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06:27:32

BECK: Mongolian Chop Squad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BECK
,
,
,
,
,

BECK: Mongolian Chop Squad (2004~2005)
파일:external/www.weeatfilms.com/Beck_Mongolian_Chop_Squad.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밴드
원작 해롤드 사쿠이시
감독 코바야시 오사무(1964)
시리즈 구성
조감독 마스하라 미츠유키
캐릭터 디자인 호리 모토노부
코바야시 오사무(1964)
미술 감독 우에하라 신이치(上原伸一)
색채 설계 코시카와 요시미(こしかわよしみ)
호리카와 요시노리(堀川佳典) (22~26화)
촬영 감독 오자키 타카하루
촬영 프로듀서 나라이 마사유키(奈良井昌幸)
CGI 디렉터 하야시 히로미(ハヤシヒロミ)
편집 키무라 카시코(木村佳史子)
음향 감독 나가사키 유키오(長崎行男)
음향 효과 사토 히데쿠니(佐藤秀国)
음악 종합 프로듀서 히다카 토오루(ヒダカトオル)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모리야마 아츠시(森山 敦)
카타오카 요시아키(片岡義朗)
마츠모토 요시아키(松本慶明)
프로듀서 슈쿠리 고(宿利 剛)
나카지마 요시미(中嶋嘉美)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카사이 신지(笠井信児)1~18화
→모로사와 마사오(諸澤昌男)19~26화
애니메이션 제작 매드하우스
제작 BECK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04. 10. 07. ~ 2005. 03. 31.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 (목) 01: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브레인TV / (월~금) 09:0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26화
시청 등급 정보 없음
}}}}}}}}}}}} ||

1. 개요2. 등장인물3. 주제가
3.1. OP3.2. ED13.3. ED2
4. 회차 목록5. 평가6. 기타

[clearfix]

1. 개요

매드하우스에서 BECK: Mongolian Chop Squad이라는 제목으로 TV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기도 했다. 코바야시 오사무(1964)가 감독, 각본, 캐릭터 디자인, 연출, 콘티, 작화감독 까지 대부분 도맡아 했으며 코버야시 감독이 새로운 걸 담고 싶다면서 인터넷을 뒤져 료치모, 하야시 유키, 쿠츠나 켄이치 같은 아마추어 신인 애니메이터를 적극 기용했다. WEB계 애니메이터를 전면에 내세운 최초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그림체가 원작과 다르게 미국 만화 같은 느낌으로 뭉개졌고, 호불호가 갈리기도 했지만 감정표현과 움직임을 잘 살린 명작 중 하나이다.

오프닝을 담당했던 BEAT CRUSADERS를 필두로 일본의 인디 밴드들이 대거 참가하여 OST를 담당하였다. 이에 따라 원작과는 곡의 제목이나 가사 등이 많이 다르다. 유키오의 경우 Husking Bee의 기타리스트 히라바야시 카즈야가 노래부분을 담당하였고 치바의 경우 YKZ의 타츠조가 담당.

2.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ECK 문서
번 문단을
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주제가

3.1. OP

OP
HIT IN THE USA
TV ver.
M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BEAT CRUSADERS
작곡
편곡
작사 히다카 토오루(ヒダカトオル)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코바야시 오사무(1964)
연출
작화감독
원화 혼다 타케시, 히라마츠 타다시, 타나카 유이치, 이타즈 요시미, 야마모리 에이지, 요시가키 유스케, 호리 모토노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I've never dreamed before.
예전엔 꿈꿔 본 적이 없었어.

I'm gonna knock the door.
문을 두드릴 거야.

Into the world of perfect free.
완벽하게 자유로운 세계로.

(You ain't no lonely!)
(넌 외롭지 않아!)

You're gonna say I'm lying.
넌 내가 거짓말하고 있다고 말하겠지.

I'm gonna get the chance.
난 기회를 잡을 거야.

I thought a chance is far from me.
난 기회가 나한테 멀다고만 생각했었어

(You ain't no lonely!)
넌 외롭지 않아!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ve never dreamed before.
예전엔 꿈꿔 본 적이 없었어.

I'm gonna knock the door.
문을 두드릴 거야.

Into the world of perfect free.
완벽하게 자유로운 세계로.

(You ain't no lonely!)
(넌 외롭지 않아!)

You're gonna say I'm fool.
넌 내가 바보라고 말하겠지.

But now I made it true.
하지만 지금 난 그걸 실현시켰어.

How many times I try to be.
얼마나 많은 시간 도전했는지.

(You ain't no lonely!)
(넌 외롭지 않아!)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You are the sun.
는 태양.

You are the star
너는 별.

(to me forever.)
( 곁에 영원히.)

You are the sun.
너는 태양.

You are the star
너는 별.

