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15:54:13

𠆣에서 넘어옴
적을 과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1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4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すく-ない, やもめ
-
표준 중국어
guǎ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적을 과(寡). '적다', '과부'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적다
중국어 표준어 guǎ
광동어 gwaa2
객가어 kóa
민북어 guǎ
민동어 guā
민남어 kóa
오어 kua (T2)[文] / ko (T2)[白]
일본어 음독
훈독 すく-ない, やもめ
베트남어 quả

유니코드에는 U+5BE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MCH(十一金竹)로 입력한다.

금문에서부터 등장하는 오래된 한자로, 옛 자형은 여러 가지 다양한 변형이 있지만 대략 집을 뜻하는 (집 면) 자와 무엇을 바라보는 형상의 (볼 견) 자가 합쳐진 회의자로 분석된다. 집안에서 없어진 배우자를 바라본다는 뜻으로, 원 뜻은 배우자를 잃고 홀로 사는 사람을 뜻한다. 과부(寡婦)는 이 원 뜻이 그대로 남은 것. 시라카와 시즈카는 금문 자형 중 유난히 見 부분이 역동적으로 표시된 글자를 두고 '먼저 죽은 남편을 생각하여 사당에서 울부짖는 아내'로 묘사했다. 그러나 금문에서 부분이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바뀌다 보니 소전에서는 宀 아래에 頁과 分이 차례로 놓인 형태로 변형되었다. #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이를 +으로 분석하고 인신의에 해당하는 '적다'에 맞추어 '나누어 주니 적다'로 해석했는데, 금문의 형태를 살피면 이는 착오로 보인다. 소수설로 황덕관(黃德寬)이 제시한 (집 면)이 뜻을 나타내고 (돌아볼 고)가 소리를 나타내는 형성자라는 설이 있다.[3]

이 글자가 '적다'라는 뜻으로 쓰일 때는 (많을 다) 자와 반의어 관계에 있다. 이 관계로는 (적을 소) 자보다는 적게 쓰이지만 그래도 다과(多寡)라는 말이 있듯이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임금이 자신을 부르는 말인 과인(寡人)에서도 쓰인다. 접두어 oligo-가 들어가는 영어를 번역할 때에도 가끔 쓰인다(한둘은 아니지만 많지는 않다는 뜻으로). 예를 들어 올리고당을 과당류(寡糖類)라고 하는 식[4].

과부라는 뜻으로도 쓰이는데, 자원에서도 설명했지만 원래의 의미는 이쪽이다.

많을 과(), 지날 과()[5]와 의미는 상반되나 한국어로 읽으면 같은 발음이라 의미의 혼동이 올 수 있으니 유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너무 많다'라는 뜻의 과다(過多)라는 말 탓에 과작 다작과 비슷한 뜻이라고 혼동한다던가. (실제로는 정반대의 뜻)

이체자로 𠆣(⿱一人)가 있다. 한글 낱자 닮은꼴 문자인 이 형태는 '홀로'라는 뜻을 강조하기 위해 (한 일) 밑에 (사람 인)을 붙인 형태로, 寡의 이간자로 채택되었다가 폐기되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4. 유의자

5. 상대자

  • (많을 과)
  • (많을 다)
  • (무리 중)
  • (물고기 이름/홀아비 환)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文] 문독 [白] 백독 [3] 黃德寬 <關於古代漢字字際關係的確定>, 《中國文字硏究》 第4輯 (南寧, 廣西敎育出版社, 2003), 276-277 쪽. 李蘇和⋅金俊秀 〈里耶秦簡의 發掘과 그 漢字學的 價値에 관한 小考〉, 《中國文學硏究》 제65집 267-292 쪽에서 재인용. [4] 한국과 일본에서는 과당(果糖)과 동음이의어 관계이므로 혼동할 수 있다. 그래서 寡 대신 少를 쓴 소당류(少糖類)가 많이 쓰인다. 중화권에서는 둘의 발음이 다르기 때문에 果糖, 寡糖 둘 다 쓴다. [5] 해당 한자는 '(양이)지나치다, (분수에)넘치다'라는 의미도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