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50%, #FFF 50%)"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B71234> 상징 | <colcolor=#000,#fff>The Golden State (별명) · 유레카 (모토) · I Love You, California (주가州歌) · 세쿼이아 · 캘리포니아불곰 | |
역사 | 역사 전반 · 골드 러시 · 캘리포니아 공화국 | ||
정치 | 정치 전반 · 행정구역 | ||
경제 | 경제 전반 · 실리콘밸리 | ||
문화 | 할리우드 · 스포츠 · 서부 힙합 | ||
교통 |
BART ·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
리치몬드-밀브레선 ·
메트로링크 ·
스프린터 ·
샌프란시스코 시영 철도 ·
샌프란시스코/교통 ·
알타몬트 코리더 익스프레스 ·
칼트레인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 ·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캘리포니아 고속철도 (공사중) |
||
지리 | <colcolor=#fff> 지리 전반 | 지리 전반 · 타호 호 · 요세미티 국립공원 · 모하비 사막 · 데스밸리 국립공원 · 조슈아 트리 국립공원 | |
주요도시 |
로스앤젤레스 광역권(
로스앤젤레스 ·
롱비치 ·
어바인 ·
애너하임 ·
인랜드 엠파이어) ·
베이 광역권(
샌프란시스코 ·
산호세 ·
오클랜드) 새크라멘토 · 샌디에이고 · 프레즈노 · 베이커즈필드 · 산타바바라 |
||
교육 |
캘리포니아 대학교 (
UCB ·
UCLA ·
UCSB ·
UCD ·
UCR ·
UCSD ·
UCSF ·
UCI ·
UCSC ·
UCM)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 캠퍼스 목록) USC · 스탠퍼드 대학교 · Caltech · 클레어몬트 대학교 · 라번 대학교 · 로마린다 대학교 · 미네르바 대학교 · 산타모니카 대학교 · 산타클라라 대학교 · 샌디에이고 대학교 · 샌프란시스코 대학교 · 샌프란시스코 음악원 · 아카데미 오브 아트 · 웨스트몬트 칼리지 · 채프먼 대학교 · 캘리포니아 침례 대학교 · 퍼시픽 대학교 · 퍼시픽아메리칸 대학교 · 페퍼다인 대학교 |
||
인물 | 출신 인물들 | ||
인구 | 인구 | ||
여담 | 여담 |
<colcolor=white> 로스엔젤레스 메트로 Los Angeles County Metro Rail |
|
<colbgcolor=#000D1A> 개업일 | 1990년 7월 14일 |
운영기관 | LACMTA[1] |
노선 수 |
중전철 2개 경전철 4개 BRT 2개 |
운임 방식 | 단일 요금 |
영업 거리 | 97.6mi(157.1km) |
궤간 | 1435mm |
전기 | 750V DC |
http://www.metro.net/ 한국어 웹사이트 |
- 과거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 ||<bgcolor=#000D1A><tablebordercolor=#000D1A> 2023년 7월 16일 기준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노선도 ||
2024년 11월 3일 기준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노선도 |
[clearfix]
1. 개요
미국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의 도시철도 시스템. LACMTA(Los Angeles County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교통국)이 소유 및 운영 중이다. 2024년 기준 4개의 경전철 노선과 2개의 중전철 노선, 그리고 2개의 BRT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 BART와 더불어 미국 미시시피 강 이서의 2개뿐인 중전철 도시철도 시스템이기도 하다.2. 상세
자가용 위주의 교통이 정착된 로스앤젤레스 특성상, 대부분의 노선이 경전철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 특기할 점이다. 이용객 수로는 경전철만 봤을 경우 전미 3위이나, 중전철은 9위에 머무른다. 저 순위가 보기보다 훨씬 심각한 이유는 미국 대도시들의 궤도교통 시스템이 대개 경전철 및 노면전차 위주인지라, 전국 통틀어서 중전철 시스템이 15개뿐이다. 여기서 미국 2위의 대도시가 9위에 불과한 것으로, 도시 인구가 LA의 8분의 1에 불과한 애틀랜타의 MARTA에도 밀린다. 총연장이 짧기 때문이라고 변명할 수도 있지만, 거리 대비 이용객 수로도 많이 후달린다. 때문에 평소에는 붐비는 모습을 보기 힘들다.상기한 부진의 이유는 단순한데, 아직까지도 노선망이 활발히 연장 중이기 때문이다. 뉴욕이나 보스턴, 시카고 등 탄탄한 도시철도망을 보유한 도시들은 20세기 초~중반부터 세워진 노선들을 야금야금 확장시켜 가며 21세기 들어서는 도시 대부분을 역세권으로 뒤덮을 수 있었지만, 미국 전차 스캔들의 직격탄을 맞은 로스앤젤레스는 20세기 중후반 대중교통의 불모지와도 같았고, 갖은 우여곡절 끝에 1990년 들어서야 첫 노선을 개통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도시 구석구석을 잇는 노선망을 완성하기까지는 갈 길이 먼 상황. 로스앤젤레스 시민들이 엄청난 교통체증에도 불구하고 자가용을 이용하는 이유가 있다.
