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23:36:18

2022년 중국 쓰촨성 서남부 지진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지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진학
규모 · 진도 · 지진대 · 조산운동 · 습곡산맥( 신기 습곡산맥) · 단층( 단층산맥 · 대한민국의 단층)
슬로우 슬립 · 쓰나미 · 지진파 · 판 구조론 · 내진설계 · 이상진역 · 지반 액상화
발생 양상과 분류
단층지진 · 수도직하지진 · 고유지진 · 군발지진 · 발생 깊이에 따른 분류( 천발지진 · 중발지진 · 심발지진)
지진경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 재난문자 기준 · 재난방송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긴급지진속보(일본) · 쓰나미 경보 · 국가지진열도속보 및 예경공정(중국)
국가별 주요 지진 목록
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 틀:일본 주요 지진
전체 지진 목록
목록
국가별 지진 문서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튀르키예 · 칠레 · 대만
대한민국 관련 사이트
기상청(최근지진) · 기상청(지진목록)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해외 관련 사이트
일본 기상청 · 중국 지진국 · USGS(지진 목록) · EMSC(지진 목록)
관련 프로젝트
나무위키:프로젝트/지진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발생 국가: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rowcolor=#000,#e4e4e4> 발생 시각 ( UTC+8) 규모 진원 최대 진도
2025년 01월 21일
00시 17분 27초
ML 6.4 대만 자이현 남동쪽 30km 지역 6-
쓰나미 여부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m
실측 최고높이: -m
2022년 쓰촨성 서남부 지진
발생일시
(UTC+8)
2022년 9월 5일 12시 52분 00초
진앙 중국 쓰촨성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루딩현 남쪽 18km 지역
진원의 깊이 17km[1] / 10km[2]
규모 ML 6.8[1] / Mw 6.6[2]
최대 진도 [5]
[6]
해일 경보/주의보 미발령
여진 횟수
(M 4.0 이상)
최소 13회
피해상황
(2022. 09. 09.)
사망자 93명
실종자 25명
부상자 400명[7]
이재민 5만여명
건물 -13,253채 파괴
피해총액 -달러
1. 개요2. 경과3. 피해4. 반응5. 여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022년 9월 5일 오후 12시 52분 중국 쓰촨성 루딩현에서 발생한 M 6.8의 강한 지진. 진원 깊이는 16km, 최대진도는 MMI 기준 로 분석되었다. 4분 후에는 루딩현 남쪽의 야안시 스몐현에서도 규모 4.2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루딩과 스몐은 쓰촨은 물론 중국에서도 상대적으로 낙후된 곳으로 여겨지는 산간 지역이기에 피해가 막심하며 대규모 산사태가 수반하여 도로가 막히는 바람에 구조와 복구에 난항을 겪었다.

2. 경과

9월 5일 당일에는 21명 사망으로 집계되었으나 구조대가 투입되며 진상이 파악되자 피해자 수는 빠르게 늘었다. 지진 발생 후 중국 당국은 1천 규모의 구조대를 파견했다가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한 후 1만 규모로 늘렸고 9대의 헬리콥터 등을 동원한 1만 2천여 장비도 동원하였다. 또 1억 5천만 위안(한화 296억원 상당)의 자금이 긴급 투입되었고 중국 국무원 내진구재지휘부 파공실과 응급관리부는 국가지진 응급 3단계와 국가 4단계 재난구호 응급 대응 체계를 가동하였으며 쓰촨성 당국도 2급 비상대응을 발동하였다. 시진핑 주석은 '인명 구조를 최우선으로 하고 이재민 구호에 전력을 다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시키며, 지진 상황 모니터링을 강화해 추가 재해의 발생을 방지하라'는 긴급 지시를 내렸다.

