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19:25:59

TBS FM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TBS FM/편성표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종합
방송
공영방송
파일:KBS 로고.svg 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 파일:KBS 1Radio 로고.svg | 파일:KBS 3Radio 로고.svg | 파일:KBS 한민족방송 로고.svg ) | 파일:MBC 로고.svg ( 파일:MBC표준FM_신로고.svg 파일:MBC라디오_White.svg ) | 파일:EBS 로고.svg ( 파일:EBS FM 로고.svg )
민영방송
파일:SBS 로고.svg ( 파일:SBS 러브FM 로고 30주년-2.svg 파일:SBS 러브FM 로고 30주년-2 (흑백).svg ) | 파일:KNN 로고.svg ( 파일:KNN 러브FM.png )
파일:경인방송 로고.svg (독립) | 파일:OBS 라디오 로고.png (독립)
종교방송
<colbgcolor=#fff,#1c1d1f> 파일:기독교방송 로고.svg 파일:기독교방송 로고 화이트.svg ( 표준FM)
파일:가톨릭평화방송 로고.svg ( 파일:cpbc FM 로고.svg )
파일:BBS불교방송 로고.svg
음악
국영방송
파일:국악방송FM 로고.svg 파일:FM국악방송 화이트.svg
공영방송
파일:KBS 로고.svg 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 파일:KBS 제2라디오 로고.svg | 파일:KBS ClassicFM 로고.svg | 파일:KBS CoolFM 로고.svg ) | 파일:MBC 로고.svg ( 파일:MBCFM4U_신로고.svg 파일:MBCFM4U_White.svg )
민영방송
파일:SBS 로고.svg ( 파일:SBS 파워FM 로고 30주년-2.svg 파일:SBS 파워FM 로고 30주년-2 (흑백).svg ) | 파일:KNN 로고.svg ( 파일:KNN 파워FM.png ) | 파일:TBC 로고.svg ( 드림FM) | 파일:kbc 로고.svg ( MyFM) | 파일:대전방송 로고.svg ( 파워FM) | 파일:ubc 로고.svg ( 그린FM) | 파일:JTV 로고.svg ( 매직FM) | 파일:CJB 로고.svg ( 파일:CJB JOYFM 로고.png ) | 파일:G1방송 로고.svg 파일:G1방송 로고 화이트.svg ( Fresh FM) | 파일:JIBS 로고.svg ( 뉴파워 FM)
종교방송
<colbgcolor=#fff,#1c1d1f> 파일:기독교방송 로고.svg 파일:기독교방송 로고 화이트.svg ( 음악FM) | 파일:극동방송 로고.svg
파일:원음방송 BI.svg
파일:YTN 라디오.png
파일:TBS FM 로고.svg | 파일:TBN 교통방송 로고.png
군사 파일:국방홍보원 MI.svg ( 파일:KFN 로고.png )
국내유관단체 운영
파일:KBS 월드 라디오 로고.svg | 파일:TBS eFM 로고.svg | 파일:Arirang Radio 로고.png | 파일:부산영어방송 로고.svg | 파일:GGN 글로벌광주방송 로고.png
주한미군 직영
파일:AFN The Eagle.jpg | 파일:AFN Thunder AM.png
파일:관악FM.png | 파일:마포FM.png | 파일:성남FM.png | 서대문공동체라디오 | 단원FM | SoneFM | 파일:금강FM.gif | 파일:SCN 성서공동체FM.png | 파일:영주FM.png | 파일:광주FM.png | 옥천FM | 파일:세종FM CI.png | 성주FM | GBS고려방송 | 파일:남해FM.png | 한밭FM | 태백FM | 영월FM | 상주FM | 파일:연제FM 로고.png | 전주FM | 대구동구FM
DMB
스트리밍
파일:U-KBS MUSIC 로고.svg | 파일:올댓뮤직.jpg | 파일:SBS V-Radio.png
인터넷
EBS 반디 외국어 전문 · CBS JOY4U · CTS라디오 · 파일:BTN라디오울림로고.jpg
관련 틀과 문서
틀:대한민국의 대북방송 | 공동체 라디오 | 라디오 주파수/대한민국
방송 프로그램 문서
파일:KBS 로고.svg 파일:KBS 로고 화이트.svg | 파일:MBC 로고.svg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 파일:SBS 로고.svg 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f2023> 파일:TBS FM 로고.svg TBS FM
TBS 교통FM방송
}}}
이 순간 내곁에
<colbgcolor=#01bccf><colcolor=#fff> 국가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개국 1990년 6월 11일
채널 구분 지상파 라디오
운영 유형 시영방송 (1990.6.11-2020.2.16)[1]
공영방송 (2020.2.17-2024.9.10)[2]
민영방송 (2024.9.11-)
분야 뉴스, 시사, 음악, 예능, 기상/교통정보, 재난방송
호출부호 HLST-FM
주파수 95.1㎒
네트워크망 독립 민영방송국
방송
품질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1bccf,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M-AM 파일럿 톤 스테레오)]
인터넷
<colcolor=#fff>
화질
, [V-Radio]
음향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1bccf,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4 HE-AAC)](64kbps, 48kHz)
방송
시간
통상시
오전 5시 ~ 다음날 오전 5시(24시간, 2004-)[4]
정파시
오전 5시 ~ 다음날 오전 2시(21시간, 정파일)[5]
오전 6시 ~ 다음날 오전 5시(23시간, 정파 익일)[6]
언어 한국어
가청취권역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일부
방송책임
편성
김경래 (라디오제작본부장)
운영/소유 TBS