노선망의 문제점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가 바로 공항과의 연결 부재다. 2022년 현재까지도 LAX로 직접 들어가는 도시철도 노선은 없고, C 라인 에이비에이션/LAX역에서 셔틀 버스로 환승해야 한다. 다행히도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에 조금 더 가까운 지점에 C, K 라인의 LAX/Metro Transit Center역이 2024년에 개통할 예정이며, 2026년에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의 각 터미널과 C, K라인의 LAX/Metro Transit Center역을 잇는 셔틀트레인이 운행을 개시함으로써 LAX 접근성이 조금이나마 개선될 예정이다.
그래도 최근에 지어진 만큼 시설 면에서는 상당히 우수한데, 우선 지진이 많은 로스앤젤레스의 특성상, 진도 7 수준의 지진에도 버틸 수 있도록 내진설계가 적용되었다. 역사의 디자인 역시 MBTA나 뉴욕 지하철 등 동부의 지하철과 달리 깨끗하고 현대적이다. 또한 대부분의 노선 역사(驛舍)는 Metro Art Los Angeles의 일환으로 역 주변의 특색에 맞게 설계되었으며, 곳곳에 지역 예술가와 협력하여 설치된 조형물이나 페인팅도 볼거리. 지하철 역 사진이 궁금하다면 Urbanrail.net 사이트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편 모든 노선에 버스처럼 노선 번호가 붙어 있으며 800번대 번호를 사용한다. 번호 방식은 개통 순서대로 A 라인이 801번, B 라인이 802번이 부여되었다. 또한 본래 노선 색깔로 이름을 구분했었지만, 2019년 후반부터 A/B/C/D/E/G/J/L의 알파벳으로 노선명을 변경했다. 이용요금은 단일 요금제로 거리에 상관없이 1.75달러를 받으며, 현금 외에 탭 카드라는 교통카드로 지불할 수 있다. 단, 버스 및 타 노선과의 환승이 무료가 아니기 때문에, 환승을 많이 해야 할 경우 7달러짜리 일일 승차권을 구매하는 편이 낫다.
3. 역사
1940년대 Pacific Electric Railway의 노선도 | 패서디나 부근 Pacific Railway 전차 |
그러나 이 전차의 도시도 제너럴 모터스의 투자를 업은 석유회사 및 자동차 업체들의 컨소시엄이 일으킨 미국 전차 스캔들(Great American streetcar scandal)의 광풍을 피할 순 없었다. 이들은 교외화로 노면전차 이용률이 감소하던 1950년대 로스앤젤레스, 뉴욕, 샌디에이고 등 미국의 여러 대도시에서 100여개가 넘는 노면전차 시스템들의 경영권을 매수하여 버스로 대체하였고, 1963년을 끝으로 LA 전차의 시대는 막을 내렸다. 여담이지만 남아도는 노면전차는 대한민국, 이집트, 칠레 등에 무상 원조되었다. 당시 대한민국에서 운행되던 서울전차와 부산 전차는 해방과 동시에 일본인 기술자가 모조리 빠져나가 정비 불량과 노후화로 노면전차 부족이 심각했는데, 이때 로스앤젤레스에서 원조된 수백대의 미국산 노면전차가 일본산 노면전차의 자리를 대체했다.
