위도 좁고 선딜레이도 있으니 적당히 피해주자.
  • 그레이트 슬램
    보스가 손바닥으로 바닥을 내리찍더니 이내 땅으로 쓰러지며 큰 대미지를 준다. 전형적인 한대만 기술로 선딜레이가 굉장히 기니 무난히 피할 수 있다.
  • 뿌리뽑기
    보스의 체력이 50% 이하가 되면 사용하기 시작하며 손가락을 바닥에 박더니 총 10개의 뿌리를 뽑아내 광역으로 큰 대미지를 준다. 공격력은 정말 살벌하나 선딜레이가 길어 피하기 어렵지 않은 보스이다.
  • eye of ignis
    파일:eyegay.webp
    게임에 자주 등장하는 많은 구 몬스터의 강화형. 전체적으로 구를 그대로 키워둔 모습으로 생겼지만 장판기를 달고사는 수준이기에 근접 클래스는 초행길에 많이 어려워하는 보스이기도 하다. 특히 용암 두르기 기술동안 일부 직업은 손가락만 빨아야 하는 등 대처하기 난해한 패턴이 많다.
  • 기본 공격
    기본 공격이다. 그닥 아프지는 않으니 장비가 된다면 맞아줘도 괜찮다.
  • 용암 두르기
    보스가 주위에 작은 원 형태로 용암을 두르며 시간이 지나면 용암의 크기가 커진다. 대미지는 절륜한 편이지만 대미지가 들어오는 시간차가 존재하기에 충분히 반응속도로 피할 수 있다. 20초에 한번씩만 발동된다. 일부 근딜들은 해당 페이즈동안 보스에게 접근할 수 없다.
  • 용암강 만들기
    체력이 50% 이하가 되면 전장 중앙에 용암 강을 만들어 플레이어의 이동을 제약한다.
  • 메테오 난사
    체력이 50% 이하이면 주변에 메테오를 뿌린다. 메테오는 땅에 닿으면 폭발하며 주기적으로 작게 나눠져 집중해서 피해 주어야 다 피할 수 있다.

8.3. The Prison Tower


파일:월제 타워 입구1.png
정상적으로 플레이한 유저가 처음으로 만나게 되는 타워이다. 마을 가까운 곳에 위치하며 화염 디버프를 부여하는 몬스터가 많이 나오므로 공격에 맞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타워의 전체적인 난이도는 적정 레벨대 파밍이 잘 되어있지 않은 기준 굉장히 어려운 편이다. 보상 상자를 전부 먹기도 힘들고 솔로플레이도 적절하지 않다.[38] 다만 파티 플레이를 할 경우 난이도가 상당히 낮아지므로 파티를 꾸려 갈것을 권장한다.

타워 내부에는 중간보스로 이그니스의 방패가, 타워의 최종보스로 화룡 이그니스가 등장한다.
  • shield of ignis
    파일:redgay.webp
타워의 중간보스격 몬스터. 불 테마의 5 월드 타워의 보스답게 수많은 화염계 공격 능력을 가지고 있다. 화염계 답게 패턴 한방한방의 공격력이 상당히 높고 강력하다.
  • 후려치기
    보스가 방패로 후려쳐 공격한다. 쉴드 오브 이그니스의 평타.
  • 화염대검 지르기
    불타오르는 대검을 전방으로 내뻗어 큰 피해를 입힌다. 쉴드 오브 이그니스의 제 2의 평타이나 공격력이 상당하기에 모션을 보고 잘 피해야 한다.
  • 대지분쇄
    쉴드 오브 이그니스가 큰 포물선을 그리며 땅을 내리쳐 높은 피해와 기절을 입힌다. 무조건 피해야 하는 기술중 하나. 타워의 수많은 몬스터들과 보스의 평타를 스턴 상태로 맞으면 십중팔구 산화하므로 가능한한 피해주자.
  • 대검 내려치기
    쉴드 오브 이그니스가 대검을 크게 휘둘러 적들을 내리치고 하늘에서 불타는 여러개의 화염검을 떨어뜨려 큰 광역 피해를 입힌다. 대검은 한두개만 맞아도 정말 아프니 재빠르게 보스와 거리를 벌려주자.
  • ignis, fire dragon
    파일:Ignis_New.webp
월드5 타워의 최종보스이자 유저가 만나게 될 최초의 타워 최종보스. 전체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타워의 최종보스 답게 이전 던전의 여러 보스 몬스터들과는 차원이 다른 스펙을 보유하고 있다. 대부분의 공격기가 화염 디버프를 유발하며 장거리 이동을 강제하는 즉사기가 존재하기에 패턴 숙지를 잘 하지 못했다면 낭패를 보기 쉬운 보스이다.

무적기가 자그마치 세개나 있기에 상대하기 난해한 보스이다.

여담으로 너프를 많이 먹은 보스중 하나이다. 과거에는 전장 강타 패턴을 막아줄 방패가 단 세개였기 때문에 사실상 타임어택이 강제되는 보스였다.[39] 현재에도 까다로운 패턴과 화염 디버프로 인해 상대하기 까다로운 보스.
  • 물기
    이그니스의 평타. 탱커 클래스라면 맞아줄 정도는 된다.
  • 꼬리 휘두르기
    이그니스가 꼬리를 휘둘러 맞은 플레이어에게 넉백을 건다.
  • 화염 두르기
    이그니스가 몸 주위에 브래스를 뿜어 화염 장판을 남긴다. 초반부터 사용하는 기술이지만 화염 디버프를 부여하며 적정레벨대의 탱커도 녹이는 딜량을 가진데다가 보스의 전방위에 타격을 입히기에 상대하기 까다로운 패턴. 모션을 보고 재빠르게 거리를 벌려주자.
  • 브래스 뿜기
    보스의 체력을 75% 까지 깎으면 사용하기 시작하는 기술. 전방으로 브래스를 날리고 높은 대미지와 화염 디버프를 남긴다. 절대 맞아줄만한 기술도 아니고 다단히트이기에 방어도 크게 효과를 보지 못하므로 얌전히 피해주자. 다행히도 선딜레이가 굉장히 긴편이다.
  • 유성 날리기
    보스의 체력을 60% 까지 깎으면 사용하기 시작하는 기술이자 첫번째 무적 페이즈. 보스가 보호막을 둘러 무적 상태가 되고 하늘을 향해 수많은 유성을 쏘아 날려보낸다. 날아간 유성은 플레이어를 추적해 떨어지며 총 각 플레이어당 최대 10개의 유성을 떨어뜨린다. 날아오는 유성의 총 딜량은 상당히 아픈 편이며 패턴의 진행 역시 굉장히 빠르기에 아군과 도주 경로가 겹치지 않도록 산개하며 움직여야 한다. 이동 경로가 겹쳐 아군이 죽거나 내가 죽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므로 도주 경로를 신경써줄 필요가 있다.
  • 전장 휩쓸기
    보스의 체력이 50% 이하가 되면 사용하기 시작하며 두번째 무적 페이즈. 보스가 하늘로 날아 비상하더니 매우 빠른 속도로 전장을 가로지르며 무차별적으로 브래스를 난사한다. 브래스는 화염 디버프를 부여할 뿐더러 기본 대미지가 매우 아프므로 가능한한 빠르게 움직이며 피해주자.
  • 전장 강타
    보스의 체력이 50% 이하가 되면 사용하기 시작하며 세번째 무적 페이즈이자 광역 즉사기. 보스가 하늘로 날개를 펴고 날아오르고 15초의 시간이 주어진다. 15초동안 전장에 생성되는 방패 뒤로 가 숨지 않으면 보스가 낙하해 전장을 강타하며 방패의 보호를 받지 못한 모든 플레이어를 즉사시킨다.[40]

9. World 6 / Atlantic Atoll

파일:wold6.png
월드 5의 모든 퀘스트를 완료하면 올 수 있다. 테마는 바닷속.

여태껏 존재했던 다른 맵들과는 다르게 수중이라는 컨셉 때문인지 점프력과 낙하 속도가 감소한다. 그리고 맵에 종종 소용돌이가 형성될 때가 있는데 이 소용돌이에 가까이 다가가면 그대로 위로 빨려 올라간다.

5월드와는 다르게 맵이 굉장히 작은 편이다. 다만 높은 점프력 때문인지 지형의 고저차가 있는 편이기에 물리적인 크기는 작을지라도 직경은 상당한 편이다.

바닷속이라는 컨셉 답게 굉장히 어둡고 우중충하며 게를 위시한 많은 해양생물이라쓰고 재탕이라 읽는다. 몬스터들이 포진하고 있다. 월드 1의 게 몬스터들을 다시 볼 수 있는 반가운 장소.

