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09:09:29

CrowbCat

CrowbCat
파일:maxpayne1.jpg
[1]
이름 불명
업로드
시간
정해지지 않음
유튜브
구독자 수
120만명[2] 실시간
유튜브 채널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논란 문서의 소재가 된 자료4. 번외 자료에 참고된 문서5. 문서에 미참고된 영상

[clearfix]

1. 개요

2013년부터 활동을 시작한 유튜버. 주로 게임 영상을 업로드하는데, 논란이 된 게임들의 행보를 요약하거나, GTA4와 GTA5 비교 영상 처럼 게임의 그래픽, 성능 비교 영상이나 PS4 기기 결함 모음집 같은 콘솔 결함 사례 모음 같은 것이 주요 콘텐츠. 그 외에도 게임 속 각종 버그 모음 영상 등도 업로드된다. 특정 게임을 까거나 비판, 풍자하는 것이 이 채널의 성격이다. 특히 최신작을 기준으로 빨리 뽑아서 비교하는 덕분에 제작진들의 천적이나 다름 없을 정도로 정말 날카로운 정보를 제공한다.

이 유튜버는 본인의 신상 정보를 공개한 적이 없으며 이와 관련된 홈페이지 활동도 페이트리온을 제외하면 없다. 따라서 유튜브에만 활동하기 때문에 정체를 아는 사람이 극히 드물다. 특히 레딧에 올라오는 Crowbcat의 영상은 대부분 다른 유저들을 통해서 공유되기 때문에 빠른 정보를 보고 싶다면 Crowbcat의 채널을 구독하는 것 외에는 없다.

2. 특징

파일:CrowbCat_in_a_nutshell.png
"난 쟤가 하는 말 다 믿어. 왜냐면 정확히 내가 듣고 싶었던 말이니까."
비판론자들이 주장하는 CrowbCat 구독자들의 개념 요약[3] 출처 #

정보를 뽑는 것을 목적으로 만드는 것을 지향하기 때문에 극단적인 효과나 자막을 넣지 않고 그냥 봐도 알 수 있을 정도로 이해하기 쉽게 만든다. 전반적으로 인 게임에서 이슈된 것들을 통한 분석이므로 꽤나 영향력이 있다.

그러나 바이오하자드 RE:4 soul vs soulless Resident Evil 4 comparison 비교 분석영상 이후로 논란이 되었다.

파일:Cap 2024-11-12 21-36-42-255.jpg

실제로 유튜브 비추천을 복구하는 앱을 설치하고 해당 영상을 시청할시 비추천이 절반을 넘어갈 정도로 여론이 악화되었으며

CrowbCat은 절대 같은 조건에서 두 게임을 비교하지 않았다
Looks like Crowbcat changed the title of their most recent video. Thoughts?
심지어 비판 댓글을 삭제한 정황, 수많은 비판에 당황하여 해당 영상의 제목을 바꾸었다가 다시 롤백하고 결국 비판여론에 못이겨 해명댓글을 뒤늦게 올리는 등 여태까지 쌓은 명성이 무색하게 단 한 번의 잘못으로 기대 이하의 대응을 보여주어 팬들의 지지도는 바닥으로 떨어져 버렸다. 이를 증명하듯, 이전까진 영상을 올리는 족족 100만 이상의 조회수는 물론 많게는 1000만을 돌파하는 경우도 더러 있었지만 해당 논란 이후에 올린 영상들은 100만 조차 기록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함 사례 모음 영상의 경우, 유튜브에 돌아다니는 영상들을 짜집기해서 만든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영상 정보를 보면 출처를 분명히 표기해두며, 적절한 편집과 어우러져 재미를 선사한다. 배틀필드 1의 각종 버그들로 패러디한 트레일러, 닌텐도 스위치 기기 결함 모음, 실패한 콘솔인 'OUYA'의 문제점 지적 등의 주옥 같은 영상들을 만들어냈으며, 이 사람이 만든 영상 중 나무위키에 링크된 영상이 한 둘이 아니다. 당장 매스 이펙트: 안드로메다 엘리트 컨트롤러 항목을 보면 문제점과 관련한 항목에 이 사람 영상이 꼭 껴 있다.

특유의 영상 짜집기, 편집이 아이덴티티가 됐는지, 한 유튜버가 엑스박스 원 X의 기기 결함 영상을 편집해서 올렸더니 '뭐야 CrowbCat 아니잖아' 'CrowbCat 되고 싶은 거지?' '님 CrowbCat 사촌임?'하며 이구동성으로 CrowbCat을 거론할 정도이다.

3. 논란 문서의 소재가 된 자료

4. 번외 자료에 참고된 문서

5. 문서에 미참고된 영상


[1] 맥스 페인의 아트 워크를 프로필로 사용중이다. [2] 2023년 4월 1일 기준 [3] 1966년도에 나온 애니메이션 "스페이스 고스트(Space Ghost)"의 한 장면을 응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