시간이 지나 1970년대 석유 파동 이후 휘발유 가격은 폭등하기 시작했고, 도시의 인구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며 차량 통행량은 하루가 다르게 늘어 갔다. 보다 못한 로스앤젤레스 카운티는 자가용과 버스를 대체할 교통수단을 늘리기 위해 1976년, 로스앤젤레스 교통위원회를 조직하여 로스앤젤레스 내 대중교통을 계획하고 1985년 노선의 착공에 들어갔다. 이후 1990년 7월 14일 LA 에서 전차가 사라진 지 27년만의 첫 도시철도 노선 A 라인이 개통하였다. 1993년엔 중전철 B 라인이 개통하면서 본격적인 노선망 확장이 시작되어 현재에 이른다. B 라인 개통 이후의 일들은 아래 도시철도 및 BRT 구축 현황 문단과 각 노선을 다룬 타 문서들에서 서술되어있다.
4. 노선
중전철 D 라인의 Wilshire/Western 역 | 경전철 C 라인의 El Segundo Blvd 역 | Metro Busway BRT G 라인의 굴절버스 차량 |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노선 | |||
중전철 | |||
경전철 | |||
BRT | |||
2개의 중전철 노선(B 라인, D 라인) 및 4개의 경전철 노선을 운행하고 있으며, 철도 외에 Metro Busway라는 이름의 BRT(G 라인, J 라인)도 운행한다.
C 라인, K 라인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LA 다운타운 및 유니언 역을 중심으로 하여 외곽으로 뻗어나가는 형태로 건설되어 있다. 중심역인 유니언 역에서 암트랙 열차와 메트로링크 커뮤터 레일로 환승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캘리포니아 고속철도와 브라이트라인 웨스트의 개통으로 샌프란시스코와 라스베이거스까지의 철도 노선도 연계될 예정이다. 또한 C 라인의 에이비에이션/LAX역에서 LAX 공항 셔틀로 환승할 수 있다.
4.1. 중전철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 |||||
노선 기호 | 노선명 | 개업년도 | 운행 구간 | 노선 연장 | 역 수 |
B 라인 (레드) B Line (Red) |
1993 |
LA Union Station ( LA 유니언) ↔ North Hollywood (노스 할리우드) |
16.4 mi (26.4 km) |
14 | |
D 라인 (퍼플) D Line (Purple) |
2006 |
LA Union Station ( LA 유니언) ↔ Western/Wilshire (웨스턴/윌셔) |
6.4 mi (10.3 km) |
8 |
4.2. 경전철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 |||||
노선 기호 | 노선명 | 개업년도 | 운행 구간 | 노선 연장 | 역 수 |
A 라인 (블루) A Line (Blue) |
1990 |
APU/Citrus College (APU/시트러스 칼리지) ↔ Downtown Long Beach (다운타운 롱비치) |
48.5 mi (78.1 km) |
44 | |
C 라인 (그린) C Line (Green) |
1995 |
Norwalk (노워크) ↔ Redondo Beach (리던도 비치) |
20.0 mi (32.2 km) |
14 | |
E 라인 (엑스포) E Line (Expo) |
2012 |
Downtown Santa Monica (다운타운 산타 모니카) ↔ Atlantic (애틀랜틱) |
22 mi (35 km) |
29 | |
K 라인 (크렌쇼) K Line (Krenshaw) |
2022 |
EXPO/Crenshaw (엑스포/크렌쇼) ↔ Westchester/Veterans (웨스트체스터/베테랑) |
5.9 mi (9.5 km) |
7 |
4.3. BRT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 |||||
노선 기호 | 노선명 | 개업년도 | 운행 구간 | 노선 연장 | 역 수 |
G 라인 (오렌지) G Line (Orange) |
2005 |
Chatsworth (챗스워스) ↔ North Hollywood (노스 할리우드) |
18.0 mi (29 km) |
18 | |
J 라인 (실버) J Line (Silver) |
2009 |
El Monte (엘 몬테) ↔ Harbor Gateway Transit Center (하버 게이트웨이) |
26.0 mi (41.8 km) |
9 (전용) 28 (전체) |
5. 도시철도 및 BRT 구축 현황
대중교통 인프라 구축을 위해 현재 굉장히 활발하게 도시철도 및 BRT의 신설 및 연장에 나서고 있다. 물론 건설 기간이 굉장히 길지만 프로젝트가 워낙 많아 상황이 좋아질 예상이 되기에 완공이 될 향후 미래가 매우 기대되는 상황이다. 특히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개최하게 되면서 올림픽 이전까지 주요 대중교통 확충사업을 완료하기 위해 서두르고 있다.5.1. 개통 완료
