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훈음이 같은 한자들의 목록. 훈음의 가나다 순으로 배치한다.2. 다를 타
他, 它자세한 내용은 他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它 문서 참고하십시오.
'다를 타'로서는 본디 위의 他와 같은 자이나, 현대 중국에서는 他와 용례를 달리해서 쓴다.
3. 다만 지
只, 秪자세한 내용은 只 문서 참고하십시오.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3급에 배정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秪 문서 참고하십시오.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에 배정되어 있지 않다. '시작할 지'라고도 한다.
4. 다섯 오
五, 伍자세한 내용은 五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伍 문서 참고하십시오.
위 한자의 갖은자다.
5. 다스릴 리
理, 釐, 厘자세한 내용은 理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釐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厘 문서 참고하십시오.
6. 달릴 취
趣, 驟자세한 내용은 趣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驟 문서 참고하십시오.
7. 당나귀 려
驢, 䮫자세한 내용은 驢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䮫 문서 참고하십시오.
8. 대 대
臺, 台, 隊자세한 내용은 臺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台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隊 문서 참고하십시오.
9. 덮을 멱
冖, 冪, 幎자세한 내용은 冖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冪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幎 문서 참고하십시오.
10. 도깨비불 린
燐, 粦자세한 내용은 燐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粦 문서 참고하십시오.
11. 도울 보
輔, 補자세한 내용은 輔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補 문서 참고하십시오.
12. 도울 비
毘, 裨자세한 내용은 毘 문서 참고하십시오.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2급에 배정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裨 문서 참고하십시오.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1급에 배정되어 있다.
13. 도울 우
佑, 祐자세한 내용은 佑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祐 문서 참고하십시오.
14. 도타울 돈
敦, 惇자세한 내용은 敦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惇 문서 참고하십시오.
15. 돈대 대
臺, 坮자세한 내용은 臺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坮 문서 참고하십시오.
16. 돌 순
巡, 循자세한 내용은 巡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循 문서 참고하십시오.
16.1. 구별법
자세한 내용은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문서의
巡循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어느 정도 동자로 취급될 때도 있으나 여러 용례에서 의미의 차이가 발견된다.
17. 돌 회
回, 廻자세한 내용은 回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廻 문서 참고하십시오.
18. 돌이킬 반
反, 返자세한 내용은 反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返 문서 참고하십시오.
19. 동산 원
園, 菀자세한 내용은 園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菀 문서 참고하십시오.
20. 두 이
20.1. 二
자세한 내용은 二 문서 참고하십시오.20.2. 貳
자세한 내용은 貳 문서 참고하십시오.위 二의 갖은자다.
21. 두드릴 고
21.1. 敲
자세한 내용은 敲 문서 참고하십시오.21.2. 叩
자세한 내용은 叩 문서 참고하십시오.22. 두려워할 구
22.1. 懼
자세한 내용은 懼 문서 참고하십시오.22.2. 惧
자세한 내용은 惧 문서 참고하십시오.23. 두려워할 섭
23.1. 懾
자세한 내용은 懾 문서 참고하십시오.23.2. 讋
자세한 내용은 讋 문서 참고하십시오.24. 둘 치
24.1. 置
자세한 내용은 置 문서 참고하십시오.24.2. 植
자세한 내용은 植 문서 참고하십시오.25. 둘레 곽
25.1. 郭
자세한 내용은 郭 문서 참고하십시오.25.2. 廓
자세한 내용은 廓 문서 참고하십시오.26. 둥글 원
26.1. 圓
자세한 내용은 圓 문서 참고하십시오.26.2. 圜
자세한 내용은 圜 문서 참고하십시오.27. 드렁허리 선
27.1. 鱣
자세한 내용은 鱣 문서 참고하십시오.27.2. 鱓
자세한 내용은 鱓 문서 참고하십시오.28. 들보 량
28.1. 梁
자세한 내용은 梁 문서 참고하십시오.28.2. 樑
자세한 내용은 樑 문서 참고하십시오.28.3. 구별법
다음은 한국어문회에서 제시한 해설이다.Q: 梁(들보 량)과 樑(들보 량)의 차이점은 뭐에요..?
A: 들보의 뜻으로는 같이 씁니다. 그러나 보통 梁을 주로 쓰며, 사전에 표제자로는 梁만 쓰일 수도 있습니다.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247(저기요.. 몇가지만 더 물어볼께요..;;), 2004-04-21
A: 들보의 뜻으로는 같이 씁니다. 그러나 보통 梁을 주로 쓰며, 사전에 표제자로는 梁만 쓰일 수도 있습니다.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247(저기요.. 몇가지만 더 물어볼께요..;;), 2004-04-21
29. 뜻 지
29.1. 志
자세한 내용은 志 문서 참고하십시오.29.2. 旨
자세한 내용은 旨 문서 참고하십시오.29.3. 구별법
두 한자에 대하여 한국어문회는 다음과 같은 해설을 제시한 바 있다.용례를 살펴보면 대체로 "하고자 하는 무엇 또는 지향하는 목표가 있는 마음" 속의 뜻(의지나 결심)은 志로, "주장이나 생각이 담고 있는 본래의 의도나 취지"라는 뜻은 旨가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本志(본지) ; 무엇을 하려는 본래의 생각. 본래 마음이 향하는 바.
本旨(본지) ; 생각에 담긴 본래의 뜻. 생각 속에 담긴 근본이 되는 취지.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10259(志, 旨의 차이), 2018-10-25
本志(본지) ; 무엇을 하려는 본래의 생각. 본래 마음이 향하는 바.
本旨(본지) ; 생각에 담긴 본래의 뜻. 생각 속에 담긴 근본이 되는 취지.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10259(志, 旨의 차이), 2018-10-25
遺旨는 "죽은 사람이 살면서 품었던 생각"을 遺志는 "죽은 사람이 살아서 이루지 못하고 남긴 뜻"으로 달리 써야 합니다. 예를 들어 문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달리 쓰입니다.
"잘난 체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그분의 遺旨였다."
"전 재산을 사회로 환원하겠다는 것이 그분의 遺志였다."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10039(질문드립니다.), 2017-08-04
"잘난 체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그분의 遺旨였다."
"전 재산을 사회로 환원하겠다는 것이 그분의 遺志였다."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10039(질문드립니다.), 2017-08-04
志와 旨: 旨는 趣旨(취지, 어떤 일의 근본이 되는 목적이나 긴요한 뜻)나 敎旨(교지, 교육의 취지/임금의 명령)를 나타내는 데에 주로 쓰입니다. 그 외에 "뜻 지"로는 대체로 志를 쓰시면 됩니다.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2020(음과훈이 똑같은 한자들에 대해서..), 2005-07-08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2020(음과훈이 똑같은 한자들에 대해서..), 200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