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14:21:34

휴우가급 헬기구축함

휴가급에서 넘어옴
파일:일본 국기.svg 현대의 일본 해상자위대 함선 파일:해상자위대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b76e79,#914852>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잠수함
(SS)
<colbgcolor=#fff,#191919> 쿠로시오R, 오야시오R, 하야시오급R, 나츠시오급R, 오오시오R,
아사시오급R, 우즈시오급R, 유우시오급R, 하루시오급R, 오야시오급, 소류급, 타이게이급
경비정
(PC)
유리급R, PT9R
구잠정
(PC)
카리급R, 카모메급R, 하야부사급R, 우미타카급R, 미즈토리급R
미사일 고속정
(PG)
1호형 미사일정R, 하야부사급
초계프리깃
(PF)
쿠스급R
다목적 프리깃
(FFM)
모가미급, { 신형 FFM}
호위구축함
(DE)
아사히급R, 아케보노R, 이카즈치급R, 와카바IJN/R, 이스즈급R, 치쿠고급R, 이시카리R, 유우바리급R, 아부쿠마급
구축함 구축함
(DD)
아사카제급R, 하루카제급R, 아야나미급R, 무라사메급R, 아리아케급R, 아키즈키급R, 야마구모급R, 타카츠키급R, 미네구모급R, 2,500톤급, 하츠유키급R, 아사기리급, 무라사메급, 타카나미급, 아키즈키급, 아사히급, { 13DDX}
방공구축함
(DDG)
아마츠카제R, 타치카제급R, 하타카제급R, 공고급, 아타고급, 마야급, {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헬기구축함
(DDH)
하루나급R, 시라네급R, 휴우가급
다용도 운용모함
(DDH)
이즈모급
상륙정 1001호형R, 2001호형R, 3001호형R, 수송정 1호형, LCAC 1호형
상륙함 오오스미급(초대)R, 아츠미급R, 유라급R, 미우라급R, 오오스미급(2대), 니혼바레급G 요코급G
기뢰전함 소해모함 나사미R, 미호R, 하야토모R, 하야세R, 우라가급
소해함 하츠시마급 R, 우와지마급R, 스가시마급, 히라시마급, 에노시마급, 야에야마급, 아와지급
소해정 야시마급R, 우지시마급R, 아타다급R, 야시로R, 카사도급R, 타카미급R, 소해정 1호형R
소해관제정 후쿠에R, 니이지마급R, 이에시마급
구조함 치하야(초대)R, 후시미R, 치하야(2대), 치요다R, 치요다(2대)
군수지원함 보급함 사가미R, 토와다급, 마슈급
급유함 하마나R
연료수송함 YOT-1급
잠수함모함 수중처분모선 1호형
다용도 지원함 81호형R, 히우치급, {다목적 초계함정}
정보수집함 해양측정함 아카시R, 후타미R, 스마R, 와카사, 니치난, 쇼난
음향측정함 히비키급
쇄빙함 시라세(초대)R, 시라세(2대), 후지R
시험함 구리하마R, 아스카, { 타이게이}
특무정 유우치도리R, 하야부사R, 히요도리R, 하시다테
훈련함 연습함
(TV)
카토리R, 야마구모급T/R, 미네구모급T/R, 야마기리급T, 카시마, 시마유키급T/R, 하타카제급T
훈련지원함
(ATS)
쿠로베, 텐류
연습잠수함
(TSS)
유우시오급T/R, 아사시오T/R, 하야시오급T/R, 오야시오급T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취소선: 계획만 되었거나, 취소된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IJN: 일본 제국해군(Imperial Japan Navy)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윗첨자G: 육상자위대 소속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국기.svg 자위대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RScDxY2r.jpg
파일:yJhZEOYr.jpg
ひゅうが型護衛艦

1. 개요2. 제원3. 상세4. 기타5. 관련 문서6. 상품화7. 동형함 목록

[clearfix]

1. 개요

일본 해상자위대 헬리콥터 모함.

함명의 유래는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해군 이세급 전함처럼 동일한 명칭부여법, 즉 현재 미야자키현의 예전 지명인 휴우가국(日向国)에서 따온 것이다.[1]

해상자위대는 휴우가급 헬기구축함 2척에 이어 이즈모급 다용도 운용모함 2척을 건조해 노후화된 헬리콥터 탑재 구축함(DDH)인 시라네급 헬기구축함 하루나급 헬기구축함 4척을 전부 교체하였다.