- K Line: 2022년 10월 7일 개통
- Regional Connector: 2023년 7월 16일 개통
- K Line Redendo Beach Extension: 2024년 11월 3일 1차 개통(에비에이션/센추리 - 리던도 비치)
5.2. 공사 및 계획 중
5.2.1. 2020년대 개통/개량 예정
- K Line Redendo Beach Extension: 2025년 4월 2차 개통(웨스트체스터/베테랑스 -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교통센터 - 에비에이션/센추리)
- A Line Foothill Extension 1단계: 2025년 개통
- Purple Line Extension Project: 2025년(1단계), 2026년(2단계), 2027년(3단계) 개통[2]
D 라인은 최초 완공 당시 B 라인의 지선 형태로 남아있었는데, 이 노선이 분리된 후 새로운 동서노선을 구성하여 연장을 하는 프로젝트이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착공시기가 2000년도 중반이였는데, 공사 도중 유물이 다량으로 나와 대략 10년 가까이 중단이 되었다. 물론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등 경제적 요소도 같이 걸린 것도 한 묷 했다. 이 때문에 3단계 구간까지 최종 완공 시기가 2036년으로 잡혀 있었지만,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유치하면서 시 인프라 개선에 신경을 쓰면서 예산 충당이 되었는지 최종 완공 시기가 2027년으로 앞당겨졌다.
노선이 완공될 경우 매우 큰 운송 효과가 기대된다. 우선 UCLA가 위치해있는 웨스트우드 지역과 부촌으로 유명한 베벌리힐스를 관통한다. 특히 2단계 노선 중 Wilshire/Rodeo 노선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곳이 바로 베벌리힐스의 꽃이라고 불리는 그 로데오거리다. 때문에 이 노선이 개통할 경우 상당한 관광객 유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거기에 이쪽 지역은 고속도로가 없어 심각한 교통 문제로 악명높은 지역인데, 중전철이 들어옴으로써 교통난 해소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도 청담, 반포, 성북 등 부촌은 대중교통 이용 자체를 꺼리는 편인데 그런 경향이 훨씬 강한 미국에서 먹힐지는 미지수. 그래도 UCLA의 통근, 통학 수요만은 확실하게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미국은 한국보다 대학생의 자가용 사용률이 높은 편이지만, 자차가 없는 국내외 유학생만 해도 수천명이 재학 중이기 때문. 게다가 베벌리힐스도 부유층인 거주민이 아니라, 그곳의 상업시설이나 저택등이 직장인 근로자나 관광객들을 위주로 수요를 뽑아내면 어느정도 선방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교통 솔루션 기업 에스트래픽이 D 라인 연장 1단계 구간의 페어게이트 구축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 관련된 언론보도에서 D 라인 연장 1단계 구간은 2025년 개통으로 공개되었다. # $
- LAX Automated People Mover(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 경전철): 2026년 개통
|
* Metro G Line Improvements Project: 2027년 개량완료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버스웨이 G 라인을 개량하는 사업이다. 개량 사업에는 세풀베다 정거장 동쪽과 반 누이스 정거장 서쪽 일부 구간의 입체화와 채츠워스 - 반 누이스 구간 사이 23개 교차로 신호시스템의 G 라인 차량 우선화 개량, 그리고 G 라인과 병행하는 자전거도로의 개량이 포함되어있다. #
- North Hollywood - Pasadena BRT(패서디나 BRT): 2028년 개통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B 라인 및 G 라인의 환승역인 노스 할리우드 역에서 A 라인 메모리얼 파크역을 경유해 콜로라도/힐(패서디나 대학)까지 BRT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 당초 2027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2028년으로 연기되었다.