여담으로 월드 6은 원래 해변이 컨셉이었지만 월드 1과 컨셉이 겹쳐 중간에 바닷속으로 변경되었다.

9.1. Rough Waters

레벨 제한 75
월드 6의 던전답게 수중에서 시작한다는 특징이 있으나 도중 물 밖으로 나오는 독특한 던전이다. 이런 이유로 인해 던전의 맵이 꽤나 길고 넓은 편이다. 과거에는 많은 점프맵이 존재했지만 패치 이후로는 많이 줄어들었다.

꼭 월드 6만으로 한정짓지 않더라도 던전의 전체적인 밝기가 꽤나 어두컴컴한 편이다.
파일:Davy_New.webp
던전의 최종보스로 모티브는 데비 존스. 이름답게 해적선에서 등장하며 최초등장시 무적 상태인 만큼 공략을 모르면 당황할 수 있다.

별개로 보스 자체의 난이도는 크게 높은 편은 아니며 월드 5의 코노 하트랜드와 진행 방식이 유사하다. 이 보스가 소환하는 크라켄 암은 타워의 최종보스 역시 소환한다.
  • 무적
    기본적으로 보스는 피해에 면역인 상태이나 전장에 생성된 4개의 크라켄 암을 제거하면 피해를 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 커틀러스 베기
    데비가 커틀러스를 휘둘러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준다. 데비의 평타로 크게 아프지도 않고 모션 역시 긴 편이다.
  • 내려찍기
    보스가 앞을 내리찍어 주변에 피해를 입힌다. 선딜이 기므로 적절히 피해주자.
  • 강하게 내려찍기
    보스가 전방위 4방향에 작은 원을 만들고 선딜레이 이후 해당 원 안에 있는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준다. 선딜레이도 길고 판정 역시 좁으므로 여유롭게 피해주자.
  • 페이즈 전환
    보스의 체력을 50% 까지 깎으면 데비가 전장을 바꾼다. 전장을 바꿀때에는 소환수나 장판기 등 대부분의 오브젝트가 초기화되니 소환사나 네크로맨서는 2페이즈부터 소환 기술을 사용할것을 추천한다.
  • 부하 소환
    던전 내 등장하는 일부 몬스터를 소환한다. 6월드의 몬스터들이 대체로 체력이 낮은 만큼 크게 위력적인 패턴은 아니다.
  • 술통 날리기
    데비가 술통을 날려 7~10개의 통을 무작위로 날려 맞은 플레이어를 멀리 넉백시킨다. 피해량도 따끔하고 넉백으로 인해 딜로스를 유발하는 기술이다. 다만 맞더라도 공중에서 대쉬하여 떨쳐낼 수 있으니 참고하자.

9.2. Treasure Hunt

레벨 제한 80
이전 던전의 보스 데비의 보물을 찾으러 간다는 컨셉의 던전. 이런 이유로 인해 지상에서 시작해 수중으로 내려가며 마지막 최종 보스룸이 월드 1의 스케어크로우 디펜스처럼 중앙의 보물상자를 지켜야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다만 이 보물상자는 1월드의 허수아비와는 달리 체력이 허약하므로 어그로를 해제하며 싸우는 드라군, 애초에 은신하는 쉐도우 블레이드는 딜량이 부족하지도 않은데 상자가 깨져서 죽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 Keeper of the deep
파일:KOTD_Trans.webp
던전의 중간 보스로 이후 타워의 중간 보스로도 등장한다. 난이도는 크게 어려운편이 아니지만 장판기를 오래 남기기에 주의가 필요한 보스이다.
  • 펀치, 닻 휘두르기, 닻 찌르기
    키퍼 오브 딥의 평타. 셋 다 피해량이 의외로 따끔하지만 모션을 보고 피할 수 있는 수준이다.
  • 내려찍기
    보스가 닻을 내리찍어 피해를 입힌다. 상당히 아프긴 하나 선딜이 기므로 적절히 피해주자.
  • 소용돌이 만들기
    보스가 내려찍기와 동일한 모션 후 큰 소용돌이를 만든다. 소용돌이에 맞으면 하늘로 솓구치며 큰 피해를 입으니 거리를 벌려주자.
  • Pirate crab
파일:Pirate_Crab_Trans2.webp
던전의 최종보스이나 크게 어렵지는 않다.
  • 때리기
    플레이어를 갈고리로 후려친다. 그닥 아프지는 않다,
  • 웨이브
    해적게가 몸을 흔들며 주변에 작은 피해를 여러번 나눠 입힌다. 패턴의 속도가 빠르므로 가능한한 빠르게 빠져주자.
  • 점프
    하늘 높이 점프하더니 내려오며 주위에 큰 피해를 입힌다.
  • 대포 사격
    하늘에 대포를 쏘더니 떨어뜨려 피해를 입힌다. 떨어지는 자리가 눈에 보이니 잘 보고 피해주자.
  • 삼단 대포 사격
    체력이 50% 이하일때만 발동된다. 해적게가 하늘로 대포를 쏘더니 지상에 크게 세 개의 원을 띄운다. 시간 내로 나가지 못하면 큰 피해를 입는다. 범위가 넓어도 피하긴 어렵지 않으니 참고하자.

9.3. The Atlantis Tower

레벨 제한 85
월드 6의 타워. 잡몹 페이즈는 꽤나 쉬우나 굉장히 이질적인 보스전을 가지고 있기에 난이도 자체는 어느정도 있는 편이다.

중간 보스로는 키퍼 오브 딥이 나온다. 타워의 꼭대기가 문자 그대로 수면 위의 플랫폼 이기에 바닷속에서 시작하여 꼭대기까지 올라가는 구조를 띄고 있다.
  • the kraken
파일:Kraken_New.webp
월드 6 타워의 최종보스. 여타 다른 최종보스와는 다르게 전혀 다른 공략 방식을 가지고 있다. 과거에는 전장의 일부를 무너뜨리는 패턴을 사용했었다.

특이하게 보스의 본체를 공략하는게 아니라 보스의 수많은 촉수들을 공략해야 하며 공략 도중 크라켄의 본체가 각종 장판기를 날리거나 즉사기를 키기에 전체적으로 사람이 많을수록 상대하기 유리한 보스이다. 이러한 여러 이질적인 패턴 덕분에 인피니티 타워에 등장하지 않는 보스이기도 하다.

크라켄 본체의 패턴
  • 잉크 뿌리기
    크라켄이 하늘로 잉크를 뿌리더니 플레이어의 발 밑에 떨어뜨린다. 피해량이 상당히 높으니 적당히 피해주자.
  • 쓰나미
    크라켄이 주기적으로 쓰나미를 모은다. 쓰나미를 처리하려면 전장의 왼쪽 구역에 생성되는 물탱크들을 충전하고 반대편에 생성대는 물대포를 활성화해 크라켄에게 충격을 주어야 한다. 쓰나미의 위력은 고레벨 플레이어도 즉사시키는 절륜한 위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최대한 빠르게 물탱크를 채워주자. 활성화되는 물탱크의 양이 많기에 가능한한 많은 플레이어를 데려가는게 좋다. 2페이즈부터 사용하는 기술이다.

크라켄 암의 패턴
크라켄 암은 전투 시작과 동시에 8개가 생성되며 기본적으로 무적 상태이나 일부 패턴을 통해 노출되는 팔을 공격할 수 있다. 이 8개의 크라켄 팔을 모두 처리하면 2페이즈가 시작되며 8개의 엘리트 크라켄 암이 소환된다. 2페이즈부터 쓰나미 패턴이 추가되나 크라켄 암의 패턴 자체는 변하지 않는다.
  • 지면 쓸기
    크라켄 암이 지상을 휩쓸어 피해를 입힌다. 딜레이가 길어 적당히 피할 수 있다.
  • 3연타 후려치기
    크라켄 암이 빠르게 움직이며 지상을 세번 내리친다. 조금 빠르기는 하나 충분히 피할만한 공격이다.
  • 내려찍기
    크라켄 암이 지상을 내리찍고 약 5초동안 머물다가 도로 올라온다. 이 5초동안 크라켄 암은 피해에 노출되는 상태가 되므로 이때 빠르게 공격해 처리해주자.