(to me forever.)
(내 곁에 영원히.)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I was made to hit in the America.
난 미국에서 히트치러 태어났어.
}}}}}}}}} ||

1997년부터 2010년까지 활동했던 일본의 록 밴드인 BEAT CRUSADERS가 담당했다.

3.2. ED1

ED1
My World Down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meister
작사 Tim Jensen
작곡 Ryo Matsui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엔딩 애니메이션 코바야시 오사무(1964) feat. 타케야마 아츠시(武山 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Meister 명의의 마츠이 료가 담당하였다.

3.3. ED2

ED2
MOON ON THE WATER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sowelu
작사 히다카 토오루(ヒダカトオル)
작곡 BEAT CRUSADERS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엔딩 애니메이션 코바야시 오사무(1964) feat. 타케야마 아츠시(武山 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BEAT CRUSADERS가 작곡하였고, 일본의 가수인 Sowelu가 불렀다. 다잉 브리드의 노래라는 설정인데, 애니메이션 판에서 다나카 유키오 미나미 마호가 같이 부른 버전과 다나카 유키오가 공연장에서 부른 버전이 있다.

4.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Live 1[1] 14歳の風景
14살의 풍경
코바야시 오사무
(1964)
호리 모토노부 日: 2004.10.07.
韓: 2007.11.19.
Live 2 LIVE HOUSE 마츠모토 후미오
(松本文男)
日: 2004.10.14.
韓: 2007.11.20.
Live 3 MOON ON THE WATER 하마사키 히로시 미야케 코타로
(三宅綱太郎)
타카하시 노보루
(高橋 昇)
日: 2004.10.21.
韓: 2007.11.21.
Live 4 Strum the guitar 쿠보오카 토시유키 시시도 준 와타나베 카즈오
(渡辺和夫)
日: 2004.10.28.
韓: 2007.11.22.
Live 5 BECK 코바야시 오사무
(1964)
하나이 신야
(花井信也)
히나타 마사키
(日向正樹)
日: 2004.11.04.
韓: 2007.11.23.
Live 6 兵藤とジャガー
효도와 재거
오다와라 오토코
(小田原 男)
카마나카 노부하루 아오키 마리코
(青木真理子)
日: 2004.11.11.
韓: 2007.11.26.
Live 7[2] ルシール
루실
와카바야시 칸지
(若林漢二)
호리 모토노부 日: 2004.11.18.
韓: 2007.11.27.
Live 8[3] 校内放送
교내방송
코바야시 오사무
(1964)
타나카 유이치 日: 2004.11.25.
韓: 2007.11.28.
Live 9 LIVE前夜
LIVE 전야
마스이 소이치 미야케 코타로 타카하시 노보루 日: 2004.12.02.
韓: 2007.11.29.
Live 10 FACE 오다와라 오토코 시시도 준 와타나베 카즈오 日: 2004.12.09.
韓: 2007.11.30.
Live 11 Summer holidays 코바야시 오사무
(1964)
하나이 신야 히나타 마사키 日: 2004.12.16.
韓: 2007.12.03.
Live 12 シークレットライブ
시크릿 라이브
하마사키 히로시 하마츠 타케히로
(浜津武広)
日: 2004.12.23.
韓: 2007.12.04.
Live 13 シエル・ブリュ
시엘 브류
마스이 소이치 카마나카 노부하루 아오키 마리코 日: 2004.12.30.
韓: 2007.12.05.
Live 14 Dream 시노자키 야스유키 우메츠 야스오미 日: 2005.01.06.
韓: 2007.12.06.
Live 15[4] Back to school 코마이 카즈야
(駒井一也)
코마이 카즈야
마츠모토 노리오
日: 2005.01.13.
韓: 2007.12.07.
Live 16 インディーズ
인디즈
코바야시 오사무
(1964)
미야케 코타로 타카하시 노보루 日: 2005.01.20.
韓: 2007.12.10.
Live 17 スリーデイズ
쓰리 데이즈
야기누마 카즈요시 시시도 준 와타나베 카즈오 日: 2005.01.27.
韓: 2007.12.11.
Live 18 レオン・サイクス
레온 사이크스
코바야시 오사무
(1964)
하나이 신야 히나타 마사키 日: 2005.02.03.
韓: 2007.12.12.
Live 19 ブルース
블루스
요네다 미츠히로
(米田光宏)
하마츠 타케히로 日: 2005.02.10.
韓: 2007.12.13.
Live 20 グレイトフルサウンド
그레이트 풀 사운드
타나카 유이치 카마나카 노부하루 아오키 마리코 日: 2005.02.17.
韓: 2007.12.14.
Live 21 Write Music 마스이 소이치 마스하라 미츠유키 히나타 마사키
[A파트]
타카다 하루히토
[B파트]
(高田晴仁)
日: 2005.02.24.
韓: 2007.12.17.
Live 22[7] 前夜祭
전야제
야기누마 카즈요시 마츠타케 토쿠유키 日: 2005.03.03.
韓: 2007.12.18.
Live 23 FESTIVAL 마스이 소이치 사토 토시하루
(郷 敏治)
와타나베 카즈오 日: 2005.03.10.
韓: 2007.12.19.
Live 24[8] サードステージ
서드 스테이지
코바야시 오사무
(1964)
호리 모토노부
호리 모토노부 하마츠 타케히로 日: 2005.03.17.
韓: 2007.12.20.
Live 25[9] Slip out 코바야시 오사무
(1964)
카토 히로미 日: 2005.03.24.
韓: 2007.12.21.
Live 26 America 히나타 마사키 日: 2005.03.31.
韓: 2007.12.24.