Pasadena BRT | ||||
개통일자 | 정거장명 | 환승 노선 | 비고 | |
2028 | 노스 할리우드 | North Hollywood |
B라인 G라인 |
|
2028 | 바인랜드/헤스비 | Vineland/Hesby | ||
2028 | 올리브/리버사이드 | Olive/Riverside | ||
2028 | 알라메다/나오미 | Alameda/Naomi | ||
2028 | 올리브/베르두고 | Olive/Verdugo | ||
2028 | 올리브/레이크 | Olive/Lake | ||
2028 | 올리브/샌 페르난도 | Olive/San Fernando |
● Antelope Valley ● Ventura County |
[3] |
2028 | 글래녹스/알라메다 | Glenoaks/Alameda | ||
2028 | 글래녹스/웨스턴 | Glenoaks/Western | ||
2028 | 글래녹스/그랜드뷰 | Glenoaks/Grandview | ||
2028 | 글래녹스/퍼시픽 | Glenoaks/Pacific | ||
2028 | 센트럴/렉싱턴 | Central/Lexington | ||
2028 | 브로드웨이/브랜드 | Broadway/Brand | ||
2028 | 브로드웨이/글랜데일 | Broadway/Glendale | ||
2028 | 브로드웨이/베르두고 | Broadway/Verdugo | ||
2028 | 이글 록 플라자 | Eagle Rock Plaza | ||
2028 | 콜로라도/이글록 | Colorado/Eagle Rock | ||
2028 | 콜로라도/타운센드 | Colorado/Townsend | ||
2028 | 메모리얼 파크 | Memorial Park | A라인 | |
2028 | 콜로라도/로스로블레스 | Colorado/Los Robles | ||
2028 | 콜로라도/레이크 | Colorado/Lake | ||
2028 | 콜로라도/힐 | Colorado/Hill |
- A Line Foothill Extension 2단계: 2028년 개통
- Aerial Rapid Transit(LA 다저 스타디움 곤돌라): 2028년 개통[4]
조감도 | 노선도 |
메트로링크와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A 라인, B 라인, D 라인, J 라인를 탈 수 있는 LA 유니언 역에서부터 차이나타운을 경유해 야구 경기장인 다저 스타디움(Dodger Stadium)까지 곤돌라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소요시간은 7분으로 예정되어있다. #
Aerial Rapid Transit | ||||||
개통일 | 한글 역명 | 영문 역명 | 환승 노선 | 승강장 형태 | 비고 | |
다저 스타디움 | Dodger Stadium | |||||
차이나타운 | Chinatown | A라인 | ||||
LA 유니언 | Union Station |
A라인 B라인 D라인 J라인 ● 91 ● Antelope Valley ● Riverside ● San Bernardino ● Orange County ● Ventura County |
[5] |
- Vermont Transit Connector(버몬트 BRT): 2028년~2030년 개통
2024년에 나온 분석자료에서는 2022년 미국 물가 기준 B/C 5.4로 분석되었다. #
Vermont BRT | ||||
개통일자 | 정거장명 | 환승 노선 | 비고 | |
버몬트/선셋 | Vermont/Sunset | B라인 | ||
버몬트/산타 모니카 | Vermont/Santa Monica | B라인 | ||
버몬트/베벌리 | Vermont/Beverly | B라인 | ||
버몬트/3번가 | Vermont/3rd | |||
윌셔/버몬트 | Wilshire/Vermont |
B라인 D라인 |
||
버몬트/피코 | Vermont/Pico | |||
버몬트/아담스 | Vermont/Adams | |||
엑스포/버몬트 | Expo/Vermont | E라인 | ||
버몬트/플로랜스 | Vermont/Florence | |||
버몬트/맨체스터 | Vermont/Manchester | |||
버몬트/센추리 | Vermont/Century | |||
버몬트/아테네 | Vermont/Athens | C라인 | ||
버몬트/120번가 | Vermont/120th St |
5.2.2. 2030년대 개통 예정
- Inglewood Transit Connector(잉글우드 경전철): 2030년 상반기 개통
Inglewood LRT | ||||||
개통일 | 한글 역명 | 영문 역명 | 환승 노선 | 승강장 형태 | 비고 | |
2030 | 마켓 스트리트/플로랜스 에비뉴 | Market Street/Florence Avenue | K라인 | [6] | ||