9.3.1. 여담

타워 2가 처음 출시되고 나서 일주일 정도는 타워 1과 진행 방식이 매우 비슷했다. 매 층마다 Floorkeeper라는 금색 게 몬스터가 존재했는데, 이 몬스터를 죽여야 출구가 열리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타워 1과 달리 컨셉에 의한 맵 디자인상 맵이 굉장히 광범위했으며, 이 때문에 이 금색 게 몬스터를 찾는 것이 매우 힘들었다. 잡몹을 죽이다보면 일정 확률로 그 금색 게나 상자 몹의 위치가 화면에 표시되는 시스템이 존재하기는 했지만, 표시되는 것은 겨우 10초 뿐이며, 대략적인 방향을 알았다고 하더라도 맵의 디자인이 굉장히 광범위하고 복잡한지라 그대로 길을 헤메는 일이 다반사였다. 그래서 클리어 시간이 타워 1보다 훨씬 더 많이 걸리게 되었었다.

10. World 7 / Mezuvia Skylands

파일:wold7.png
월드 6의 퀘스트들을 모두 클리어하면 올 수 있다. 테마는 그리스 로마 신화.

월드 전체가 미노타우로스, 케르베로스 등의 유명한 환상종 괴물들과 가고일이나 기린같은 전체적으로 많은 신화에 등장하는 동물들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월드는 네개의 큰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이중 하나의 섬이 통째로 마을인만큼 마을의 규모가 굉장히 크다. 그만큼 볼거리도 많고 지하의 공터 역시 볼만 하니 7 월드를 방문했다면 한번쯤 구경해 보자.

마을은 그리스의 산토리니 풍으로 하얀 집에 파랗고 둥근 지붕이 얹힌 형태로 되어있다. 이로인해 매우 쾌적한 느낌을 주는 만큼 이 월드를 좋아하는 플레이어도 상당히 많다.

마을 섬에서 나머지 두 개의 섬으로 거대한 물줄기를 타고 건너갈 수 있다. 각 층마다 월드 보스가 하나씩 등장하며 중앙의 섬 역시 다른 섬으로 통하는 물줄기와 타워가 있다.

타워가 있는 섬에서 타워를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 지역에 길고 검은 사슬로 이어진 지역이 있는데 사슬을 타고 건너가 보면 붉은 마지막 섬이 나온다. 이 섬은 가고일, 케르베로스 등의 지옥과 관련된 몬스터들이 다수 스폰되며 지하에 케르베로스 필드보스가 있으니 한번 찾아가 보자. [41]

아이템의 컨셉이나 테마 역시 그리스 로마 신화풍이 매우 강하게 풍겨온다. 만약 이러한 양식에 거부감만 없다면 굉장히 멋있는 디자인의 방어구들이 많이 나온다.

월드의 규모가 굉장히 큰만큼 렉이 자주 걸리기도 한다. 그래픽 옵션을 낮추면 매우 호전되니 참고하자.

여담으로 숨겨진 공간이 굉장히 많은 월드이다. 일례로 월드보스 미노타우로스가 나오는 탑의 아래쪽 폭포 밑바닥으로 들어가면 비밀 공간이 나온다.

10.1. The Underworld

레벨 제한 90
보스는 Hades, The Dark King. 월드 이벤트로 등장하는 하데스보다 체력이 낮아 아군이 힐펫이나 힐러만 있다면 충분히 깰 수 있는 수준이다. 체력이 일정 수준으로 내려가면 케르베로스의 영혼을 소환하는데, 그냥 강한 케르베로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놈을 하데스 보다 먼저 5번 잡는 사이드 퀘스트도 있다.

10.2. The Labyrinth

레벨 제한 95
중간보스로 Sentry of Cerberus가 나오고, 최종보스는 Supercharged Minotaur이다. 죽창 대미지가 크기 때문에 조심해야한다.

10.3. Mezuvian Tower

타워 3 텔레포터. 들어갈 경우 타워 바로 앞으로 텔레포트가 된다.
레벨 제한 100
라이프 1[42]
아이템 레벨 100~105
World 7에서 볼 수 있는 탑.
타워 플레이타임은 10~20분 정도 된다.
상자 개봉시의 확률
Class Ticket[43] 25%
Strawberry 25%
Sundae 15%
Cat Egg 10%
* 몬스터
던전을 한 층씩 올라갈 때마다 몬스터의 레벨이 1씩 증가한다.
*Ki-rin
*Gladiator Goblin
*Armored Goblin[44]
*Glided Scorpion
*Flame Gargoyle
  • 보스

    • Zeus, Lord of the Sky (하늘의 군주, 제우스)

    레벨은 100. 번개, 천둥의 신답게 스킬이 죄다 번개를 다루는 것이며, 다른 보스룸 입장과는 다르게 제단을 타고 올라가서 입장한다. 체력이 낮은 편이고 1페이즈 공격이 심심한 편이라 방심하기 쉽다. 하지만 2페이즈에 돌입하는 순간에는 180도 달라진다.
    스킬 설명

    번개 창 제우스가 기다란 번개 창을 소환하여 플레이어에게 던진다. 이 창은 플레이어 주위에 서서히 가까워지다가 접촉 시 폭발하여 27000 정도의 대미지를 준다. 약간의 유도 기능이 있어서 귀찮지만, 보통의 글래스 퍽을 쓰지 않는 이상 100레벨 유저에겐 조금은 아픈 평타나 다름없다.

    번개 제우스가 기를 모으더니 수많은 흰색 원이 생기고, 잠시 후 그 자리에 번개가 친다. 시전 속도가 빠르진 않아서 피하기 쉽지만 총 DPS는 매우 높으니 일부러 전부 맞아보면 사망할 수 있다.

    충격파 번개와 비슷하지만 크기가 훨씬 크고, 수량은 매우 적다. 시전 속도는 느리지만 들어오는 대미지는 결코 무시할 수 없고, 2초 정도 늦게 피하면 맞을 수 있다.

    강림 체력이 절반 이하로 떨어지면 제우스가 번개 날개를 펼치며 강림한다. 모든 스킬의 대미지가 조금 늘어나며 제우스의 필살기 2개가 추가된다.[45]

    큰 번개 첫 번째 필살기. 제우스가 보스룸 밖에서 거대화하여 기분 나쁜 웃음소리와 함께 등장하더니 충격파와 비슷한 크기로 약 12번 소환해댄다. 대미지는 타당 6만 정도 되는데, 겹친 곳에서 맞으면 그냥 죽는다. 앞의 쉬운 난이도에 방심하다가 훅 가는 스킬. 제우스가 갑자기 사라졌다면 필살기 중 하나를 시전한다는 의미이므로 미리 탈것을 소환하여 대비하자.

    번개 광선 두 번째 필살기. 앞에처럼 웃음소리와 함께 거대해져 나오는건 똑같지만 무작위로 레이저를 쏜다. 이 레이저는 타당 3만 대미지로 낮아보일 수 있으나 레이저 크기가 생각 외로 크고 초당 3번 이상 피해를 주기 때문에 잠깐이라도 맞으면 굉장히 아프다. 안전하게 피하려면 제우스 코앞에 붙어 따라다니자. 레이저 각도상 사각지대이기 때문이다.

1페이즈는 매우 쉽고, 타워의 최종 보스 중 유일하게 즉사기가 없는 보스[46] 라 공략법을 어느 정도 알고 방심만 하지 않는다면 쉽게 깬다. 솔플 기준으로 보면 타워 1보다 쉽게 깰 정도.

그런데, 10월 24일 패치 이후로 스킬 쿨타임이 엄청나게 짧아졌다. 보통 30초의 쿨타임을 가졌던 충격파가 2페이즈에 돌입 후 필살기를 사용하고 나서 다시 원상태로 돌아옴과 동시에 스킬을 쓰는데 문제는 그 스킬들 중에서 필살기가 포함되어 있다![47]

12월 패치 이후로 전설 아이템과 치장 아이템 등장 확률이 모두 2.5%로 상승[48]한 대신, 잠수함 패치로 제우스의 첫 번째 필살기의 개수와 분산도가 상승하였다. 약 20~30%인데, 확실히 체감될 정도.[49]

11. World 8 / Wasteland Oasis

파일:wold8.png
월드 7의 모든 퀘스트를 완료하면 올 수 있다. 월드의 테마는 모래에 파묻힌 유적지로 이로 인해 웅장한 구조물들이 매우 많고 또 탐험할 곳 역시 많다.

발이 빠른 악어 종류의 몬스터와 골렘류 몬스터가 주로 스폰하는 만큼 잡몹 사냥 역시 어느정도 난이도가 있다.

맵이 굉장히 크고 고저차도 많은 맵이다. 특이사항으로 일명 오비라 불리는 점프맵이 많은 편인데 난이도가 어렵지 않고 점프맵 끝에는 대부분 웨이스톤이 있으니 시간이 날때 천천히 클리어 해주자.

여담으로 바위와 모래가 많은 만큼 벽을 타고 올라갈 수 있는 진짜 탐험한다. 지형이 많은 편이다. 제작자도 이런 여론을 아는지 일부 오비의 바위산 안에 비밀공간도 마련해 두었으니 기회가 되면 찾아가보자.