5. 평가

밴드 애니의 고질병인 언행불일치가 살짝 드러나는 편인데, 음악 자체는 괜찮았지만 원작에서의 주인공들이 주는 임팩트가 너무 강했기 때문에 원작에서 추구했던 느낌들이 덜 살았다는 평이 많다. 더불어 애니메이션의 평가 자체는 좋지만 아직 완결이 나지 않은 작품을 애니화했기 때문에 완결부의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의견도 좀 있다. 반면 원작과 달리 중간에 전개가 늘어지는 부분이 없어서 완급이 좋다는 평도 있다. 원작을 완전히 무시하고 원작 파괴를 한 작품은 아니지만 원작과 좀 다른 작품으로 봐야한다.

악기 연주 장면의 경우 일일이 손으로 그리기 어려운 탓에 그림만 보면 그냥 시늉만 하는 느낌이 강하지만 일부 장면에선 악기를 3D화하여 솔로 연주 같은 경우에는 상당한 리얼리티를 보여주기도 했다. 후에 연재된 분에서 Devil's Way가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 곡이고 이 부분이 미디어믹스 되지않아서 팬들 중에는 이 곡을 궁금해 하는 사람이 꽤 많다. 하지만 애니화한 부분에서 특히나 작가는 유키오의 목소리를 그대로 재현할 수 없는게 마음에 걸렸는지 애니메이션을 제외하고 유키오가 노래한 경우는 절대 없다. 영화판에서는 묵음 처리. 현재로서는 연재가 완료된지 한참 지났으며 애니화를 한번 한 전적이 있기 때문에 이제와서 애니화를 한번 더 할 기세는 보이지않는다. 한다고 해도 유키오의 목소리가 가장 큰 문제겠지만.

평론가 오구로 유이치로 코바야시 오사무(1964)의 작품 중 이것이 가장 명작이라고 평가했다.

6. 기타

  • 코바야시 오사무는 실제 록밴드하고 친하기로 유명할 정도로 록 음악에 잘 알고 있고 기타도 쳐본 사람이라 애니화의 적임자이긴 했다. 이후 록음악과 패션에 대한 오사무의 관심은 파라다이스 키스로 이어진다.
  • 밴드만화라는 특성 때문에 일본 펜더사에서 스폰을 하여, 주인공 밴드를 뺀 나머지 기타리스트 들은 모두 펜더(거의 스트라토캐스터) 기타를 쓴다.
  • 애니메이션 7화에서 아직 유키오가 류스케와 제대로 화해하지 못한 시점. 변장을 한 채 류스케가 두 번째로 루실을 사용하여 진행한 라이브를 보러가는 장면이 있는데, 이 때 라이브를 했던 곳(SHOLDER)의 모티브가 된 SHELTER무려 18년이 지나고 나온 또 다른 밴드물 만화/애니메이션 봇치 더 록!에 등장하는 라이브 바 'STARRY'의 모티브가 된다.


[1] 원화 코니시 켄이치, 마츠모토 노리오, 미야자와 야스노리, 하야시 치히로(林 千博), 하야시 유키, 호리 모토노부, 코바야시 오사무(1964) 등. [2] 원화 사카모토 슈지(坂本修司), 하야시 유키, 혼다 타케시, Cindy H. Yamauchi, 호리 모토노부, 이마무라 타이키(今村大樹), 료치모 등. [3] 원화 마츠모토 노리오, 이타즈 요시미, 카와구치 타카시(川口 隆)., 아베 노조무, 사카이 카즈오, 이마무라 타이키 등. [4] 원화 마츠모토 노리오 등. [A파트] [B파트] [7] 원화 료치모, 이마무라 타이키, 카네코 슈이치(金子秀一), 하야시 유키, 이타오카 니시키, 사와다 히데히코, 야마시타 유우(山下 祐), 타나카 히로토, 마츠모토 노리오, 우츠노미야 사토루 등. [8] 원화 아사노 나오유키, 쿠츠나 켄이치, 에바타 료마, 하야시 유키, 호리 모토노부, 료치모 등. [9] 원화 마츠모토 노리오, 이마무라 타이키, 호리 모토노부, 아라이 코이치, 하야시 유키 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