2030 | 프레리 에비뉴/맨체스터 대로 | Prairie Avenue/Manchester Boulvard | ||||
2030 | 프레리 에비뉴/하디 스트리트 | Prairie Avenue/Hardy Street |
- East San Fernando Valley Light Rail Transit Project( 샌퍼낸도 경전철): 2031년 개통
파일:East San Fernando Valley 경전철 노선도(2024).jpg |
East San Fernando LRT | ||||||
개통일 | 한글 역명 | 영문 역명 | 환승 노선 | 승강장 형태 | 비고 | |
2031 | 반 나이스/샌퍼낸도 | Van Nuys/San Fernando | ||||
2031 | 로렐 캐년 | Laurel Canyon | ||||
2031 | 알레타 | Arleta | ||||
2031 | 우드맨 | Woodman | ||||
2031 | 노도프 | Nordhoff | [7] | |||
2031 | 로스코 | Roscoe | ||||
2031 | 반 나이스/메트로링크 | Van Nuys/Metrolink | ● Ventura County | |||
2031 | 셔먼 웨이 | Sherman Way | ||||
2031 | 베노웬 | Vanowen | ||||
2031 | 빅토리 | Victory | ||||
2031 | 반 누이스 | Van Nuys | G라인 |
- K Line Torrence Extension: 2030~2033년 개통
- Sepulveda Transit Corridor Project: 2033년~2035년 개통[8]
LA 북서쪽의 샌퍼난도 밸리 지역과 LA 서부 지역을 이어주는 노선. 해당 지역은 150만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LA의 주요 베드타운임에도, 험한 산지로 이루어진 산타 모니카 국립공원의 존재로 인해 도심과의 연결이 극히 부실하다. 동쪽은 그나마 레드 라인이 수요를 분산해주고 있지만, 정작 샌퍼난도 밸리 인구의 대다수가 몰려 사는 서쪽 지역은 인터스테이트 하이웨이 405번 달랑 하나에 모든 물동량이 몰리는 형국이다. 때문에 고속도로를 왕복 12차선으로 확장했음에도 정체가 답이 없다.
세풀베다 노선은 위처럼 지리적으로 단절된 샌퍼난도 밸리와 LA 서부를 연결하여, 405번 고속도로의 수요를 분산시켜 도로의 정체를 완화할 목적으로 계획 중이다. 이전부터 노선 자체의 필요성은 대두되었음에도 산악지형을 정통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공사 난이도 및 비용의 문제로 추진이 지지부진하였으나, 더 이상 공사를 미룰 순 없다고 판단했는지 지난 2019년부터 노선 건설을 위한 조사에 들어갔다. 우선 2033 ~ 2035년까지 메트로링크의 반 나이스(Van Nuys) 역에서 샌타모니카 국립공원을 통과하여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D 라인과 K 라인을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2057~2059년까지 노선을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으로 연장할 예정이다.
2024년 기준, LA 메트로 측에서 노선을 중전철로 할지 모노레일로 할지 아직 결정하지 못한 상태다. 효율성 및 장래 확장을 감안하면 중전철이 가장 적합하지만, 중국의 제조업체 BYD에서 저렴한 공사비를 근거로 모노레일을 계속 밀고 있다. 여기에 연선 일대 부촌 벨에어(Bel Air)가 미관 훼손을 근거로 중전철을 반대하는 터라 메트로 입장에선 골치가 아픈 상황.[9] # 분명히 모노레일로는 해당 구간의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고, LA 시민들 역시 93%가 중전철을 지지하고 있음에도 # 님비현상 때문에 사업 추진이 계속 지연되고 있다.
여기에 더해서 D 라인, E 라인과 어느 역에서 환승하도록 할지, UCLA 캠퍼스 내부를 경유할지 셔틀버스로 처리할지를 두고도 아직 계속 용역중에 있다. 결국 1단계 구간 개통이 2033 ~ 2035년으로 연기되었다.
- Southeast Gateway Project: 2035년 개통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A 라인 슬라우슨 역에서부터 파이오니어 지역까지 경전철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C 라인과의 교차점에서는 I-105 역을 건설할 계획이 있다.
장기 계획으로 이 노선을 유니언 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연구 중에 있다.
