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6 12:20:27

199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역대 대학수학능력시험
1997 수능 1998 수능
(1997.11.19.)
1999 수능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가 우선 적용되는 문서입니다. 다른 문서들과 달리 개인적인 의견을 배제하여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서술로 바꾸실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현재 적용 안 됨.)

1. 개요2. 시험의 상세3. 난이도4. 둘러보기 틀

1. 개요

1997년 11월 19일 수요일에 실시되었다. 제5차 교육과정 세대의 마지막 수능이다. 대부분의 1979년생, 빠른 1980년생과 n수생이 응시했다.

쉬운 수능 시대를 여는 첫 시험이었다. 수능시험이 처음 도입된 94학년도부터 직전 시험인 97학년도까지가 "어려운 수능" 시대였다면, 98학년도부터 대폭 난이도가 쉬워졌고 01학년도까지 수능 난이도는 꾸준히 내려가게 된다. 97수능이 워낙 어려워서 비교된 탓에 물수능이라고 불리기도 했으나 이후의 난이도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어려운 편이라 2010년 이후에는 물수능이라고 하지 않는다.

전국 수석은 398.5점을 받은 서울과학고등학교 출신의 한상형 군[1][2]. 그외 최고점수를 차지한 부산 삼성여자고등학교 정은형 양이 차지했다. 처음엔 공개되지 않았다가 1년 뒤 뒤늦게 공개되었다.

2. 시험의 상세

교시 영역 계열 구분 문항 배점 시간(분)
1 언어 영역 공통 65 120 90
2 수리 · 탐구 영역(Ⅰ) 인문·예체능, 자연 30 80 100
3 수리 · 탐구 영역(Ⅱ) 사회탐구 영역 인문, 예체능 48 72 120
자연 32 48
과학탐구 영역 인문, 예체능 32 48
자연 48 72
4 외국어 영역 공통 55 80 80
합계 230 400 390
[3]

3. 난이도

전체 평균 점수는 221.8으로 199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비해 41.8점 상승한 수준이지만, 만점자는 없었다. 1년전 수능에 비해 모든 과목에서 난이도가 하향되었다.[4]

과목별로 언어영역(국어)은 평균 점수 120점 만점에 77.68점(100점 만점에 64.73점)이었으며 인문계는 원점수 114점 정도가 1.3퍼정도였다. 원점수 110점 이상이 인문계 16682명(4.05%), 자연계 13640명(3.75%)으로 평균이 이과가 근소하게 높았으나, 110점 이상의 상위권 기준으로 문과가 우세한 시험이었다. 이 당시 등급의 개념은 없었으나, 만약 평가원 식으로 등급을 매기면 문과,이과 모두 5개 틀리면 1등급에 들 수 있는 정도로 7차 이후 기준으로 어려운 수준을 선보였다. 7차 이후의 방식으로 계산시 표준점수 최고점이 139점으로 산출되고,원점수 120점 만점에 109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약 91점)까지 1등급이 나왔을 것이다.물론 5차 교육과정 기준으로는 꽤 쉬운 수준.

수리탐구Ⅰ(수학)은 100점 만점에 인문계 평균 35.69점, 자연계 평균 42.15점이었다. 원점수 80점 만점에 75점 이상이 인문계 3810명(0.92%), 자연계 4070명(1.12%)이었고 만점 비율 이과, 문과 각각 0.21%로 같게 나와 작년보다 쉬워졌다. 97수능은 75점 이상이 자연계는 100명 이하, 인문계는 10명 내외였다. 원점수 70점 이상은 인문계 8191명(1.98%), 자연계 9796명(2.69%)였다. 65점 이상 인문계 14325명(3.47%), 자연계 17646명(4.86%)이었다.7차 이후의 방식으로 계산시 인문계80점 만점에 64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80점), 자연계80점 만점에 65점(100점 만점에 81.25점)까지 1등급이 나왔을 것이다.인문계의 만점자 표준점수는 162점, 자연계의 만점자 표준점수는 156점이었다.

외국어영역은 80점 만점에 45.08점이 평균 점수였고,계열 통합으로 2352명의 만점자가 나왔다.원점수 75점 이상 인문계 17330명(4.20%), 자연계 16990명(4.68%)으로 쉬운 편이었다.7차 이후의 방식으로 계산시 원점수 80점 만점에 75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93.75점)까지 1등급이 나왔을 것이며,표준점수 최고점은 140점으로 산출된다.