9월 6일 기준으로 루딩현에서는 37명, 스몐현에서는 28명이 사망했다고 보고되었다. 루딩-스몐 일대 뿐만 아니라 200여 km 떨어진 청두시에서도 진동이 감지되었으며 놀란 주민들이 야외로 나왔으나 청두시는 코로나 봉쇄가 진행 중이었기 때문에 요원들에 의해 저지되었다. 이에 생명보다 방역이 우선이냐는 비판이 나왔다. 진앙 바로 옆에 있는 하이뤄거우(海螺溝) 빙하삼림 공원에는 232명이 고립되어 있었으나 기적적으로 단 한 명의 부상자 없이 전원 구조되어 희망을 안겨주었다. 루딩현의 유치원에서는 교사들이 지진 발생 후 원생 290여명을 2분만에 야외로 대피시키는 미담도 있었다. 9월 9일 기준으로 루딩과 스몐현의 통신은 복구되었고 학교들은 온라인 수업을 진행했다. 다만 전력은 일부만 복구된 것으로 보인다.

9월 8일 쓰촨성 인민 정부가 공개한 지진 기부 목록에 따르면 공기벙 중에서 중국 국가 에너지그룹 공익기금회, 국영 전력 회사인 창장싼샤그룹, 중국석유천연가스그룹 시난 지사가 각각 5천만 위안(한화 99억 원)을 기부했다고 한다. 민간 기업 중에서는 둥펑과 안강 그룹 등이 각각 2천만 위안을 기부하였고 그 외에 알리바바, 비야디, 하이얼 등도 기부금을 보냈다고 한다. 한편 피해 지역에서는 지진과 여진으로 지반이 크게 약화되었고 산사태로 강줄기가 막힌 상태에서 비가 예고됨에 따라 주요 하천인 완둥허(灣東河) 유역의 주민 5만여명이 추가 대피하였다.

3. 피해

9월 9일 기준으로 86명이 사망했고 35명이 실종되었다. 400여명의 부상자 중에서도 75명이 중태에 빠졌으며 이재민은 5만명에 달했다. 루딩현에서만 건물 1만 3천여채가 파괴되었고 그 중 243채는 완파되었다. 또 수력발전소 7곳이 파괴되어 그렇지 않아도 심각하던 쓰촨성의 전력난을 가중시킬 것으로 예상되었다. 여기에 중국 기상청에 따르면 10일까지 일대에 비가 예고되었기 때문에 피해가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다.

이 지진은 쓰촨성 기준으로 2013년 4월 196명이 사망했던 야안시 루산현 지진 이후 가장 많은 피해를 야기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대한민국 외교부는 주 청두 총영사관에서 아직 신고된 우리 국민의 피해는 없다고 밝혔다고 전하였다. 아울러 피해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현지 당국 및 지역 한인회 등과 비상 연락망을 유지 중이라고 밝혔다. 대만에서도 자국민의 피해는 보고된 바가 없다고 발혔다.

4. 반응

9월 6일 차이잉원 대만 총통은 쓰촨성 지진의 수색 구조와 재해 복구가 순조롭게 이루어져 속히 일상으로 복귀하기를 바란다고 말하였다. 9월 7일에는 쓰촨성 지진 피해자와 유족에게 위로와 애도를 표하였다. 쑤전창 대만 행정원장 역시 지진 피해에 위로를 표하였고 중국시보는 대만 해협교류기금회 (SEF)는 지원 의사를 밝혔으나 중국 해협양안관계협회 (ARATS)가 아직 회신하지 않았다고 전하였다.

대만 소방 당국도 쓰촨성 피해 복구 지원을 위해 40여명의 구조대와 1마리의 탐지견, 5톤 상당의 장비를 대기시켜 놓았고 '국경을 초월한 재난 지원과 인도주의적 지원에 헌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2022년 대만 위기 양안관계가 악화되던 와중에 대만 측에서 대중관계 개선 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중국 측의 공식적인 반응은 나오지 않았다. 2008년 쓰촨성 대지진 당시 중국이 대만의 구호팀 파견을 수용한 적이 있다.