11.1. Rescue in the Ruins

레벨 제한 100

보스는 Ruin's Hand이다. 움직이는 발판들이 있어서 난이도가 꽤 있다.

11.2. Ruin Rush

레벨 제한 105

보스는 Roculus이다.

11.3. Oasis Tower

레벨 제한 110
아이템 레벨 110~115

타워 보스의 패턴이 전체적으로 할로윈 이벤트 보스와 매우 유사하다. 즉사기가 없는 대신 수시로 바닥을 깔며 플레이어를 압박한다.

12. World 9 / Stonewood Forest

파일:wold9.png
월드 8의 모든 퀘스트를 완료하면 올 수 있다. 층 테마는 거대하고 어두운 숲과 고성으로 테마에 걸맞게 정말 큰 나무들과 거대한 몬스터들을 여럿 볼 수 있다.[50]

월드에 미니보스로 녹슨 에테르 사령관이라는 거대한 몬스터가 출현한다. 몹의 체구가 상당히 거대하고 체력도 빵빵한 편에 패턴을 남기고 나서 에테르 불 장판을 깔기에 자리잡는데 실패하면 꽤나 고생하게되는 보스이다. 보스의 패턴은 다음과 같다.
  • 도끼 내려찍기
    녹슨 에테르 사령관이 도끼를 높게 치켜들고 앞으로 내리친뒤 하늘에서 에테르 검을 여러자루 소환해 주변에 마구잡이로 떨어뜨린다.[51] 검이 떨어진 자리에는 에테르 불장판이 남아 장판 역시 피해야 한다.

전체적으로 어려운 보스는 아니지만 패턴이 지나가고 남는 장판기가 특히 강력하기에 근접 클래스는 주의해야한다. 원거리 클래스로 상대하거나 보스에게 원거리 견제기가 없다는 점을 이용해 장판 밖으로 유인하여 처리하는 것이 좋다.

월드보스인 에테르 로드가 상당히 강력한 편이다.

12.1. Treetop Trouble

레벨 제한 115

보스는 Fortified Great Tree Ent이다.

파일:entte.webp
보스 자체는 엔트류 보스가 으레 그렇듯 호구에 가깝다. 다만 장판기를 많이 사용하는 편이므로 무빙만 주의하면 된다.
  • 후려치기
    손으로 땅을 후려친다. 장판기 이기에 피할 수 있다.
  • 몸통박치기
    직접 넘어져서(...) 지면에 큰 대미지를 준다. 워낙 느린 기술이기에 피하기 좋다.
  • 바위 던지기
    바위를 던져 넓은 지역에 피해를 준다. 역시 선딜이 길기에 쉽게 빠져나갈 수 있다.
  • 뿌리 꺼내기
    땅에 손가락을 박아 여러가지 뿌리를 주변에 소환한다. 장판은 잠시동안 잔류한다. 역시나 느리기에 피하기 쉽다. 체력이 50% 이하일때만 사용한다.

길이 구불구불하고 도중에 함정이 워낙 많으며 바닥에 장판 기술을 까는 몬스터들이 여럿 포진해 있어 까딱하면 죽기 쉽다. 초행길 이라면 원거리 클래스로 힐펫을 기용하는게 좋다.

12.2. Aether Fortress

레벨 제한 120
보스는 Aether King이다.

파일:bosu.png
에테르 로드 계열 보스가 그렇듯 긴 선딜레이를 가지나 잔류하는 여러개의 장판을 소환하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 3% 대의 확률로 보라색 왕관을 드랍한다.
  • 휘둘러치기
    무기를 휘둘러 피해를 입힌다. 평타로 그닥 아프지 않다.
  • 내려찍기
    무기를 높이 들었다가 땅을 내리쳐 피해를 입힌다.
  • 에테르 검 내려찍기
    무기를 들어 내리찍고 여러개의 에테르 검을 하늘에서 낙하시켜 폭발시키고 보라색 장판을 만든다. 검을 피하기는 쉬우나 잔류하는 장판에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 페이즈 전환
    거대한 충격파를 내어 맞은 플레이어를 기절시키고 에테르 가드를 두체 소환한다. 체력이 50% 이하일때 발동된다.
  • 충격파 발산
    2페이즈부터 주기적으로 몸에서 충격파를 뿜어 플레이어를 기절시킨다.

중간중간 있는 함정과 몹들이 다량으로 스폰하는 구간을 제외하면 그닥 어렵지 않다. 이곳에서는 푸른 왕관역시 드롭하므로 월드 9에서 레벨업 하기에는 가장 좋은 던전이다. 다만 근접 클래스라면 몹들의 피통이 워낙 많으므로 클래스 변경을 고려할만하다.

12.3. Aether Tower

레벨 제한 125
아이템 레벨 125~130
최종보스는 Vane the Aether Dragon이다.
파일:Vane_New.webp

이 게임에 나오는 네번째 드래곤 보스이다.[52] 월드 9 타워의 보스 전장은 특이하게 보스의 체력이 떨어짐에 따라 안전구역이 점차 좁아지며[53] 안전구역 바깥쪽에서는 상당히 강한 지속피해를 입는다. 이로인해 보스의 패턴도 플레이어를 안전구역 밖으로 날려버리는 패턴이 많다.

소수점의 확률로 자신과 똑닮은 펫을 드랍한다. 얻기 힘든것과 비례하듯 성능은 절륜하다.
  • 공격
  • 날개 휘두르기
    베인이 날개를 크게 휘둘러 잠시동안 높은 대미지를 주는 초승달 모양 장판을 생성한다. 대미지가 즉사기 버금가게 아프지만 선딜레이가 기므로 빠르게 대쉬를해 피할 수 있다.
  • 브레스 두르기
    베인이 자신의 몸 주변에 원형으로 브레스를 뿜어 독장판을 만들어 피해를 준다. 베인을 상대할 때 대부분의 상황은 이 패턴에서 죽는다고 보면 된다. 후방까지 대미지가 들어오므로 베인이 해당 패턴을 사용하면 빠르게 대쉬로 피하거나 힐 스킬을 사용해야한다. [54]
  • 브레스 뿜기
    베인이 짧은 준비자세를 갖추고 전방을 향해 브레스를 뿜어 닿은 플레이어를 멀리 넉백시키고 대미지를 준다. 선딜이 있긴 하지만 비교적 짧은 편이며 넉백의 거리가 전장의 반대편으로 날아갈 정도로 길다. 월드 9 타워의 전장은 베인의 체력이 감소함에 따라 전장이 제한되고 제한구역 밖에서는 지속 피해를 입는데 이때 베인의 넉백기를 맞고 계속 벽에 문대게 된다면 순식간에 죽게 된다. 브레스가 날아오는 방향으로 대쉬해 피하지 말고 벽을 따라 대쉬하고 이동기와 힐스킬을 총동원해 서둘러 안전구역 안으로 들어와야한다.대쉬가 쿨이라면 죽으면 된다
  • 날갯짓
    베인이 짧게 공중에 떠 여러번 날갯짓을 하며 주위 플레이어들을 넉백시키고 마지막으로 큰 날갯짓을 해 플레이어들을 멀리 넉백시킨다. 대미지 자체는 굉장히 낮고 첮번째 넉백을 당하고 베인이 패턴을 끝낼때까지 기다리기만 하면 되는 간단한 페이즈심지에 마지막 넉백 맞지 말라고 친히 밀어내 주신다 하지만 욕심부리고 접근했다간 안전구역 밖으로 튕겨져 죽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유성 날리기
    무적 페이즈 1. 베인이 보호막을 두르고 잠시 무적이 되며 하늘로 무수히 많은 메테오를 날려 플레이어에게 떨군다. 지속시간동안 계속 이동을 해야할 정도로 많은 탄막을 떨구며 시전중 베인이 무적 상태가 되어[55] 플레이어의 혈압을 올리는 기술중 하나. 회피 난이도는 어렵지 않으나 여럿이 같은 방향으로 엉키듯 도망치면 유성을 맞고 단체로 산화하는 일이 생기므로 가능한한 멀리멀리 떨어지며 도망가자.
  • 전장 휩슬기
    무적 페이즈 2. 베인이 하늘로 날아오르고 매우 빠르게 활보하며 전장에 기다란 일직선모양 장판을 여럿 남긴다. [56] 후술할 나선형 브레스 패턴과는 다르게 핸덤한 위치에 떨어지므로 꾸준히 움직이며 브레스를 피해줘야 한다. 패턴이 끝날때 베인이 전장으로 강하한다.
  • 나선형 브레스
    무적 페이즈 3. 베인이 하늘로 날아올라 전장에 나선형의 브레스를 박고 장판을 남긴다.[57] 장판 자체의 공격력은 즉사기 수준이지만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사실상 안맞고 버틸 수 있다. 여러모로 쉬운 페이즈중 하나.
정신만 바짝 차린다면 크게 어렵지 않은 보스이다. 패턴의 수 자체와 무적기가 세개로 굉장히 많은 만큼 장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태로 보스와 싸우게 된다면 상당히 오랜 시간을 싸워야 하며 주력기 급으로 사용하는 브레스 두르기 패턴으로 인해 근접 클래스에게 특히 강력하다.
하지만 일단 제로장비가 갖춰진 상태로 싸우게 된다면 즉사기가 없어 크게 주의할 패턴이 없고 딜 자체도 다단히트에 딜, 도트딜 위주라 힐펫과 보호막 스킬에 여럿 경감된다. 전체적으로 공략을 알고 싸우면 크게 어렵지 않은 보스이나 공략을 모르는채로 깡으로 트라이를 하면 여러번 헤딩할 가능성이 있는 보스이다.

