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학|거시경제학 '''{{{#!wiki style="font-family:Times New Roman, serif;font-style:Italic"''']]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거시경제의 기본원리 |
|||
국민소득 | 인플레이션 | 노동시장론 | 금융경제학 | |
화폐금융론 | 경기변동론 | 경제성장론 | 경제정책론 |
IS-LM모형 상에서 IS곡선이 우측이동(예 : 확대 재정정책 등)하여 이자율과 국민소득이 상승하는 상황을 나타낸 그림. |
[clearfix]
1. 개요
학부생 수준의 거시경제학에서 기본이 되는 경제모형.케인지안의 논리를 수학적으로 표현한 모델로, 존 힉스가 1937년에 개발했다.[1] 실물시장과 화폐시장을 연결하는 이론으로, [math(IS)] 곡선 (Investment-Savings)과 [math(LM)] 곡선(Liquidity preference-Money supply)의 교차점에서 산출량 [math(Y)]와 이자율 [math(r)]이 결정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명목 이자율인 [math(i)]와 실질 이자율인 [math(r)]은 피셔 방정식([math(i=r+π^e)])[2]에 따라 인플레이션 기대([math(π^e)])에 좌우된다. 그러나 인플레이션 기대가 0이라는 가정 하에 [math(i=r)]로 가정하여 IS-LM 곡선에서 명목 이자율 [math(i)]를 구할 수 있다. 위 그래프는 인플레이션 기대가 0이라는 가정 하에 실질 이자율 [math(r)] 대신 명목 이자율 [math(i)]를 변수로 삼고 있다. 그래서 물가변동이 크지 않은 단기적인 상황을 설명하는데 더 유용하며, 모형의 구조를 더 단순화시킬 수 있다.
2. 곡선
2.1. IS 곡선
[math(IS)] 곡선은 주어진 이자율에 실물시장이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담은 곡선이다. 이자율이 높을수록 투자의 기회는 적어지고, 그만큼 실물경제의 산출량은 줄어들 것이다. 이 두 변수의 변화를 중심으로 하여 실물시장이 취할 수 있는 균형값들을 모은 것이다.2.2. LM 곡선
[math(LM)] 곡선은 주어진 이자율에 금융시장이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담는다.[math(LM)] 곡선은 화폐시장의 균형점들을 모은 곡선이다. 이 균형점을 결정할 때의 논리는 다음과 같다. 화폐에 대한 수요는 경제의 산출량과 이자율에 달려있으며, 화폐의 공급은 중앙은행에서 정한다. 이 때 화폐의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점에서 이자율이 결정된다.
3. 문제점
최근 학계에서 IS-LM 모형은 자주 쓰이지 않는 추세이다. 가장 큰 문제점은 여러 변수들과 변수 사이의 관계를 단순히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인데, 이는 합리적 기대에 위반되기 때문이다.[3] 그러나 가르치기 용이하다는 점과 기본적인 직관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다만 IS-LM모형이 경제주체의 기대와 경제변수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는 취약하기 때문에, 경제에 큰 충격이 와 경제주체들의 기대에 충격이 오는 경우에는 실증분석의 결과가 매끄럽지 않을 수도 있다. 단적인 예로 학부 거시 책이나 고시강사들의 교재를 보면 피셔방정식을 이용해 물가상승률의 예측치를 IS-LM 모형에 집어넣기도 하는데 이 물가상승률 예측이 불안정한 경우에 대해 실증분석을 해보면 물가상승률 예측치가 안정적인 경우보다 실증분석의 결과가 썩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James D. Hamilton의 대공황에 대한 논문을 읽어보자. 대공황이라는 극단적인 경우에 대한 논문이고, 이 논문의 주제가 IS-LM모형이 거시경제를 분석하는데 적절한지를 따지는 모형은 아니지만, 이 논문에서 IS-LM모형으로는 대공황 당시의 현상을 설명할 수 없다는 결과가 나온다.
학계를 벗어난 월가나 중앙은행 등에서는 아직도 IS-LM모형을 주요하게 참고하는 경우가 있다.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몇가지를 들자면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 대부분이 IS-LM을 배웠기 때문에, 모두가 이해할 수 있다.
- 첫번째 근사값(first order approximation)으로서 충분히 역할을 한다. 모든 모형은 현실을 축약해서 설명한다는 점에서 일정 부분 잘못되어 있다. 그러므로 모형의 평가기준에서는 모형이 맞는지보다는 실제 정책결정 및 예측에서 제 역할을 하는지가 중요한 요건이다. 즉 모형의 가정에는 무엇이 있으며 또 그 가정이 어느 정도 위반되었을 때에도 얼마나 모형이 현실을 설명할 수 있는가에 있다. IS-LM의 경우 애초에 거시경제에 대한 단기예측을 위한 모형이며, 또한 단기적으로 무난하게 들어맞고, 많은 정책적 요인을 설명할 수 있으므로 좋은 모형이다.
4. 확장
AD-AS 모형의 일부로서 쓰이기도 하며, LM 곡선 대신 화폐정책곡선(MP곡선)을 사용한 IS-MP 모형도 있다. 또한 해외 시장을 포함하여 균형을 구하는 IS-LM-BP 모형도 존재한다.IS-MP 모형은 IS-LM 모형의 LM 곡선을 MP(Monetary Policy)곡선으로 대체한 모형이다. 이 모형은 데이비드 로머가 2000년에 주장한 것으로[4], 로머에 의하면 현대에 와서는 중앙은행이 더 이상 화폐공급량 그 자체를 타게팅하지 않으며 테일러 규칙등에 의해 조절하므로 이를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로머는 학부생들을 위하여 거시경제학 교과서의 IS-LM을 IS-MP로 대체한 학습자료를 2006년에 작성하였다.[5] #(영문)
그레고리 맨큐는 자신의 블로그 포스팅에서 IS-LM과 IS-MP 사이에는 실증적 혹은 이론적 차이가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단지 교육적인(pedagogical)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IS-LM-BP 모형은 기존의 IS-LM모형에 BP(Balance of Payment), 즉 국제수지를 포함한 모형이다. BP곡선은 완전한 자본의 이동을 가정할 경우 수평으로 표시되며[6], IS, LM, 그리고 BP의 세 곡선이 만나는 점에서 균형이 이루어진다. 자세한 설명은 먼델-플레밍 모형을 참고할 것.
[1]
이후 1953년 Hansen에 의해 내용이 추가되어, Hicks-Hansen 모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명목이자율=인플레이션율+실질이자율 인 방정식이다. 더 간단하게 NIR = RIR + IR 이라고도 쓴다.
[3]
예를 들어
크리스토퍼 심스 교수의 입장(
Wither ISLM) 등.
[4]
Romer, David (2000). "Keynesian Macroeconomics without the LM Curve".
[5]
맨큐가 쓴 '거시경제학' 교과서 제 5판과 같이 쓰도록 작성했다고 한다.
[6]
Y가 x축, r이 y축이 되도록(즉 보통의 경제학 교과서처럼) 그릴 경우에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