수리탐구Ⅱ(사과탐)는 100점 이상이 인문계 12065명(2.93%), 자연계 13455명(3.70%)였다. 110점 이상이 인문계 1314명(0.319%), 자연계 1731명(0.47%)으로 역시 작년보단 쉬웠다. 작년은 110점 이상이 인문계 5명, 자연계 13명이었다. 6차 교육과정의 사탐, 과탐과는 교육과정이 달라 비교하기 어려우나 비교하자면 6차 교육과정의 시험보다 다소 어려운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탐구는 245명, 과학탐구는 99명,총 344명의 만점자가 등장했다.

전체적인 수준은 원점수 300점 이상이 110832명으로 '당시 기준' 사상 최대의 인원을 보였다. 원점수 350점 이상은 인문계 9200명대(2.2%정도), 자연계 9800명대(2.7%정도)였으며 360점 이상 인문계 5100명대(1.2%대), 자연계 5200명대(1.4%대), 370점 이상 2200명대(0.54%), 자연계 2100명대(0.58%), 380점 이상 인문계 600명 내외(0.14%), 자연계 500명 내외(0.12%)정도였다. 원점수 390점 이상은 인문계 33명, 자연계 30명뿐이었다. 사실 이 정도 수준은 6차 이후 시험에서는 어려운 편에 속한다. 단지 97수능이 너무 어려운 편이라 비교되어서... 그리고 전체적인 점수 분포가 상위권, 중상위권이 늘어나 항아리형 분포를 보였는데, 이는 97수능에 비하면 정상적인 분포를 보였다.[5]

한편 이 해부터 수시모집이 본격 시행되는데, 수시모집에서는 수능 성적을 그다지 많이 고려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예컨대 서울대학교의 경우 수시모집 예비 합격생은 수능 성적이 상위 10% 안에만 들면 최종 합격 통지서를 받을 수 있었다. 1997년 12월 2일에 서울대학교 사상 최초의 수시모집 예비 합격생 348명의 명단이 발표되었고 이 가운데 330명이 최종 합격을 하였다.
또한 이 수능이 치러지기 80여일 전에 EBS 위성방송 강의가 시작되기도 했다.

1998학년도 수능의 영역별 1등급 커트라인은 다음과 같다.
언어:109/120(90.83) (만점자 161명)
수리(인문):64/80(80) (만점자 898명)
수리(자연):65/80(81.25) (만점자 787명)
외국어:75/80(93.75) (만점자 2352명)