13. World 10 / Crystal Cascade

파일:wold10.png
월드의 테마는 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마법사의 도시이다. 많은 NPC가 끊임없이 마을 바깥은 위험하다 언급하며 또한 마을 근처를 여러 NPC가 지키고 있다.

마법사의 도시라는 것을 방증하듯 월드 내에 마법학교가 있고 바로 옆에 마나 샘이 있는 등 소소하게 볼거리가 많다.

월드가 세개의 큰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는 시가지를 구성하는, 크리스탈 몬스터와 미니보스가 자주 출현하는 곳이고 나머지 두개는 비교적 작은 크리스탈 울프가 출현하고 큰 동굴이 있는 숲지대이다.[58] 월드 7에 있는 물줄기같은 이동수단으로 왕래할 수 있다.

특이하게 다른 월드와 달리 필드의 대부분이 시가지인지라 건축물이 정말 많다. 몬스터 무리를 잡다가 갑자기 골목 어딘가에서 튀어나온 크리스탈 위버 미니 보스의 기습으로 초반 레벨업이 힘들 수 있으니 파티를 만들어 움직이는 것이 좋다.

마을의 규모가 유례없이 크다. 다만 그만큼 시설이 많은게 아니라 비어있는 공간이 많고 동선또한 좋은 편이 아니라 이동에 꽤나 큰 시간을 들이게 된다.

크리스탈의 침공을 받는다는 컨셉 답게 정말 많은 몬스터와 미니 보스가 나온다. 또 이 미니 보스인 크리스탈 위버의 일부 패턴이 심각하게 빨라 선후딜이 긴 클래스와 근딜들은 피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월드가 너무 어렵다면 원딜 직업을 사용하는 것 또한 굉장히 추천된다.빛법하면 거의 죽을일이 없다

크리스탈 위버[59]라는 미니보스가 출현하는데 주로 시가지에서 출현한다. 현재 존재하는 미니보스중 가장 어려운 패턴 난이도를 자랑하는 보스로 패턴이 빠르고 탄막이 많기에 근접 클래스에게 특히 안좋은 보스이다. 아이템이 부실하다면 상당히 고전하게되는 보스. 패턴은 아래와 같다.
  • 에너지 구체 날리기
    크리스탈 위버가 에너지를 손에 모아 던져 발사한다. 크리스탈 위버의 평타격인 기술이지만 패턴이 지나치게 빨라[60] 근접이라면 어지간해서는 피하기 힘들다. 사실상 크리스탈 위버의 가장 어려운 패턴.
  • 에너지 구체 난사
    크리스탈 위버가 땅에서 에너지 구체를 여럿 끌어내고 모은뒤 사방으로 난사한다. 패턴이 굉장히 빠르고 탄막도 많지만 시전 모션이 짧기에 딜을 멈추고 무빙에 집중한다면 근접 클래스도 수월히 피할 수 있는 패턴이다.욕심내면 순식가에 산화한다.

전체적으로 패턴이 빨라 대처가 어려운 보스이나 체력이 좀 높다면 난이도가 하락하는 보스이다. 또한 평타마냥 날리는 에너지 구체는 한명이 계속 맞는 것보다 어그로 헤제가 가능한 기술로 어그로를 돌려가며 맞는게 피하기 수월하고 에너지 구체 난사 패턴도 탄퍼짐이 심하기에 두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공략한다면 템이 조금 떨어지더라도 어렵잖게 잡을 수 있다.

여담으로 본래 월드 10은 스팀펑크 컨셉으로 나올 예정이었으나 도중에 설정이 변경되었다.

13.1. Crystal Chaos

레벨 제한 130
아이템 레벨 130~135

추락한 비행선에서 살아남는다는 독특한 컨셉을 가진 던전이다. 대부분의 몬스터들이 마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크리스탈 계열 몬스터들이며 종종 크리스탈 골렘도 보인다. 전체적으로 몹들의 피해량이 높으나 대부분의 공격을 무빙으로 피할 수 있어 컨트롤의 여하에 따라 난이도가 천차만별로 바뀐다.

특히 컨트롤이 나쁘다면 최종보스보다 중간보스 격으로 있는 크리스탈 위버와 꽤 많은 몬스터 팩이 더 위협적일 정도로 컨트롤이 좋지 않다면 힘든 던전이다.[61] 마지막 보스가 거는 기절이 특히 치명적인 편으로 기절을 한번 걸리면 패턴이 연속으로 들어오기에 비명횡사하기 좋다.

파일:Zaros.webp
보스는 Zaros, Crystal Colossus이다.
전체적인 난이도는 낮으나 패턴으로 생기는 기절의 시간이 다음 패턴이 날아오는 것보다 긴 경우가 많아 한번 삐끗하면 그대로 죽는 경우가 많아 만만하게 볼 상대는 아니다.
  • 크리스탈 내려치기
    보스가 짧은 시전시간 후 보스의 전방부터 역삼각형 범위로 크리스탈을 솓구치게 해 플레이어에게 기절과 데미지를 입힌다. 역삼각형으로 날아오기에 근딜이라면 오히려 피하기 쉬운 패턴. 원딜이라 하더라도 대쉬로 쉽게 대처가 가능하다.
  • 짖밟기
    보스가 짧은 시전시간을 가지고 바닥을 내려밟아 긴 기절을 먹인다. 기절을 걸자마자 바로 다음 패턴이 날아오는 경우가 많기에 보스의 패턴중 가장 조심해야하는 패턴이다. 시전 시간이 굉장히 빠르기에 대쉬로 피하거나 보스 주위를 빙빙 돌며 공격하는 것으로 맞는 일 자체를 피해야 한다.
  • 대형 크리스탈 솓구치기
    보스가 어마어마하게 큰 시전 범위를 띄우고 짧은 시간 안에 나가지 못하면 그대로 전장을 뒤덮는 어마어마한 크기의 크리스탈을 땅에서 솓구치게 하여 큰 데미지를 입힌다. 범위가 전장을 거의 뒤덮을 정도로 넓고 데미지도 살벌한 수준이지만 시전 시간이 길기에 대쉬로 쉽게 벗어날 수 있다.기절 상태로 맞으면 답이 없는 패턴이다.
전체적인 패턴의 난이도는 쉬운 편이나 짖밟는 패턴이 대처하기 어려운 편이다. 특히 자로스 보스가 패턴 자체는 적고 단조로우나 데미지가 높은 타입의 보스이다보니 기절이 상당히 아프게 먹히기에 대쉬를 아껴 대처를 해야한다.

13.2. Astral Academy

파일:shcool.png
마법학교라는 독특한 컨셉을 가진 던전.일반적인 대학교보다 훨씬 크다. 전체적인 난이도는 던전의 길이와는 다르게 워낙 까다로운 보스류인 크리스탈 알파와 크리스탈 위버류 보스가 등장하기에 보기보다 난이도가 있는 편이다. 전체적으로 근접 딜러보단 원거리 딜러가 더 유리한 던전이다. 또한 다른 월드의 던전들처럼 점프맵과 함정이 존재하는 던전중 하나이다.