2. 제원

휴우가급 호위함
ひゅうが型護衛艦
기준배수량 13,950톤
만재배수량 19,000톤
전장 197m
전폭 33m
흘수 7m
동력 방식 COGAG
기관 제너럴 일렉트릭 LM2500-30 가스터빈 4기
속도 30노트[2]
승조원 휴우가 360명
이세 371명
전투 지휘 시스템 OYQ-51 MTA
OYQ-10 CDS
레이더 FCS-3 C밴드 AESA 레이더
OPS-20C 항해용 레이더
소나 OQQ-21 소나
대응 장비 디코이 Mk.137 디코이 발사기 6기
4형 예인식 어뢰 기만 장비 2기
ESM/ECM NOLQ-3C ESM/ECM
무장 대공 Mk.41 VLS 16셀
ESSM 32발
대잠 RUR-5 ASROC 8발
3연장 324mm 어뢰 발사관 2문
CIWS Mk.15 팰렁스 Block 1B 2문
기타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7정
탑재 항공기 SH-60K 3대: 12인승
MCH-101 1대: 30인승
최대 탑재량 11대
운용현황 2척 배치

3. 상세

2018년도 림팩 훈련에 참가한 휴우가급 2번함 이세의 영상

원래 1번함 휴우가는 가장 낡은 헬기구축함이던 마이즈루의 하루나급 헬기구축함 1번함 하루나를 대체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휴우가급 진수와 거의 동시기에 제1호위대군 제1호위대의 기함, 시라네의 전투정보실이 화재로 소실되면서 시라네가 퇴역하는 사태가 벌어진다. 이 때문에 휴우가는 시라네를 대체하는 쪽으로 1차 계획이 수립된다.

하지만 시라네는 비교적 새 배[3]였고, 이미 취역 40년을 바라보는 낡은 배인 하루나를 한시라도 빨리 대체해야 했다. 그래서 일단 가장 낡은 헬기호위함인 하루나를 퇴역시키고, 퇴역하는 하루나의 CIC를 시라네에 이식해서 시라네를 부활시키며, 퇴역하는 하루나의 자리에 시라네를 보내고 원래 시라네의 위치에 휴우가를 넣게 되었다.

휴우가의 헬기 갑판에는 헬기 스팟이 4군데 있어 동시에 4대가 이착함할 수 있으며[4], 정비실이 딸린 격납고에는 7대 이상 최대 11대까지 격납이 가능하다. 또한 MH-53E 소해핼기와 같은 대형 헬기의 이착함/격납/정비도 가능하며, 엘리베이터는 항공기용과 탄약/물자용이 각각 2기 장비되어 있다. 탑재헬기는 SH-60K[5], MCH-101[6]이 있다.

참고로 일본 해상 자위대는 SH-3헬기를 대체하기 위하여 1985년부터 103대의 SH-60J형을 생산했으며 이 정도 숫자의 대잠헬기를 생산, 보유한 국가는 미국 다음으로 추정될 정도다. 특히 대잠 작전을 전담하기 위해 척당 다수의 헬기를 보유하는 항모형 구축함은 세계적으로도 드문 편인데, 그만큼 일본 해자대가 대잠 작전을 얼마나 강조하는지를 보여준다.[7]

탑재되는 센서로는 사격지휘장치 3형, 일명 FCS-3改 다기능 레이더, OQQ-21 소나 시스템, OPS-20改 대수상 레이더가 있는데, 이것은 모두 해상자위대 호위함에는 처음 탑재되는 것이다. 같은 레이더를 탑재한 구축함으로는 아키즈키급이 있다.

OQQ-21 소나는 길이 50m로 대단히 거대한 크기를 자랑하며 함수 말고도 측면에도 소나 센서가 배열되어 있다. 2015년부터 해당 소나에 멀티스태틱 능력이 추가되었는데[8] 역시 멀티스태틱 방식의 소나가 탑재된 아키즈키급과 그 개량형인 아사히급과 함께 작전할 경우 대잠능력이 배로 증강될 전망이다.

FCS-3改는 대공수색, 목표추적, 복수 목표에 대한 동시 대처 능력이 있는 다기능 레이더로 원래 무라사메급이나 다카나미급에 장착될 예정이었으나 성능미비로 인해 도입이 지연되다 결국 휴우가급에 처음 탑재되었다. OPS-20改는 ECCM 기능이 강화된 대수상/항법 레이더로서 휴우가급 이외에도 각종 호위함과 보급함, 훈련함, 잠수함 등에도 탑재된 바 있다.