1. 개요2. 역사3. 프로그램4. 로고5. 로고송
5.1. 1990년대5.2. 2000년대5.3. 2010년대5.4. 2020년대
6. 시보7. 송출 현황

[clearfix]

1. 개요

TBS가 운영하는 두 개의 라디오 채널 중 하나로 1990년 6월 11일에 개국하였다. 호출부호는 HLST-FM. 보도, 시사, 오락, 음악, 교통 등을 다루는 종합편성 라디오 채널이다.[7] 한때는 LIVE FM이라는 애칭을 사용했으나 2011년 전격 폐기한 이후로는 별도의 애칭을 갖지 않고 있다.

2. 역사

1988년 3월 29일 경찰청에서 1988 서울 올림픽을 대비해 교통방송 설치 계획을 수립한 것이 그 시초이며 1990년 3월 20일 서울시에서 공포한 교통방송 본부 설치조례에 따라 1990년 5월 1일부터 시험 방송을 시작, 동년 6월 11일 오전 9시 51분[8]에 FM 95.1㎒로 정규 방송을 시작하였다. 개국 당시부터 2000년 11월 4일까지는 남산타워에서 송출했으나, 2000년 11월 5일부로 관악산으로 이전했다. 2004년 종일방송을 시작했으며[9] 2005년 12월 1일부터 2011년 2월까지는 지상파 DMB 오디오 방송인 'tbs V-Radio' 채널을 통해 일부 시간대 방송을 수중계하였으나, 2011년 3월부터 TBS eFM 수중계로 변경되면서 채널명을 'tbs World'로 바꾸었고, 얼마 못간 2011년 11월 30일에 폐국했다.

본래의 설립 목적부터가 교통방송 위주의 공익 채널이었던 만큼 광고를 하지 않는다. 2020년 독립 법인으로 전환하면서 상업광고방송 허가를 신청했지만 방통위에서 공공성 저해와 방송업계 교란 우려를 이유로 허용하지 않은 상황이다. #

개국 이후 오랫동안 서울 지역 운전 기사들이나 알거나 버스 라디오에서나 들을 법한, 그저 그런 소규모 지역방송 취급 받는 수준이었지만[10], 간판 시사 프로그램 김어준의 뉴스공장이 자리를 잡은 후엔 유수의 전국단위 지상파 방송국 채널들을 제치고 전국 라디오 채널 청취율 점유율 2~3위를 꾸준히 유지할 정도까지 성장하여 전국적인 지명도를 얻게 되었으며[11], 덩달아서 다른 TBS의 프로그램들까지도 함께 주목을 얻는 계기가 되었다. 2021년 1라운드 라디오 청취율 조사에서 TBS FM이 주중 채널 점유청취율 2위를 지난 조사에 이어 기록했다. # FM방송 채널 중에서는 TOP 3를, 종합FM 채널 중에서는 1위를 굳혀가는 모양새. 2022년 2분기에는 채널 점유율이 15.5%를 기록하며 조사 대상 20개 채널 가운데 KBS 2FM을 누르고 2위에 올랐다.