중간보스로 크리스탈 알파가, 최종보스로 오로라가 존재한다.
  • crystal alpha
파일:Alpha.webp
던전의 중간보스지만 최종보스나 타워 보스보다 어려운 비상식적인 강함을 가진 보스이다. 패턴은 단 하나 뿐이지만 기본 이속이 플레이어가 달리는 속도와 같아 다른 보스들에게 사용 가능한 카이팅이 불가능해 순수 스탯만으로 밀어붙혀야 하기에 최종 장비를 입은 플레이어도 자주 죽는 편이다.
  • 꼬리 휘둘러치기
    꽤나 강력한 견제기. 크리스탈 알파의 유일한 패턴기이다. 범위는 대쉬로 충분히 빠져 나갈 거리이지만 패턴의 속도가 빨라 초근접 상태라면 단순 걷기만으로는 빠져나갈 수 없으니 크리스탈 알파를 상대로는 대쉬를 신중하게 써야한다.
  • aurora, xrystal empress
파일:dhfhfk.webp
패턴의 속도가 많고 빠른 크리스탈 위버 미니보스의 강화판으로 전보다 더 까다로운 패턴을 자랑한다. 크리스탈 위버가 빠른 기본 패턴으로 인해 모든 월드를 통틀어 꽤나 강력한 보스중 하나로 꼽히는 만큼 이 보스 역시 꽤나 까다로운 편이다. 근접 딜러라면 상대하기 까다로우나 원거리 직업이라면 그나마 상대하기 편하다.

종종 보스가 스폰되지 않는 버그가 있다.
  • 구체 날리기
    크리스탈 위버류 보스가 자주 사용하는 빠른 탄막 하나를 날리는 기술. 근거리에서는 피하기 힘드니 원거리에서 피하거나 시전 모션을 보고 미리 피하는게 좋다. 2페이즈에 도달하면 범위가 더 넓어진다.
  • 구체 난사
    24개의 구체를 긴 선딜레이 이후에 날리는 기술. 집중한다면 피하는건 어렵지 않다. 2페이즈에 도달하면 더는 사용하지 않는다.
  • 페이즈 전환
    보스의 체력을 50%까지 깎으면 큰 폭발을 일으키며 패턴이 일부 변화한다. 맞으면 취약 상태이상에 걸린다.
  • 구체 폭발
    큰 구체를 만들고 넓은 범위에 걸쳐 터뜨린다. 맞으면 취약 상태이상에 걸린다. 2페이즈에 구체 난사를 대체하여 사용하는 스킬로 1페이즈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13.3. Arcane Tower

월드 10의 타워로 크리스탈 위버 중간보스와 칸드릭스 최종보스가 등장한다.

다른 월드의 타워와는 다르게 타워가 몬스터가 모인 필드와 이어지지 않고 바로 마을 뒤편으로 올라가면 등장하는 것도 특이한 점중 하나이다.[62]

타워의 전체적인 난이도는 10월드의 필드 몬스터들이 전체적으로 빠르고 강력한 만큼 꽤나 난이도가 있는 편이다. 다만 보스전의 경우 크게 어렵지는 않은게 위안.

중간보스로는 상술한 크리스탈 위버가 출현하며 최종보스로 칸드릭스라는 수정으로 뒤덮인 거대한 용이 출현하는데 지금까지 있던 용들과는 뼈다를 공유하지 않는 새로운 종류의 보스이다.
  • kandrix, crystal dragon
    파일:Kandrix.webp
    평상시에는 날개를 접고 있다.
파일:Kandrix_Back.webp
날개를 펴고 하늘로 비상한 모습.

월드 10의 최종 보스로 다른 드래곤 보스들과는 다르게 굉장히 통통한게 특징이다. 다른 타워 보스들이 자신만의 전용 전장을 가졌지만[63] 칸드릭스는 전용 전장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칸드릭스에게 비행 능력이 없는 것은 아니다.[64]

전체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월드 10의 최종보스인만큼 무지막지하게 많은 탄막을 사용하며 무작위적으로 전장을 제한하는 패턴을 자주 보여준다.
  • 휘두르기
    칸드릭스가 앞발을 휘둘러 대미지를 주는 패턴이다. 근접 직업군도 널널히 피할 수 있는 패턴이다.
  • 브래스 발사
    지상에 광선을 쏘아 피해를 주는 패턴. 피하는건 크게 어렵지 않다.
  • 마법유성 발사
    하늘로 무수히 많은 마력을 방출하고 지상에 수십개의 작은 원 패턴을 만들어 낸다. 꽤나 오래 지속되며 딜이 꽤나 아프면서도 전장에 무작위적으로 떨어지기에 칸드릭스의 난이도를 높히는 실질적인 주범이다. 2페이즈부터 지속 시간이 정말 길어진다.
  • 페이즈 전환
    칸드릭스의 체력을 65% 깎으면 수정에 둘러쌓여 무적 상태가 되고 전장에 네개의 수정을 출현시킨다. 수정은 네 귀퉁이에 출현하며 주위에 수호하는 몬스터 무리가 생겨난다. 수정을 모두 파괴하면 페이즈 2로 접어든다.
  • 비상
    칸드릭스가 날개를 펴고 하늘로 날아올라 지상으로 강력하고 넓은 범위의 브래스를 뿜는다. 브래스는 전장의 4분의 1 정도의 크기를 가진 채로 전장을 무작위적으로 휩쓰니 그 모습을 보고 잘 피해야 한다. 2페이즈에서만 사용되는 패턴이다.

14. 이벤트 던전

이벤트 등으로 들어갈 수 있는 던전. 현재까지는 2019, 2020년 크리스마스 이벤트 던전[65]과 2020년 할로윈 던전이 있다.

14.1. Spooky Countyard (2020, 2021년 할로윈)

14.1.1. The Fallen Throne

레벨 제한 없음
라이프 2
  • 기간:10월 24일 오전 6시 ~ 11월 10일 오전 10시
  • The Fallen King(타락한 왕)
    이 보스의 레벨은 플레이어들의 평균적인 레벨로 결정된다.[66] 그리고 보스의 체력도 전체 플레이어수에 비례한다.
    • 1페이즈
      파일:RobloxScreenShot20201025_205702551 (2).png
      패턴 설명

      발 내려찍기 보스 주위에 원이 생기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보스가 발로 바닥을 내리찍어 보스 주위에 충격파를 일으킨다.

      왼팔 쓸기(팔꿈치) 보스 앞에 원 여러개가 생기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보스가 왼팔로 앞을 쓸고 왼팔꿈치로 바닥을 찍어 여러 개의 원형 충격파를 발생시킨다.

      구체 보스 주위에 맵 대부분을 뒤덮을 정도로 커다란 원이 생기며, 보스가 손을 모아 구체를 만들기 시작한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보스가 구체를 주먹으로 부숴 범위 내에 즉사기에 가까운 큰 피해를 입힌다. 이후 보스는 Ghoul Knight 소환 패턴을 사용한다.

      Ghoul Knight(구울 기사) 소환 맵 곳곳에 대량의 원이 생긴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보스 몸에서 검은 구체가 하늘 위로 발사된 후 맵 곳곳에 떨어진다.[공포] 구체가 떨어진 곳에는 대량의 Ghoul Knight가 소환된다. 소환된 Ghoul Knight의 레벨은 보스의 레벨과 동일. 여담으로 소환되는 Ghoul Knight의 수는 처음 시작할 때의 플레이어 수에 비례한다.

      저주 전체판정 즉사기. 보스가 바닥에서 시계를 끄집어 올리고, 맵 내의 모든 플레이어에게 시야를 암전시키는 저주를 건다. 이 패턴 시전 중 보스는 무적 상태가 되며, 30초의 카운트다운이 0이 되면 보스가 대폭발을 일으켜 저주에 걸린 플레이어들을 전부 즉사시킨다. 이 때 Fallen Guard(타락한 수호자)가 모든 플레이어들과 보라색 선으로 연결된 채[68] 맵에 생성되는데, Fallen Guard를 죽이면 그 자리에 해주 마법진이 생성된다.

      검 소환[69] 체력이 50% 이하로 떨어졌을 경우 바닥에 검을 소환한 후, 뽑으면서 2페이즈로 돌입한다. 이때 화면이 흔들리며 보스룸이 바뀐다.

      1페이즈는 그저 보스의 체력이 터무니없을 정도로 높아서 고생하지만, 그래도 구체 스킬을 제외하면 딱히 피하기 어려운 패턴은 없기 때문에 순조롭게 진행된다.

      보스의 기본 공격은 신경쓰지 말고, 구체->Ghoul Knight 소환 순으로 이어지는 패턴만 조심하자. 구체 폭발의 피해가 6만~6만 6천 정도로 정신나가서, 한 번 맞으면 갑옷이 좋지 못한 이상 그냥 즉사한다. 죽기 싫다면 구체가 소환된 순간 공격을 멈추고 범위 밖으로 빠져 나가야 한다. 이후 즉시 바닥을 보고 떨어지는 검은 구체들을 피해야 한다. 맞을 경우 5초간 공포 디버프에 걸리니 소환된 Ghoul Knight들을 상대하기 까다로워진다. 구체가 떨어진 후 대량으로 소환된 Ghoul Knight들이 거는 저주도 조심할 것.