파일:Hyuga-class-DDH-004.jpg

휴우가에 탑재되는 주요 무기로는 Mk41 VLS(수직발사관) 16셀에서 발사하는 ESSM[9] 아스록 SUM, 20mm 팰렁스 블록 1B 2문, 3연장 경 어뢰발사관 2기가 있으며 이외에 12.7mm 단장 기관총의 총좌도 구비되어 있다.[10]

휴우가급은 기본적으로는 경항공모함의 개념이므로 자체적인 대수상 전투능력은 강하지 않지만[11] 탑재하는 SH-60K의 헬파이어 미사일로 수상함정을 공격할 수 있고, 동급 함정이 단독작전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별 문제는 되지 않는다. 하지만 뛰어난 소나의 성능과 대잠병기를( 아스록, 대잠 헬기, 어뢰) 꽉꽉 채워넣어 대잠 전투능력은 자위대에서도 최고라고 할 레벨이다. 이는 휴우가급이 해상자위대 최초의 본격적인 헬리콥터 모함이었지만 헬기구축함인 하루나급 헬기구축함 시라네급 헬기구축함의 컨셉을 부분적으로 이어 받아 대잠전 능력을 중심으로 어느 정도 자체적인 전투능력을 갖추는 등 과도기적인 면모도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였는데, 때문에 그런 자체적인 전투능력 자체가 빠져 완전하게 헬리콥터 모함으로서 특화된 것은 후속인 이즈모급 다용도 운용모함의 시점에서부터가 되었다. 정리하자면 하루나급→시라네급→휴우가급→이즈모급 순으로 이어진 테크 트리를 거쳤다 할 수 있다.

해상자위대에서는 이 함정을 대규모 재난대처/국제긴급원조, PKO 활동 참가, 중요해역의 시 컨트롤, 도서 방위, 시 레인 방위 등에 사용할 예정이다. 취역 이후 2년도 되지 않아 터진 도호쿠 대지진에서 구조대, 물자 수송 등을 하며 구호함대 기함으로 활약했고 2013년에는 제 30호 태풍 하이옌에 강타 당한 필리핀에도 파견하며 쏠쏠하게 써먹고 있으며, 육상자위대 수륙기동단( 해병대) 창설에 따라 AH-64D, CH-47J, MV-22를 탑재, 상륙작전을 지원하는 훈련도 진행하는 등 다목적함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공식은 아니지만 미일 합동훈련중 갑판에 내열처리가 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12] 경항공모함으로서의 운용도 염두에 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즈모급의 항모개장이 확정된 이후에는 이즈모급의 F-35운용능력을 극대화시키위해 헬기전력만을 전문적으로 운영할 것으로 보인다. 이즈모급의 도입이 후유가급의 본래의 헬리콥터모함으로서의 역할에 더 충실해지는 결과가 되었다.

파일:external/jto.s3.amazonaws.com/nn20130616a8a.jpg
휴우가함에 착함, 내부 탑재 훈련을 진행하는 V-22 오스프리

4. 기타

휴우가급의 초기 디자인은 현재의 전갑판형이 아닌 아래와 같이 항공갑판을 함교가 양분하는 초창기 항공모함 #을 연상케하는 모습이었다. 정확하게는 세계 최초의 항공모함 퓨리어스 제 2형태와 똑같다. 이세급 전함 2번함 휴가의 이름도 휴우가급과 같은 유래를 가지고 있고, 퓨리어스 제 1형태가 가졌던 전방 평갑판 + 함교 + 후방 주포탑을 뒤집어서 전방 주포탑과 후방 평갑판을 가졌던 게 이세급 항공전함임을 감안하면 묘한 일이다.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06ae1d9b.png

파일:external/image2.sina.com.cn/U1335P27T1D448523F3DT20070607103328.jpg

파일:external/www.geocities.jp/nddha.jpg

파일:attachment/1395485995265.jpg

1번함인 휴우가가 건조될 당시 개발 협력사였던 록히드 마틴에서 자위대에 그림을 한장 그려서 선물했는데, 2차 대전 당시 일본군의 전함인 이세급 전함에서 이름을 따온다는 말에 당연히 1번함의 이름이 이세가 될 줄 알고 그림을 그렸다는 모양이다. 한마디로 저 그림의 뒤쪽에 그려져있는 전함은 휴우가가 아니라 이세. 현재 이 그림은 휴우가의 함내에 걸려있으며, 이후 이세가 건조될 때도 록히드 마틴에서 그림을 선물했다는 모양.