한편 2021년 서울특별시장 재보궐선거에서의 승리로 9년만에 서울시정에 복귀한 오세훈 시장은 간판 프로그램 김어준의 뉴스공장 폐지[12]와 함께 TBS FM을 기존 교통종합FM에서 교육FM으로의 채널 장르 개편을 공약으로 내걸었고 오 시장 입장에서는 앓던 이 격이었던 이강택 대표와 김어준이 2022년 각각 사임 및 하차를 선언하면서 공약 중 하나였던 채널 개편이 어느 정도는 이루어졌다. [13]

개편으로 인해 사실상 논란이 크게 되던 시사프로그램의 비중이 많이 줄었고 TBS 소속 아나운서가 전부 투입되어 방송이 꾸려지는 중이며 일부 프로그램은 제작 스탭들도 투입하여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부작용으로 청취자들이 뿔뿔이 흩어지는 바람에 2023년 1분기 청취율 조사에서 전 분기 대비 무려 10%p나 빠진 6.2%로 추락하고 말았다. 사정도 더욱 어려워져 MS 오피스, 어도비 프리미어 등의 라이선스 비용조차 지불할 여력이 없는 상황이 되어 버렸고, 프리랜서 작가들이 모두 나가버려 거의 모든 방송이 외주 작가 없이 소속 PD와 아나운서만으로 진행되고 있다. 외부 진행자 역시 최일구만 남고 모조리 나가 버린 상황. 2000년대 초 정치적 논란으로 사라져버린 iTV의 전철을 그대로 밟고 있다. 다만 막상 없애기에는 주파수가 아까웠는지 2023년 하반기부터는 2016년 이전처럼 서울시정 홍보창구화 쪽으로 선회했으나, 내홍까지 숨길 순 없어 2024년 들어 제작본부장이 3개월만에 두 번이나 교체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2024년 3월부터는 기상정보 방송이 중단됨과[14] 동시에 방송제작 인력 전출의 영향으로 간판 프로그램이었던 최일구의 허리케인 라디오 9595쇼까지 종영되면서 열악한 상황을 본격적으로 드러내기 시작했다.[15] 다만 허리케인 라디오는 동년 7월 15일 개편에서 부활해 다시 방송을 시작했다.

서울시로부터의 출연기금이 끊긴 2024년 6월부터는 하루 방송 시간도 10일부터 24시간에서 17시간(아침 7시 ~ 자정)으로 축소 방송이 예정되어 있었고 실제로 6월 9일 음악에 진심 방송 종료 후 자정부터 07시까지 계획 정파에 돌입했으나, 실시 하루만인 6월 10일 오전 다시 회의를 열은 끝에 사내 무급 휴가제에 따른 임금 반납액이 큰 점, 방송통신위원회의 정파 미허가 등을 이유로 예정된 계획을 철회하였다.

지속된 경영 상태 악화를 버티지 못하고 2024년 9월 30일부터 비상방송 체제로 전환하였다. 이에 따라 서울 플러스, 최일구의 허리케인 라디오, 강지연의 머니특별시, - 함께 가는 저녁길 서두원입니다-[16], - TBS MUSIC ONLY-[17]를 제외한 모든 프로그램이 방송 중단되었고 정시 뉴스 또한 평일 12, -18-시로 축소되었다.[18] 특히 주말은 허리케인 라디오가 유일한 정규 프로그램으로 남았다. 정규방송 중단멘트

3. 프로그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BS FM/프로그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로고

파일:TBS 로고(2005-2020).svg 파일:tbs951.png 파일:TBS FM 로고.svg

파일:TBS FM 로고 (텍스트).svg
<rowcolor=#fff> 미디어재단 출범 이전 미디어재단 출범 이후
파일:TBS FM 썸네일.png
<rowcolor=#fff> 미디어재단 출범 이후 썸네일

5. 로고송

5.1. 1990년대

  • 빠른 정보 밝은 방송 TBS 교통방송~ (1990년 6월 11일 ~ 1999년)
  • 사랑이 있어요 정보가 있어요 T-B-S 교-통-방-송~ (1999년 ~ 2000년)

5.2. 2000년대

  • 꿈이 있는 정보세상 TBS 교통방송 (2000년 ~ 2002년)
  • 정보가 가득한 즐거운 방송 TBS 교통방송 (2000년 ~ 2002년)
  • 정보가 가득 희망이 가득 TBS 교통방송 (2000년 ~ 2002년)
  • 생활 속의 라디오 TBS 교통방송 (2002년 ~ 2003년)
  • 교-통-방-송 움직이는 라디오 살아있는 라디오 LIVE FM (LIVE FM) (2003년 ~ 2011년)[19]

5.3. 2010년대

  • (음~~) 함께 할 수록 기분좋은 방송 TBS~ FM/기분좋은, 방↘송↗ TBS, F↘M↗ (2011년 ~ 2015년 9월 20일)[20]
  • (징글) 함께 할 수록 기분좋은 방송 TBS~ FM~/(징글) TBS~ FM~ (2015년 9월 21일 ~ 2020년 2월 23일)