East San Fernando LRT | ||||||
개통일 | 한글 역명 | 영문 역명 | 환승 노선 | 승강장 형태 | 비고 | |
슬라우슨 | Slauson | A라인 | ||||
퍼시픽/란돌프 | Pacific/Randolph | |||||
플로랑스/솔트레이크 | Florence/Salt Lake | |||||
파이어스톤 | Firestone | |||||
가든데일 | Gardendale | |||||
I-105 | C라인 | |||||
파라마운트/로즈크랜즈 | Paramount/Rosecrans | |||||
벨플라워 | Bellflower | |||||
파이오니어 | Pioneer |
6. 문제점
노숙자가 많기로 유명한 로스앤젤레스에서도 노숙자의 온상이라고 불리는 곳이다. 밤은 말할 것도 없고 낮에도 지하철을 타면 이상한 행동을 하는 노숙자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6분 27초부터 보자. 해당 영상을 촬영한 당사자는 LA에서 탄 지하철이 본인이 인생에서 탄 모든 열차들 중 가장 무서운 경험이었다고 말했으며, 댓글에서도 공감하는 사람이 많이 보인다. 한국에서도 여행 블로그 등지에서 LA에 가면 버스는 몰라도 지하철은 가급적 타지 말라는 후기가 많이 보인다. 다만 노선별로, 그리고 시기별로 케바케가 작용하는 것인지 생각보다 괜찮았다는 후기도 찾아보면 있다.뉴욕 지하철과 비교하는 사람들이 자주 있지만, 맨해튼 내부 구간만 놓고 보면 로스앤젤레스보다 뉴욕 지하철이 훨씬 안전한 느낌이다. 이는 맨해튼 내부의 도로교통 사정이 절망적이라 돈 좀 있는 사람들까지도 지하철을 이용하기 때문으로, 일단 절대적으로 이용객이 많고 보는 눈도 많다. 반면 로스앤젤레스는 시설 면에서 뉴욕보다 신식이기는 하지만 절대적인 이용객이 별로 없어 같은 칸에 거동이 수상한 사람이라도 타게 되면 체감상 훨씬 무섭다. 게다가 아무리 뉴욕지하철 치안이 좋지 않다고 해도 대놓고 지하철에서 대마를 피우거나 하는 사람은 매우 드물지만, 여기는 캘리포니아인지라 차내에서 대마를 하는 사람도 꽤나 빈번하다(…) 로스앤젤레스 다운타운의 치안이 맨해튼과 비교하면 실례일 정도로 좋지 않기에 그 영향도 있을 것이다.
7. 여담
영화 볼케이노에서는 B 라인이 만악의 근원으로 나온다.게임 GTA 5의 도시인 로스 산토스의 모델 도시가 로스엔젤레스인 만큼 지하철이 돌아다닌다. 다만, LA의 지하철 망이 실제로 잘 이어지지 않는 것을 반영하여 역도 많지 않고 배차간격이 엉망인데 거기에다가 제작진이 모델링을 따로 하기 귀찮았는지 필박스 힐즈 지역과 락포드 힐즈 지역은 지하의 역이 있는 B/D 라인을 모델로 하면서도 도착하는 열차는 C라인의 경전차가 도착을 한다. (그보다 노선이 한개 뿐이다.) 다만 택시보다 이동 가격도 싸고 일부 지역은 의외로 잘 연결되어 이용하기 나름일 수도 있고 GTA 5의 마지막 미션인 대망의 연방 노동은행 털이 작업과 초반 보석상 털이 작업 때 신규 메트로 라인의 공사장을 자주 이용하게 된다.
경전철 A, E노선과 중전철 A, D노선의 환승역인 7번가/메트로센터역의 경우 지하 2층에 경전철 A, E노선 상대식 승강장이, 지하 3층에 중전철 A, D노선 섬식 승강장이 놓여있고 둘이 십자교차하는 형태여서 서울의 3, 4호선 환승역인 충무로역 수준의 개념환승이다.
[1]
Los Angeles County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교통국)
[2]
https://www.metro.net/projects/westside/
[3]
정거장에서 서쪽으로 약 200m 위치에
메트로링크 Antelope Valley Line, Ventura County LIne의 버뱅크 다운타운 역이 있다.
[4]
엄밀히 따지면 메트로 측에서 짓는 것이 아니라 민간 회사에서 건설하는 것이나, 사업 총괄 자체는 메트로가 진행하기에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문서에 기술되어있다.
[5]
LA 유니언 역 건물을 두고 A라인과 메트로링크 승강장은 동쪽에, 곤돌라는 서쪽에서 탑승 가능하기에 환승거리는 300m 전후다.
[6]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K 라인의 다운타운 잉글우드역과 환승된다.
[7]
G 라인의 노도 정거장과 다른 역이다.
[8]
https://www.metro.net/projects/sepulvedacorridor/
[9]
아이러니한 사실은, 중전철 안이 모두 벨에어를 지하로 통과한다는 것. 모노레일 안은 벨에어 일대를 고가로 지나기 때문에 미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건 오히려 이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