      저주 패턴은 Ignis, Fire Dragon의 즉사기보다 피하는 방법이 더 까다로운데, 플레이어와 연결된 보라색 선을 즉시 따라가 Fallen Guard를 잡아야 한다. Fallen Guard를 잡으면 그 자리에 저주를 풀어주는 마법진이 나오며, 안에 들어가 저주를 풀어줘야 카운트다운이 다 되었을 때 즉사하지 않는다. 그래도 이때까지의 Fallen Guard는 체력이 6~7만 정도라 손쉽게 잡을 수 있다.

      문제는 2페이즈인데...
    • 2페이즈
      파일:RobloxScreenShot20201025_210620424 (2).png
      패턴 설명

      검 휘두르기 보스가 자신 주변에 검을 휘둘러 공격을 가한다. 검을 휘두를 때 사각지대가 표시된다.

      검 내려찍기 보스 앞에 원이 생기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검으로 바닥을 내려찍어 충격파를 일으킨다. 이후 추가적으로 3번까지 앞뒤로 검 내려찍기를 시전한다.

      보랏빛 가시 보스 주위에 원이 생기며, 보스가 칼을 하늘 위로 들어올린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보스가 검을 바닥에 내리꽂아 엄청나게 큰 충격파를 일으킨다. 이후 바닥에 대량의 원이 무작위로 생기며, 얼마 지나지 않아 맵 내에 대량의 보라색 가시를 생성한다. 닿을 경우 0.5초당 16000 가량의 대미지를 입는다.[70]

      저주(강화) 전체판정 즉사기. 1페이즈와 동일한 패턴이나, 무조건 엘리트 버전 Fallen Guard가 생성된다.

      2페이즈로 돌입하는 순간 보스의 패턴 시전 속도가 지금까지 나온 모든 보스들과 비교해봐도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빨라진다. 사실상 이 보스가 어려워진 주 원인으로 1페이즈는 그렇게 어렵지 않지만 2페이즈에서 매우 어려워진다. 검 내려찍기->검 휘두르기->검 휘두르기->보랏빛 가시 처럼 후딜이 거의 없는 수준으로 진행되는데[71], 정신 똑바로 차리지 않으면 피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각 스킬들의 대미지도 데몬의 흡혈을 뚫고 죽여버릴 수 있을 수준이니 더욱 그 위험성이 부각된다.

      검 휘두르기는 보통 2번 연속으로 시전하는데, 사각지대가 있으니 근접해서 딜을 하고 있었다면 재빨리 사각지대로 피해야 한다. 겹쳐 맞거나 두번 맞으면 죽거나 체력이 개박살나니 요주의. 검 내려찍기는 충격파 범위가 넓으나 보스한테 가까이 붙으면 무시할 수 있다. 어중간히 빠졌다가 맞아죽지 말고 차라리 최대한 보스에게 붙어 딜을 넣자.

      보랏빛 가시 패턴은 단 한번이라도 맞아서는 안되는데, 패턴 시작시 보스가 검을 내리꽂아 발생시키는 충격파의 대미지가 4만~4만 5천 수준으로 매우 강해, 왠만한 유저들은 체력의 절반에서 2/3 정도가 날아간다. 그 다음 보랏빛 가시가 매우 빠른 속도로 솟아오르니 정신 차리고 바닥을 잘 봐아 한다. 가시에 닿게 된다면 0.5초당 16000 대미지가 들어오니 순식간에 체력이 녹는 광경을 볼 수 있다. 가시에 닿았다고 추가적인 디버프는 걸리지 않으나, Root of Ignis의 원본 패턴과 달리 대미지가 더 강력해서 가시가 솟기 전에 충격파를 맞았었다면 가시에 닿는 순간 죽었다고 봐야 한다.

      체력이 낮을 경우 1페이즈와 동일하게 저주를 시전하기도 하는데, 2페이즈에서 저주가 시전된다면 1페이즈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골치 아파진다. 시전시에 나오는 Fallen Guard가 무조건 엘리트 상태로 스폰되는데, 문제는 얘 체력이 기본적으로 20만은 넘는다.[72] 20초 내에 체력 20만 짜리를 짤라야 하니 최소 1만의 DPS가 필요한데, 두명이서 딜을 해도 1만 DPS는 나오기 힘들다. 남은 인원이 적다면 궁이건 뭐건 다 동원해 최대한 깎아보아야 하며, 딜량이 부족하다면 목숨 하나 버릴 각오를 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1페이즈는 구체-Ghoul Knight 소환으로 연계되는 패턴만 조심하면서 상대하면 된다. 2페이즈에선 꼼수를 쓸 수 있는데, 이 보스는 다른 보스들에 비해 어그로가 쉽게 바뀌지 않는다. 그리고 모든 몹들이 그렇듯 어그로가 끌린 플레이어와 근접하지 않으면 절대 스킬을 시전하지 않는다. 이를 반대로 말하면 자신에게 어그로가 끌려있지 않은 이상 옆에 바싹 붙어서 공격해도 아무런 반격도 하지 않는다는 소리다. 그래서 한 명이 어그로를 끈 상태로 보스로부터 도망다니고, 그 사이에 다른 플레이어들이 딜을 넣는 식으로 진행하면 손쉽게 죽일 수 있다. 물론 어그로가 다른 플레이어에게 끌리면 그 즉시 스킬을 시전하게 되기에 항상 조심하는 것이 좋다.

      보스의 체력과 보스가 소환하는 잡몹들의 수와 체력은 전체 플레이어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레벨이 높고 장비가 좋다면 보스를 혼자서 깨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안정성은 Demon>>Paladin>Berserker순이나, 클리어 속도는 Berserker>Demon≥Paladin순. 처음 시도할 경우 안정적인 Demon 혹은 Paladin을 추천하나, 숙련된 Berserker라면 더 빨리 깰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힐랩터 채용이 필수적이지만.[73]

      처치할 경우에는 Prize ticket 1개를 얻을 수 있으며,[74] 이 티켓은 이벤트 월드에서 룰렛을 돌려 상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75]

      전체적으로 보자면 피통이 매우 높고 패턴도 Ignis, Fire Dragon에 비하면 까다롭다. 60레벨 이하는 사실상 상대할 수 없는 보스이나, 지금까지의 난이도에 실망한 유저들은 제대로 즐길만한 난이도의 보스.

2021년 할로윈 이벤트에도 똑같이 나타났다. 현제는 직업들이 많이 대미지 버프를 받아서 이전만큼 어렵지는 않다. 바뀐 거라고는 룰렛 보상이다.

14.2. 크리스마스 이벤트 던전

매 크리스마스 이벤트에 추가되는 던전. 보스 크람푸스를 잡는 던전이다. 전체적으로 난이도는 할로윈 보스보다 어렵다.