5.4. 2020년대

  • (BGM) 이 순간 내곁에 TBS~ (징글)/당신이 있는 곳에 TBS~ (징글)/(BGM) TBS! F,M! (2020년 2월 24일 ~ 현재)[21]

6. 시보


1998년 12월 정시 시보음이 3초 시보[22]에서 멜로디 형태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과거의 시보는 TBS/라디오 시보 참조.
  • (로고송), FM 95.1MHz, 시민의 방송 TBS에서 정시를 알려드립니다. (맬로디 시보음)

7. 송출 현황

방송국명 호출부호 주파수
(㎒)
출력
(W)
송신소 송신소 주소 가청권역[23]
파일:TBS 로고.svg HLST-FM 95.1 5k 관악산 경기 과천시 중앙동 산12-1 (넥스콘테크) 수도권[24]
충남(천안·아산·당진·예산·서산)
충북(충주·음성·진천)
북한(개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0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0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8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8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1990년 개국 이후 2020년 미디어재단 출범 이전까지는 서울특별시 소관의 교통방송본부가 운영하는 시영방송이었으며 당연히 소유권과 운영권도 서울특별시가 갖고 있었다. [2] 2020년 미디어재단이 출범하면서 방송국의 소유권은 TBS 자체적으로, 운영권은 TBS 이사회가 갖게 되었긴 했지만 서울특별시도 재단기금 출연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V-Radio] [4] 하술할 사유로 2024년 6월 9일 하루만 오전 7시 ~ 다음날 오전 0시 방송. 이후 2024년 6월 10일 방송분부터 다시 24시간 체제로 환원되었다. [5] 가끔 자정부터 정파할 때도 있으며 이 경우 정규방송시간은 총 19시간이다. [6] 2023년 7월 24일 이전까지는 통상시처럼 5시에 시작했으나 7월 24일 이후로 정파시에만 기준점이 6시로 옮겨졌으며 이에 따라 정파 익일 방송 시간도 23시간으로 줄었다. [7] 설립 당시에는 교통정보 위주에 시사와 예능, 음악 프로를 부편성으로 운용하는 채널이었으며, 운영 기조도 여기서 벗어나지 않았다. 다만 2016년부터 2022년까지는 정치시사 위주의 편성을 지향하면서 주객이 전도된 상황으로, 현재는 시민종합편성방송으로 변모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8] 95.1 주파수를 상징한 시간에 맞춰 개국했다. [9] 당시에는 계획정파가 주 1회였으며 월 1회 계획정파 체제로 바뀐 것은 2017년 6월 12일부터다. [10] 이 시기 2016년 3분기 조사에서 TBS FM의 채널 점유율은 3.3%였다. [11] 물론 해당 조사 자체가 수도권 라디오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엄밀히 말해 '전국 청취율'이라는 말은 어폐가 있지만 수도권의 청취자 수가 2500만명에 달하는 만큼(대한민국 인구의 절반이다!) 바로미터로 볼 수 있는 여지는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12] 사유는 당연히 편향성. [13] 2022년 12월 뉴스공장에서 하차를 선언했다는 보도가 나왔지만 제작진은 프로그램 폐지 혹은 후임 물색등 어느것도 공식적으로 정해진 것이 없다며 부정했다. 그러나 보도가 나간지 1주만인 12월 12일 방송에서 연말인 30일까지만 진행한다고 밝히면서 하차가 공식화되었다. [14] 다만, 완전히 중단된 건 아니고 30분, 50분 정보센터로 통합되어 방송 중이다. [15] 비제작부서로 전출된 인력 중 일부는 TBS를 조례폐지 이후로도 어떻게든 유지하고자 마케팅솔루션 팀으로 가서 영업을 뛰고 있다. [16] 비상방송 전환후 2주만에 폐지 [17] 11월 4일부로 성격이 비슷한 이유로 통합 [18] TBS MUSIC ONLY를 제외하면 전부 시사및 교양 성격프로만 남았다. [19] 2000년대 후반부터는 교-통-방-송 부분이 삭제되었다. [20] 전자는 시보용으로, 후자는 30분 브릿지용으로 사용했다. 코드도 전자와 후자가 약간 상이했다.(각각 마장조/내림마장조) [21] 두번째 브릿지용 로고송은 세 가지 버전이 있는데, 하나는 시보용 로고송과 똑같은 코드, 나머지 둘은 징글을 제외하고 전혀 다른 코드를 사용했다. [22] 1995년이전의 KBS 1TV, KBS 2TV 등의 정시 시보음과 동일하다. [23] 방송개시 및 종료멘트에서는 서울, 경기, 인천, 충청 일부로 고지하고 있다. [24] 서해 5도 제외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