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03-23 01:58:20

SU-100/운용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T-34-76
{{{#!wiki style="margin:-17px -12px -15.75px"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405c1a> }}}
[[T-34-76|
파일:Sil/T-34-76.svg
]]
[[T-34-57|
파일:Sil/T-34-57.svg
]]
[[T-34-85|
파일:Sil/T-34-85.svg
]]
T-34-76 T-34-57 T-34-85

1. 사용 국가

2. 유럽

2.1. 동유럽

2.1.1. 소련

1944년 제식 채택 후, T-54/55가 군대에 많이 배치될 즈음인 1960년대 초~중반에 퇴역했다. 100mm 포탄이 T-54와 호환이 돼서 1960년대까지 사용한 것이다.
2.1.1.1. 러시아
이미 퇴역했지만, 치장물자 창고에는 아직도 있어서 1995년에는 모조리 치장물자에서도 빼버렸다. 그러니 1995년까지는 실 사용은 안하더라도 창고에 있었으니 군수 목록에는 있었던 것이다. 치장물자에서 빼낸 후로는, 러시아의 전차 박물관이나 민간인의 리인액트 행사에서 쓰기 위해 판매를 하거나, 전승기념일 행사를 위해 적지 않은 수가 존재한다.

2.2. 서유럽

2.2.1. 영국

파일:ENGLISHSU100.jpg
보빙턴 전차 박물관에 소장 중인 SD-100
상술했듯 수에즈 위기 당시 여러대를 노획하였으며, 사진의 차량은 수에즈 위기 당시에 잠시간 사용하다 영국으로 선박 운송된 후 NATO 측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나서 보빙턴 전차 박물관에 기증하였다고 한다.

2.3. 중유럽

2.3.1. 체코슬로바키아

파일:sd100s04-b3d11b08dfaf9b3fa9adad6de3cc49e3.jpg
훈련 중인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소속 SU-100 "92521번차"
SU-100 생산을 위한 라이센스 구매에 대한 최종 결정은 1951년에 이루어졌다. 생산을 맡은 업체는 T-34-85를 생산하기도 했던 CKD 소코로보가 담당했으며, 선체는 슬로바키아 마르틴에 있는 ZJVS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슬로바키아의 두빙카나드바홈에 소재한 스코다 사 소유 SMZ 기관차 공장에서는 라이선스 버전의 D-10S를 생산했다.

체코슬로바키아제 SU-100은 "SD-100"으로 불리는데, T-34-85의 생산이 더 중요했기 때문에 첫 번째 SD-100은 1953년에야 제작되었다. 생산도 느린 편이었는데, 1953~1954년 사이에 프라하에서 129대만이 제작되었다.

이후 전차 공장은 1954년 마틴으로 이전되었는데, 최종 조립 및 엔진 생산은 체코에서 이루어졌지만 차체와 무장 생산은 슬로바키아에서 이루어졌다.

체코슬로바키아 자주포에는 여러 가지 특징이 있다. 특히, 스베르들롭스크에 소재한 공장과 옴스크트란스마쉬 형식 두개가 체코슬로바키아 SU-100에 영향을 주었기에 이 두 공장의 특징이 혼합되어 있으며, 자체적인 개수안으로는 자주포 우측면에 신형 라디오가 생겨났으며, 광학장비의 성능 향상, 라이트 커버, 불가사리형 보기륜 등의 특징이 존재했다.

이후 1956년까지 770대가 생산되었으며, 이 차량들은 세계 각지로 공여되었다.

2.3.2. 독일

나치 독일과 동독을 분리하여 서술한다.
2.3.2.1. 나치 독일
파일:Jagdpanzer_SU_100_r.jpg
1945년 폴란드 단치히의 격파된 독일군 소속 SU-100
1945년 당시 독일의 전황은 이미 기울고 있었으므로, 극소수만 노획되고 그 노획된 것마저 소련군에게 격파되거나 다시 재탈취되기도 했다.
2.3.2.2. 동독
파일:SelbstfahrlafetteSu-100.jpg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독일민주공화국 국가인민군 육군 소속 SU-100
"100mm Selbstfahrlafette SU-100"[1]라는 이름으로 사용했으며, 1952년부터 KVP[2]에 공여되었다. SU-100이 공여된 이유는 이러했는데, 나날이 갈수록 증대해지는 서방 세계의 재래식 전력들과, T-34-85가 등장하며 더 이상 사용 가치가 없어진 SU-85를 대체하기 위함이었다.

동독에서 사용된 SU-100은 소련제도 있었으나 대다수가 체코슬로바키아제 생산품이였다.

동독이 소유하던 SU-100의 수량은 적었지만, 1959년 최초의 T-54가 도착할 때까지 서독의 M47 패튼 M48 패튼을 격파 가능할 수 있는 유일한 전력이었기에 T-54가 공여될때까지 서독을 위시로 한 서방세계의 위협에서 동독을 보호하는 소방수 역할을 톡톡히 하였다.

초창기에 26량을 공여한 이후에, 24량을 추가로 공여하여 동독이 소유한 SU-100은 도합 50량 정도였다. 1959년에 T-54가 공여되면서 기존의 SU-100들은 구난차량으로 개조되었으며,[3] 1964년 즈음엔 SU-100의 역할을 T-54/55가 완전히 대체하며 현역에서 퇴역 후, 치장물자로 전환되었다.