14.2.1. 크람푸스

15. 사라진 던전

15.1. Night of the Dead

레벨 제한 : 9
World 1의 던전 중 하나. 웨이브 형식이며 총 6라운드로 되어있다. 베타에서 정식 출시될때 사라졌다.[7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2개의 상자중 하나를 골라 보상을 받으며, 게임패스를 사면 2개의 상자 모두 열 수 있다. [2] 예외가 있는데 탑에서는 Extra Item Drop 이라는 게임패스가 없다면 8개, 있다면 무려 12개를 얻을수 있다. [3] 3월 3일 업데이트로 버그가 고쳐져서 모든 챌린지 던전 몹 체력이 2배이다. 원래 월드가 높을수록 체력이 3~4배까지 적용됐었다. 따라서 난이도가 훨씬 쉬워졌다. [4] 예외로 타워 3은 나오는 잡몹을 처리하는 것을 웨이브 5까지 반복하는 것 [5] 1,3,5,7,9층 [6] 플레이어에게 주는 메리트는 Bonus로, 디메리트는 Challenge로 간다. [Bonus] 보너스 XP, 대미지 2배, 엘리트 몹 없음, 보너스 상자, 이동속도 증가 [Challenge] 골드 드랍 없음, 엘리트 몹 2배, 적 체력 증가[77] [9] 던전에 들어와 잠수를 타는 사람이 있다면 내가 그 사람의 몫까지 해야하기에 솔플이 추천되는 경우도 많다. [10] 특히 마지막 4번째 층에서는 자기마치 2 마리의 보스가 스폰한다. [11] 특히 대부분의 드래곤 종류의 보스들은 3개 이상의 무적기를 들고 나온다. [12] 가령 6, 7 타워의 보스처럼 전용 전장을 가진 보스라던가... [13] 2024년 5월 기준10월드의 마을. [14] 해안선의 만이다. [15] 월드 3의 전설 갑옷을 입고 도끼를 든 노란머리 NPC 뒤에 있는 우물이다. [주의] 1인 기준으로 적습니다. 그리고 틀렸으면 수정해주시길 바랍니다. [17] 일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대미지를 입는 디버프다. [18] 한국어 번역판에서는 '정예 보울즈'라는 괴상한 이름으로 나온다. [19] 이 몬스터를 5초마다 1마리씩 잡는다고 가정해도 무려 1시간 23분 20초나 걸린다. [팁] 너무 빨리 깨려고 하지 말자, 이 퀘스트를 한 번에 깨려고 하면 약 3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그만큼 엄청난 인내심과 정신력이 소모된다. 따라서 시간이 남을 때마다 틈틈히 잡아주는 것이 좋다. 또, 이 퀘스트를 하려는 다른 사람들과 파티를 하면 킬이 공유되기 때문에 몇 배 빠르게 할 수 있어 서로에게 큰 도움이 된다. [21] 실험결과 600~800정도의 피해가 들어온다. [22] 구울 나이트가 더 먼저 나왔다. [23] 동일한 레벨을 기준으로 이 말의 공격에 맞으면 체력의 15~20%를 깎는다. [24] 그래서 딜로 회복량을 찍어누르거나 컨트롤로 안 맞으면서 해야 한다. 대미지가 동일한 레벨을 기준으로 꽤나 높아서 한 번이라도 공격을 허용하면 체력을 미친듯이 회복하면서 내 체력은 미친듯이 깎는다. [25] 고블린 기사 사진 뒤에 있는 분홍색 물체이다. [26] 일정시간동안 얼어서 이동을 못하는 디버프이다. [27] Woolly Mammoth Moose의 합성어이다. [28] 낮은 확률로 골렘이 엘리트로 스폰된다. [29] 시작할 때도 서로를 바라본다. [30] 단지 무기가 도끼고 눈이 보인다는 것만 다르다 [31] 노멀 기준으로 27000정도의 피해가 들어온다. 근데 저정도 HP면 어느정도 레벨이 높아진 플레이어들은 그냥 맞을 수도 있긴하다. [32] 제대로 맞으면 3500정도의 피해를 거의 1초에 10번 정도로 입으니 조심하자. [33] 이로인해 레벨업이 한층 수월해지고 운이 좋다면 전설 장비를 얻게 된다. [예시] 파일:월제 엑스칼리버.png [35] 피라미드 던전과 고대 사원에서 나왔던 그 죽창이 맞다. [36] 같은 게임 내에서는 6월드 타워의 크라켄과 가장 유사하며 타 게임이지만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공격대 던전 깨어난 도시 나이알로사의 최종보스 느조스와 패턴이 유사하다. [37] 루트 오브 이그니스가 뿌리 뽑기 스킬을 사용한 모습이다. [38] 다만 너프 이전에는 타임어택 요소가 존재했기에 훨씬 어려운 난이도를 가지고 있었다. [39] 풀 파밍 팔라딘이 방어로 어찌저찌 넘기는 경우도 있었다. [40] 시스템상 죽이는 매커니즘이 아니라 큰 피해를 입히는 매커니즘이기에 보호막과 좋은 장비의 버프를 가진 방어가 있는 직업은 방어로 넘기기도 한다. [41] 애완 동물을 잃어버린 마녀 NPC 역시 하나 존재한다. [42] 다만 죽은 층 다음 층에서 50 크리스탈로 부활 가능. [43] 만약 3티어 직업을 모두 보유한다면 티켓 대신 도넛으로 대체된다. [44] 타워 3의 제거대상 1위 잡몹. 이녀석은 성기사 F키와 비슷한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대미지도 센데다 피격 시 화상 3초를 걸고 정면으로 맞으면 화상 6초를 건다. [45] 하술할 필살기 2개는 모두 보스의 무적기니 유의하자. [46] 더 정확히는 전멸기를 카운터칠 까다로운 준비 과정따윈 없다는 것. 물론 제우스의 필살기는 100렙 풀셋이라도 정통으로 맞으면 증발한다. 아니면 이전 두 타워의 보스를 비교해보자. 이그니스의 경우 제한 시간 내에 활성화된 방벽 뒤에 숨어야하며, 한 번 막은 방벽은 소멸한다. 기회는 3번. 즉, 4번 날아오를 때까지 딜링이 안되면 사망 확정. 크라켄은 물탱크를 채우고 물대포를 쏴서 쓰나미를 무력화시켜야 한다. 문제는 물탱크 개수가 점점 늘어나 10개까지 늘어난다. 딜링 하는 것도 힘든데 이것 때문에 딜링이 더 힘들어진다. 또한 물탱크가 6개 이상 나타난다면 절대로 혼자 깰 수 없다. [47] 즉 나오자마자 다시 들어가버리고 필살기를 써버린다(...). 재수 없으면 그 패턴에 몇 분은 딜링도 못하고 잡아먹는다. [48] 일반은 50%, 팔라딘은 무려 120% 상승한 수치다! [49] 이제 예측이 좀만 빗나가도 그냥 죽는다. 섣부른 예측무빙은 하지 말자. [50] 무너진 성들을 탐험하는 재미도 쏠쏠하니 한번 둘러보자. [51] 가디언의 궁극기와 비슷하다. [52] 월드 3의 얼음 드래곤, 월드 5 타워의 드래곤 보스, 월드 8 월드보스 [53] 배틀그라운드의 자기장이 줄어드는 것처럼 서서히 조여온다. [54] 다행히도 월드 6의 오징어 펫을 사용하면 브레스에서 빠져나올 시간을 벌 수 있다. [55] 유성을 내뿜는 동안 무적상태가 되며 유성이 떨어지는 동안에는 멀쩡히 싸운다. [56] 브레스 두르기 패턴에서 사용하는 장판이다. [57] 날개 휘두르기 패턴에서 사용하는 그 장판이다. [58] 특히 마지막으로 가게 되는 정글 섬에는 1월드에서 소환사가 되겠다 말한 npc가 강력한 소환수를 거느리고 근처의 유저들을 지켜준다. [59] 수정 직공이라는 뜻이다. [60] 평타 한번 치는 것과 비슷한 속도로 날아온다. [61] 이는 크리스탈 위버의 일부 패턴이 근접에선 피하기 불가능한 수준으로 빠른 탓도 있다. [62] 지금까지의 다른 타워들은 모두 마을과 먼 곳에 위치해 반드시 몬스터를 잡아야 도달할 수 있는 곳에 있었다. [63] 대부분의 보스가 타워의 가장 위층을 컨셉으로 잡은듯한 보스맵을 보여주었다. [64] 다만 대부분의 드래곤 몬스터가 보여주는 고속으로 전장을 가로지르며 브래스를 뿜는 패턴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65] 해당 위키에서는 서술되지 않았습니다. [66] 플레이어가 n명 있다고 칠때 이 보스의 레벨은(모든 플레이어들의 레벨의 합)/n 으로 결정된다. 그러므로 플레이어들의 평균적인 레벨이 낮으면 보스의 레벨도 낮고 플레이어들의 평균적인 레벨이 높으면 보스의 레벨도 높게 결정된다. [공포] 피격시 최대 5초. [68] 데몬의 F 흡혈 스킬과 같은 모습이다. 물론 모습만 같고 흡혈 효과는 없다. [69] 보스가 시전하는 패턴으로 취급된다. [70] 여담으로 이 기술은 Prison Tower의 세번째 보스인 Root of Ignis의 가시 소환 기술을 재탕한 것이다. [71] 버서커는 느려터진 스킬 시전속도로 인하여 힐랩터 스킬도 못써보고 보스의 스킬 난사에 죽는 경우가 많다. [72] 원래 엘리트 몬스터는 원본의 4배의 체력을 가지고 스폰되나, 이 몹은 난이도 문제 때문에 3배로 조정되었다. 그래도 1페이즈에서 잡을 때보다 3배나 많은 딜을 쏟아 부어야 한다. [73] 스킬들이 전부다 근거리인 Berserker 특성상 2페이즈에서는 조금만 실수해도 죽기 십상이다. [74] 자신이 Extra Item Drop 게임패스가 있다면 2개를 얻을수 있다. [75] 염색제가 62.5% 확률로 나오며 장신구는 24.9%확률로 나오고 한정판 펫인 Skeledile이 8.3%확률로 나오며 Spooky Aura Chest가 4.2%확률로 나온다. [76] 던전이 너무 많아 삭제한 듯 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