9월 17일 중국 전인대 위원장 리잔수와의 회동 자리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쓰촨성 지진에 대한 애도를 표하였다.

5. 여담

일각에서는 싼샤댐 건설로 인해 갇힌 장강 강물이 지반을 무르게 만들어 (액상화) 지진이 자주 일어나게 된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 가뭄 후에 대지진이 수반한다는 소문이 돌기도 하였다. 한편 지진 전날에 박쥐 떼가 도심을 뒤덮는 전조 현상이 있었다.

지진 당시 대피 도중 산지에 고립되었던 발전소 직원 간위가 17일만에 기적적으로 생환하였다. #

루딩현은 대장정 도중 홍군이 국민혁명군의 기관총 세례를 맞으며 구사일생으로 도하에 성공한 루딩교로 유명한 곳이다.

6. 둘러보기

문서가 존재하는 2022년 지진
[[틀:지진/2021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2022
[[틀:지진/2023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규모 지진명 최대진도
<colbgcolor=#868e96> 01. 08. M 6.9 중국 간쑤성 지진
01. 17. M 5.3 아프가니스탄 지진 (1월)
01. 22. M 6.7 일본 휴가나다 지진
5+
02. 16. M 6.3 과테말라 지진
02. 25. M 6.5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지진
02. 04.~
05. 04.
~M 4.8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 (2022년 3월)[1]
4
03. 16. M 6.1 후쿠시마 지진
5-
M 7.4
6+
03. 23. M 6.7 대만 화롄 해역 지진 (3월)
6-
03. 31. M 7.0 뉴칼레도니아 지진
M 7.2
04. 01. M 6.5
04. 22. M 5.8 보스니아 지진
05. 09. M 6.6 대만 화롄 해역 지진 (5월)
3
05. 12. M 5.6 페루 리마 지진
05. 22. M 6.0 이바라키 지진 (5월)
5-
05. 26. M 7.2 페루 푸노 지진
06. 01. M 6.1 쓰촨성 야안시 지진
06. 08. M 6.7 브라질 지진
M 5.2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진
06. 10.~
06. 14.
~M 6.0 쓰촨성 군발지진[2]
05. 14.~
08. 29.
~M 5.5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 (2022년 6월)[3]
6-
06. 21. M 6.2 아프가니스탄 지진 (6월)
06. 26. M 4.7 구마모토 지진
5-
07. 02. M 6.1 이란 남부 지진
M 5.7
M 6.2
07. 24. M 5.7
M 5.8
07. 27. M 7.3 필리핀 루손 섬 지진
08. 11. M 5.2 홋카이도 카미카와 지방 지진
5-
M 5.4
5+
09. 05. M 6.8 쓰촨성 서남부 지진
09. 11. M 7.7 파푸아뉴기니 지진
09. 17. M 6.5 대만 타이둥 지진
6+
09. 18. M 6.8
09. 19. M 7.7 멕시코 카찬 데 에체베리아 지진
10. 25. M 6.4 필리핀 아브라 지진
10. 29. M 3.5 괴산 지진
M 4.1
11. 08. M 5.7 네팔 지진
11. 09. M 5.0 이바라키 지진 (11월)
5+
11. 21. M 5.7 인도네시아 자바섬 서부 지진
11. 22. M 7.0 솔로몬 제도 지진
11. 23. M 6.1 튀르키예 뒤즈제 지진
09. 12.~
12. 29.
~M 4.4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 (2022년 11월)[4]
4
12. 20. M 6.4 캘리포니아 지진
}}}}}}}}} ||

[1]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4.8의 지진이 발생한 3월 8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2]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6.0의 지진이 발생한 6월 10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3]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5.5의 지진이 발생한 6월 19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4]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4.4의 지진이 발생한 11월 30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1] 중국지진국 분석. [2] USGS 분석. [1] [2] [5] 중국지진열도표 [6]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7] 75명 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