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한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零/ 〇( 영) | 一( 일) | 二( 이) | 三( 삼) | 四( 사) |
零 | 壹 | 貳 | 參 | 肆 | |
五( 오) | 六( 육) | 七( 칠) | 八( 팔) | 九( 구) | |
伍 | 陸 | 柒 | 捌 | 玖 | |
十( 십) | 廿( 이십) | 卅( 삼십) | 卌( 사십) | 百( 백) | |
拾 | 念 | - | - | 佰 | |
皕1( 이백) | 千( 천) | 萬( 만) | 億( 억) | 兆( 조) | |
- | 仟 | - | - | - | |
京( 경) | 垓( 해) | 秭( 자) | 穰( 양) | 溝( 구) | |
- | - | - | - | - | |
澗( 간) | 正( 정) | 載( 재) | 極( 극)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卅 서른 삽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十, 2획
|
총획수
|
<colbgcolor=#fff,#1f2023> 4획
|
||||
미배정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ソウ
|
||||||
일본어 훈독
|
みそ
|
||||||
-
|
|||||||
표준 중국어
|
sà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卅은 '서른 삽'이라는 한자로, 30을 뜻한다. 이체자는 丗(U+4E17), 이 있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34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J(廿十)로 입력한다.十(열 십) 세 개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일반적으로는 중국에서 쓰이며, 특히나 광둥어에서는 三十보다는 일반적으로 이 한자를 쓴다. 반면 한국에서는 1950년대 이후 잘 쓰이지 않는다. 한국에서는 숫자를 한자로 써도 그냥 삼십( 三十)이라고 두 글자로 쓰는 경우가 많다.[1]
일본에서는 비교적 사용 빈도가 있으나, 보통은 일본식 이체자로 丗를 쓰며, 卅은 오히려 州의 약자로 쓰이는 경우가 더 많다. 특히 기타큐슈시의 시민들이 州 대신 卅을 사용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고 하며, 교통 표지판 등에 쓰이는 경우도 있다. #
한국 문교부에서 이 글자를 정식으로 州의 약자로 쓰려고 한 적이 있으나 문교부 약자 시안 자체가 물거품이 되면서 실제로는 쓰이지 않았다.
설문해자에서는 부수였지만 속한 글자가 이 글자와 世(인간 세) 이렇게 두 개 뿐이어서 강희자전에서 부수를 정리하면서 없어지고 열 십( 十)부에 편입되었다.
잘 쓰이지도 않는 한자인지라, 이래저래 오해를 사기 쉬운 한자이기도 하다. 필기체로 적으면 州(고을 주)와 혼동될 수 있는데[2], 특히 기계로 OCR 처리한다면 더더욱 그렇다. 얼핏 봐도 川(내 천)에 취소선 하나가 그어진 형태(
해당 사진.
卅 川
왼쪽이 진짜 卅, 오른쪽이 川에 취소선이 그어진 것이다.3. 용례
- 丗日 (30일)
- 丗壱日 (31일)
- 丗五年 (35년)
3.1. 지명
3.2. 캐릭터 이름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단, 한국에서도
부여 쌍북리 출토 목간에서는 이 한자가 적혀 있다. 六: 卅六(6×6=36)
[2]
실제로 州의 약자로 卅을 쓰기도 한다. 卅 자체가 사용 빈도가 워낙 낮기 때문에, 오히려 원래의 의미로 썼는데도 州의 약자를 쓴 것으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