한국 밀리터리 소설가 윤민혁은 휴우가급 개발과정에서 해상자위대 내부의 암투에 관한 일화가 있었다고 이야기한 적이 있다( 아카이브). 항공병과의 입김이 세지는 것을 막으려는 의도에서 함재기 운용에 방해가 되는 위치에 무장을 장비하도록 다른 병과에서 압력을 넣었다는 이야기. 하지만 윤민혁이 언급한 이 일화는 다른 여러 자위대에 대한 낭설처럼 출처나 근거가 따위는 없기 때문에 곧이곧대로 읽다가는 ' 나무위키 꺼라'라는 핀잔을 들을 수 있다. 애초에 휴우가급의 VLS가 항공갑판에 위치해있기는 하지만 맨뒤 구석쪽에 위치해 있어 헬기 운용 시 큰 문제가 될 소지가 되지는 않는다. 이것은 독도함의 골키퍼 논란과 비슷하다고 보고 넘기면 되는 것이지 이것을 항공병과 입김 세지는 걸 막으려고 고의로 함재기 운용에 방해되는 위치에 배치했다는 것은 아무런 근거가 없는 낭설이다.[13] 하루나급 헬기구축함과 관련해서도 이런 비슷한 낭설이 존재하는데, 이쪽의 경우에는 한국 밀덕계에서 전통적으로 유포되어 왔던 역사가 깊은 낭설로 윤민혁만이 아니라 한국의 수많은 밀덕후들과 군사 전문가들이 사실인 것으로 잘못 알고서 유포해 왔었다.
파일:해자대 한국 링스.jpg 파일:해자대 한국 링스 2.jpg
2020년 9월 12일 한국, 미국, 일본, 호주 4개국 공동 해상 훈련인 Pacific Vanguard 20에서 한국 해군 링스헬기가 일본의 해상자위대 휴우가급 헬기모함 2번함인 이세함에 착륙하였다.

5. 관련 문서

6. 상품화

파일:attachment/AOSHIMAHYUGA.jpg * 아오시마에서 1/700 워터라인 스케일로 프라모델을 출시되었다. 그런데 박스아트에 화염에 휩싸여 침몰하는 인민해방군 해군 랴오닝급 항공모함을 지나쳐가는 휴우가급이 그려졌고 설명서에도 타국과의 분쟁을 언급해서 논란이 되었다.2번함 이세도 만들었는데, 특이하게도 F-35 해리어가 들어있다(...).
  • PITROAD에서도 1/700 스케일로 출시되었다. 아오시마보다 이쪽이 더 먼저 나왔다.
파일:external/www.fujimimokei.com/4968728600116-thumb-460xauto-6230.jpg * 2014년에는 후지미에서 1/350 스케일로 출시했다.

7. 동형함 목록

해상자위대
함번 함명 건조사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소속 상태
1 DDH-181 휴우가 (ひゅうが) IHI 마린 유나이티드 2006년 5월 30일 2007년 8월 23일 2009년 3월 18일 제3호위대군 제3호위대 현역
2 DDH-182 이세 (いせ) 2008년 5월 30일 2009년 8월 21일 2011년 3월 16일 제2호위대군 제2호위대 현역

[1] 참고로 이세급 전함 항공전함이라는 괴악한 개장을 했다. 전함인 주제에 22척의 함재기를 실을 수 있었으나 착함은 수상기빼고 고정익 함재기는 착함할 수 없었기 때문에 운용하기 힘들었다. 또 다른 함명의 어원이 된 이세국은 13개 대국 중 하나였으며 휴우가국은 11개 중국 중 하나였다. [2] 호위함과 같이 다니는 기함이기 때문에 통상동력형 평갑판함 치고는 빠르다. [3] 함령 30년이었지만 내구연한상 10년은 더 뽕을 뽑아먹을 수 있었다. [4] 그러나 스팟이 다른 나라의 동급함에 비해 여유를 두고 띄엄띄엄 그려져 있는데다 공간이 남아돌기 때문에 유사시에는 더 많은 헬기들이 동원될 수 있다. [5] SH-60 시호크의 독자 개량형, 대잠헬기 [6] AW-101의 소해용 모델 [7] 한국 해군의 경우 휴우가급과 동급 규모인 독도함도 이론상으로는 대잠 헬기항모 운용이 가능하지만, 현재 20여대인 링스 등의 대잠 헬기는 대부분 구축함, 호위함급 수상함들의 몫이어서 독도함에 상시 배치될 수량은 없다시피 하다. 당장 본업인 상륙헬기도 아직 생산이 안되어, 훈련때마다 해군이나 육군의 기존 수송 헬기를 임시 동원하는걸로 만족해야 하는 상황이니. [8] http://www.njss.info/offers/view/2902008/ [9] Mk41 VLS 한 셀마다 4기가 수납되는 발전형 시스패로우. [10] 이와 달리 독도함은 상륙작전을 중요시한 LPH인 까닭에 무장이 빈약하다. [11] 탑재 어뢰로 대함 공격을 할 수 있으며 VLS에 대함공격이 가능한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다. [12] V-22 오스프리가 별도의 내열판을 깔지 않고 그냥 맨 갑판에서 이륙하는 장면이 포착됐다. V-22의 운용을 위해서는 내열판을 필요로 하고 있기에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향후의 개량이 필요한 오오스미급의 비행갑판과는 달리, 휴우가급의 비행갑판에는 처음부터 내열처리가 되어 있다는 증거. [13] 원래 윤민혁이 이런 류의 구라를 실제인양 잘 푸는 편이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