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7:32:25

호세 로카

호세 로카의 감독직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파일: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28대
}}} ||
파일:José Roca.jpg
이름 호세 안토니오 로카 가르시아
(José Antonio Roca García)
생년월일 1928년 5월 24일
사망년월일 2007년 5월 4일 (향년 78세)
국적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출신지 멕시코 시티
포지션 풀백
신체조건 173cm
소속팀 아스투리아스 FC (1947-1950)
클루브 네카사 (1950-1954)
아틀레티코 사파테펙 (1954-1963)
아틀란테 FC (1963-1969)
국가대표 6경기 (1950-1952)
감독 클루브 아메리카 (1970-1975)
산이시드로 라구나 (1975-1976)
아틀레티코 에스파뇰 FC (1976-1978)
멕시코 대표팀 (1977-1978)
CD 탐피코 (1978-1979)
클루브 아메리카 (1979-1981)
아틀라스 FC (198-1982)
데포르티보 톨루카 FC (1982-1984)
클루브 네카사 (1984-1985)
아틀란테 FC (1985-1987)
앙헬레스 데푸에블라 (1987-1988)



1. 개요2. 생애
2.1. 선수 생활2.2. 감독2.3. 이후
3. 수상
3.1. 선수
3.1.1. 클럽
3.2. 감독
3.2.1. 클럽3.2.2. 국가대표
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멕시코의 전 축구 감독.

2. 생애[1]

2.1. 선수 생활

2.1.1. 클럽

로카는 1947년, 아스투리아스 FC에서 데뷔하고 3년 후에 클루브 네카사로 이적했다.

로카는 1954년에 아틀레티코 사파테펙과 계약을 체결했고 사파테펙에서 9시즌간 각각 2차례의 리가 MX 코파 MX 우승을 경험했다.

로카는 1969년에 아틀란테 FC에서 은퇴했다.

2.1.2. 국가대표

로카는 1950년 월드컵 본선 무대에서 멕시코 대표팀에 데뷔했다. 그는 멕시코의 3경기에 모두 출전했지만 멕시코는 3전 전패로 깔끔하게 탈락했다.

이후에도 로카는 2번의 FIFA 월드컵( 1954, 1958)에 더 참가했지만 더 이상의 출전 기회는 없었고 멕시코도 1958년 월드컵 웨일스전 무승부를 제외하면 전패를 기록했다.

2.2. 감독

선수에서 은퇴한 로카는 잠시 행정직을 맡다가 1970년에 클루브 아메리카의 감독직에 취임했다. 로카는 감독 데뷔 시즌에 팀을 리가 MX 우승으로 이끌었고 1973-74 코파 MX에서도 우승을 경험했다.

1975년, 로카는 산이시드로 라구나를 거쳐 아틀레티코 에스파뇰 FC의 감독이 되었다. 그리고 이때 로카는 멕시코 대표팀의 감독직도 겸임해서 멕시코를 1977년 CONCACAF 선수권에서 우승시켰고 1978년 월드컵도 치러냈다.

1978년에 로카는 CD 탐피코의 감독이 되었고 첫 시즌은 잘 마무리했다. 그러나 1979-80 시즌에 탐피코는 최악의 부진에 빠졌고 로카는 성적 부진에 책임을 지고 탐피코를 떠났다.

로카는 이후 클루브 아메리카의 감독을 다시 맡았지만 이때에는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고 여러 클럽을 돌아다니다 앙헬레스 데푸에블라를 끝으로 더 이상 감독 생활을 하지 않았다.

2.3. 이후

로카는 1997년부터 2005년까지 몬테레이 공과대학교에서 축구 프로그램 디렉터를 맡았지만 뇌졸중으로 축구계를 영원히 떠나게 되었다.

3. 수상

3.1. 선수

3.1.1. 클럽

  • 리가 MX 우승 2회: 1954-55, 1957-58( 아틀레티코 사파테펙)
  • 코파 MX 우승 2회: 1956-57, 1958-59(아틀레티코 사파테펙)
  • 캄페온 데캄페오네스 우승 1회: 1958(아틀레티코 사파테펙)
  • 코파 MX 준우승 1회: 1957-58(아틀레티코 사파테펙)
  • 리가 데 엑스판시온 MX 우승 1회: 1962-63(아틀레티코 사파테펙)

3.2. 감독

3.2.1. 클럽

3.2.2. 국가대표

4. 둘러보기

{{{#!wiki style="color:white;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bgcolor=#7BAFDE,black> 1조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세자르 루이스
메노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엔초
베아르초트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미셸
이달고


파일:헝가리 국기.svg
버로티
러요시


2조 파일:독일 국기.svg
헬무트
파일:폴란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야체크
그모흐
파일:튀니지 국기.svg
압델마지드
체탈리
파일:멕시코 국기.svg
호세
로카
3조 파일:브라질 국기.svg
클라우디우
쿠티뉴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헬무트
제네코비치
파일:스페인 국기(1977-1981).svg
쿠발라
라슬로
파일:스웨덴 국기.svg
예오리
에릭손
4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에른스트
하펠

파일:페루 국기.svg
마르코스
칼데론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앨리
매클라우드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헤쉬마트
모하제라니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 1934 1938 1950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



[1] 출처: 위키피디아, 11v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