4.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2px"
역량
언어(言語)
수리(數理)
추론·자료해석
자격·지식
영역
<nopad> 한국사 <nopad> 제2​외국어​/한문
하위 문서
역사 · 등급 구분점수 · 문제점 및 해결 방안 · 논쟁 및 비판 · 기타 · 사건 사고 · 절대평가 전환 논란 · 학습 조언 · 시험장
기타
시간표 · 9등급제 · 모의평가 · 수능 샤프 · 필적 확인란 문구 · 물수능 · 불수능 · EBS 수능( 수능특강 · 수능완성)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1c1d1f><table bgcolor=#fff,#1c1d1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도입 이전 1994 1995 1996
▣ 1차 실험평가(1990년)
▣ 2, 3, 4차 실험평가(1991년)
▣ 5, 6, 7차 실험평가(1992년)
▣ 2회 시행
8. 20.(금), 11. 16.(화)
▣ 첫 수요일 수능
▣ 인문·자연·예체능 구분 도입
▣ 본고사 시행 마지막 해
1997 1998 1999 2000
▣ 수리 영역 주관식 도입
▣ 수능 만점 200점→400점
오나타 사건
▣ ( 수시 모집 첫 시행) ▣ 선택과목·표준점수 도입
▣ 첫 수능 만점자 배출
▣ 응시 인원 최다
2001 2002 2003 2004
▣ 제2외국어 영역 신설
▣ 전 과목 만점자 수 최다(66명)
▣ 듣기 방송 미디어 포맷이 EBS FM에서 카세트 테이프로 변경
▣ 성적표 등급 표기 첫 시행
▣ ‘수리 · 탐구 영역 ( I )’은 ‘수리 영역’으로 명칭 변경, ‘수리 · 탐구 영역 (II)’는 ‘사회탐구 영역’과 ‘과학탐구 영역’으로 분리
▣ (정시 라군 폐지)
▣ (특차 전형 폐지)
▣ ( 수시 제도 30% 확대)
▣ 9월 모의평가 도입( 2002년 9월 3일)
▣ 소수점 배점 반올림 성적표 지급 소송 사태 발생
▣ 6월 모의평가 도입( 2003년 6월 11일)
▣ 소수점 배점 전면 폐지, 정수 배점 전환
첫 복수 정답 인정
2005 2006 2007 2008
▣ 첫 예비평가 실시( 2003년 12월 4일)
▣ 수리 가형 선택 과목 도입
▣ 탐구 선택 과목 도입
▣ 직업 탐구 도입
▣ 제2외국어/한문 영역 명칭 변경
▣ 스페인어Ⅰ 명칭 변경
▣ 아랍어Ⅰ · 한문 도입
▣ 인문 · 자연 · 예체능 구분 폐지
대규모 휴대전화 부정행위 사건 발생
▣ 부산 APEC 정상회의로 인한 수능 1주일 연기
▣ 시험 시 전자기기 압수 의무화, 수능 샤프 일괄 제공, 필적확인란 문구 도입
▣ 시험일 수요일 → 목요일 변경 '수능 등급제' 시행 및 논란
2008학년도 수능 물리Ⅱ 복수정답 사태 논란
▣ ( 내신등급제 도입)
2009 2010 2011 2012
▣ 수능 등급제 폐지
▣ 표준점수 • 백분위 제도 환원
▣ 눈으로 미리 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문제지에 겉표지 도입
▣ 수능 연기 ( 신종플루)(정상 시행)
▣ (수시 1학기 모집 폐지)
▣ G20 정상회담으로 인해 수능 1주일 연기
▣ EBS 70% 연계 시행 (~2021)
▣ 듣기 방송 미디어 포맷이 카세트테이프에서 CD로 변경
▣ 필적확인란 문구 사전 유출 사고
▣ 중국산 수능 샤프 입찰 비리 논란
▣ (수시 공통 지원서 도입)
▣ '만점자 1%' 조정 정책 공표
▣ 채점 시 이미지 스캐너 도입
▣ 수리 영역 문제지 8면에서 12면으로 변경
▣ 탐구 선택과목 수 4 → 3과목으로 축소, 과학탐구Ⅱ 과목에 대한 최대 선택 수 제한 폐지
2013 2014 2015 2016
▣ '만점자 1%' 조정 정책 2년 실시 후 폐지
▣ (수시 모집 지원 6회 제한)
▣ 두 번째 예비평가 실시
언수외 국수영 명칭 변경
▣ 국어 · 수학 · 영어 A / B 형 체제 도입 및 언어 듣기 폐지
▣ 탐구 선택과목 수 3 → 2과목으로 축소
▣ 기초 베트남어 도입
▣ 한문 [math(\rightarrow)] 한문 I 으로 명칭 변경
수능 출제오류 관련 소송전 최초 발생
▣ 영어 A / B 형 체제 1년 실시 후 폐지
2017 2018 2019 2020
▣ 시험일 11월 셋째 주 목요일로 변경
▣ 스마트 워치 등 전자 시계 착용 금지
▣ 수능 모의평가 실물 정답지 미배부
▣ 국어 A / B형 체제 폐지
▣ 수학 A / B형 체제 폐지 및 가 · 나형 체제 환원
▣ 수학 영역 세트 문항 폐지
▣ 한국사 절대평가 전환 및 필수 영역화
▣ 기초 베트남어 [math(\rightarrow)] 베트남어Ⅰ으로 명칭 변경
수능 연기(지진)
▣ 영어 절대평가 전환
▣ 국어 영역 정오표 지급
▣ 국어 영역 난이도 조절 실패 사과
▣ 재수생 수능 성적표 사전 유출 파동
2021 2022 2023 2024
▣ 수능 연기 및 첫 12월 시행( 코로나19)
▣ 자연계 기하·벡터 제외
▣ 수능 개편 1년 유예
한국사 영역 2009개정교육과정 유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한국사 영역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윤석열 정부 수능 출제 방침 지시 관련 파문
2025 2026 2027 2028
(시행 미정)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 국어•수학•탐구 영역 선택과목 폐지
▣ 탐구 영역 통합사회, 통합과학 공통 응시 체제로 전환
▣ 심화수학[미적분2(미적분), 기하] 수능 출제 배제
▣제2외국어/한문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은 단일 시험지로 모든 수험생들이 응시
}}}}}}}}} ||



[1] 현재는 부산지검 검사 재직중으로, 서울대 산업공학과에 98학번으로 입학했으나 자퇴 후 다시 수능을 치러 서울대 법대에 00학번으로 재입학했다. [2] 수리탐구Ⅱ 영역에서 1.5점짜리 문제 하나를 틀리는 바람에 수능 사상 첫 만점자 타이틀을 다음 해 오승은 양에게 아쉽게 넘겨주었다. [3] 200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까지 이 포맷으로 유지되었다. [4] 사실 97학년도 수능은 본고사 폐지 영향 때문에 변별력을 가려내기 위해 수준을 올렸다는 분석이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 [5] 97학년도 수능은 상위권이 작고 중하위권이 많은 꽃병형 분포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