2.3.3. 폴란드

2.3.4. 헝가리

2.4. 남유럽

2.4.1. 불가리아

파일:1423155726_0_ae81f_191d4c06_xxl.jpg
소피아 군사 박물관 소장 불가리아 육군 소속 SU-100

2.4.2. 루마니아

파일:1172a65e7fc09547d1f96f4b5b38956b.jpg
루마니아 육군 소속 "55013번차"

2.4.3. 알바니아

2.4.4.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

2.4.4.1.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파일:1991SU-100serbia.jpg
1991년 촬영된 세르비아 육군 소속 SU-100
유고슬라비아 연방 시절에 배치되어 있던 차량을 그대로 사용했다. M36 잭슨이나 M36B1보다 화력이 뛰어났기에 세르비아군은 이 둘보다 높게 평가하였으며, 이후 2008년이라는 매우 늦은 시기에 전량 퇴역시켰다.

3. 아시아

3.1. 동아시아

3.1.1. 중국

파일:PLASU-100.jpg
베이징 군사 박물관 소장 SU-100 "417번차"
1950년대 초기, 소련은 SU-100을 여러 나라에 공여 및 판매하여 국가 재건을 위한 자금을 모으고 있었는데 이 국가들 중에는 중국이 있었다.

이후 상술하였듯 6.25 전쟁때 사용하였으며, 1953년 한국전쟁 휴전 이후 이듬해 소련 제39군단이 다롄에서 철수하고 나서, 중화인민공화국은 철수하던 소련군에게 SU-100 99량과 기타 기갑차량을 구입했다.

이때 제39군단 산하 제7기갑사단이 이전에 사용하던 전차의 대부분은 인민해방군의 190사단이 사용했는데, 이후 190사단은 제1기계화사단(第1机械化师) 으로 개칭되었고, SU-100 24량을 편제하여 배치하였다.

중국은 이후에도 T-54/55와 동일한 화력을 지닌 SU-100을 지속해서 요청했으며 도합 300대를 공여받아 사용하였다.

1960년대 베트남 전쟁 당시 일부 차량을 베트남군에게 지원했다가 이후 중월전쟁 때도 59식 전차와 함께 참전하는 등, 중국이 관여한 여러 전쟁에 따라다니면서 자주포라는 본분에 맞게 활약하였으며,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치장물자로 전환된 것으로 추측된다.

3.1.2. 북한

파일:북한군수백.jpg
1967년 북한 평양 열병식 참가 조선인민군 육군 소속 SU-100
1965년부터 1968년까지 소련에서 SU-100 100량을 받아 사용했으며, T-34-85보다도 더 심한 노인학대 중인 상황인데, 무려 현재까지 1선에서 사용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3.1.3. 대한민국

파일:용산박물관SU-100.jpg
용산 전쟁기념관 소장 SU-100
6.25 전쟁 당시 한 량을 노획했다고 한다. 자세한 전과는 불명이며, 이후 전선에서 소모된 것으로 추정된다.

흔히 알려져 있는 것과 다르게 전쟁기념관에 전시되어 있는 차량은 참전 차량이 아니며, 불가리아에서 구입해온 것이라고.

3.1.4. 몽골

3.2. 동남아시아

3.2.1. 베트남

100대의 SU-100이 현역이다.

3.3. 서아시아

3.3.1. 시리아

3.3.2. 이라크

3.3.3. 예멘

3.3.4. 이스라엘

4. 아메리카

4.1. 북아메리카

4.1.1. 미국

파일:US_army_armoured_collection_SD-100.jpg
포트 베닝 미 육군 기갑 박물관 소장 SD-100
1956년 11월 제2차 중동전쟁 당시 영국군과 프랑스군이 사이드 항구에서 노획한 4대의 이집트군 SD-100 중 1대를 인수해 애버딘 병기 시헌장에서 테스트용으로 사용했다.

4.1.2. 쿠바

5. 아프리카

5.1. 중앙아프리카

5.1.1. 앙골라

5.2. 북아프리카

5.2.1. 알제리

5.2.2. 이집트

이집트는 SU-100을 운용한 최초의 해외 국가 중 하나였으며 1950년대 초반부터 공여받기 시작했다. 이집트가 지닌 SU-100은 체코제와 소련제가 혼합되었으며, 이집트군 소속 SU-100들은 다수의 차량이 SD-100을 개조한 것이었다. 이 수출형 SU-100에는 세계대전 당시에 제기되었던 문제점을 개선하였고, 사이클론 에어필터를 대체하는 새로운 강력한 에어필터와, 장시간 사막을 주행하는 이집트의 특성상 주행에 적합하도록 변속기 및 서스펜션이 조금씩 개수되었다.

5.2.3. 모로코



[1] 줄여서 Sfl SU-100으로 지칭되며, 뜻은 100mm 자주포 SU-100이라는 말이다. [2] Kaisernierte Volks Polizei. 병영화 인민경찰을 뜻하며 이후 국가인민군의 전신이 되는 준군사조직이다. [3] 21량이 이렇게 개조되었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