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ff><colbgcolor=#808080> 함경선 咸鏡線 | Hamgyeong Line |
|
노선 정보 | |
분류 | 본선철도 |
기점 | 원산역 |
종점 | 상삼봉역 |
역 수 | 95개 |
개업 | 1915년 8월[1] |
소유 | 조선총독부 철도국 |
운영 | 조선총독부 철도국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664.0 ㎞ |
궤간 | 1,435 ㎜ |
선로구성 | 단선 |
[Clearfix]
1. 개요
일제강점기 당시 개통되었던 옛 철도노선.중국과 소련 국경에 대한 군사적 행동 및 북부의 풍부한 수산·수력·지하을 개발할 목적, 그리고 길림·간도 지방과의 빠른 연계를 목적으로 부설되었다.
노선이 함경도 일대에 걸쳐져있다 보니 노선 인근 지역의 인구가 적었고, 출어기에는 지금의 남한 지역에서 인력을 모집해다 충원하였다고 한다.
남북분단 이후 전 구간이 북한 치하에 들어가면서 구간별로 세 개의 노선으로 갈라지면서 각자의 노선으로 통폐합되었다.
2. 역사
2.1. 원산-회령(조선총독부 철도국)
- 1914년 10월 1일: 원산 - 문천 구간 착공
- 1915년 8월 1일: 원산 - 문천 구간 개통
- 1916년 7월 21일: 문천 - 고원 - 영흥 구간 개통 및 청진 - 창평 구간이 착공.
- 1916년 11월 5일: 청진 - 창평 구간 개통
- 1917년 7월 31일: 함경선의 경영권이 기존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남만주철도로 이관 및 만철경성관리국 설치
- 1917년 9월 16일: 창평 - 풍산 구간 연장 개통
- 1917년 11월 26일: 풍산 - 회령 구간 연장
- 1919년 12월 10일: 나남 - 수성 구간 개통[2]
- 1919년 12월 15일: 영흥 - 함흥 구간 개통
- 1920년 11월 11일: 나남 - 주을 구간 개통
- 1922년 12월 1일: 함흥 - 서호진 구간 개통
- 1923년 9월 25일: 서호진 - 퇴조 구간 개통
- 1924년 10월 11일 퇴조 - 양화, 주을 - 봉강, 단천 - 길주 구간 개통
- 1925년 4월 1일: 함경선의 운영권이 남만주철도에서 조선총독부 철도국으로 환원
- 1925년 11월 1일: 양화 - 속후 구간 개통 및 석막역 개업
- 1926년 11월 11일: 속후 - 신북청 구간 및 봉강 - 극동 구간 연장 개통
- 1927년 6월 10일: 극동 - 용동 구간 개통
- 1927년 12월 1일: 길주 - 용동 및 군선 - 단천 구간 개통
- 1927년 12월 1일: 신북청 - 반송, 군선 - 단천, 길주 - 용동 구간 개통
- 1927년 12월 21일: 문봉역 개업
- 1928년 8월 31일: 반송역 폐지[3]
- 1928년 9월 1일: 거산 - 군선 구간 개통으로 함경선의 전 구간 개통
- 동시에 기존 함경선의 원산 - 청진 구간은 함경본선, 청진 - 회령 구간은 청진선으로 분할.[4]
- 1929년 6월 15일: 상룡전역 개업
- 1930년 4월 1일: 영업거리 단위를 마일에서 킬로미터로 변경[5]
- 1931년 6월 15일: 만춘역 개업[6]
- 1931년 9월 10일: 영안역 개업
- 1931년 12월 26일: 흥남본정역 개업
- 1935년 5월 1일: 범포역 개업
- 1935년 11월 1일: 용평역이 어대진역으로 역명 개칭[7]
- 1937년 1월 1일: 송단역이 이원역으로 역명 개칭[8]
- 1937년 5월 16일: 원산역 방향으로 1.9㎞ 방향으로 의호역 이전.[9]
- 1937년 8월 1일: 의호역이 강상리역으로 개칭.[10]
- 1939년 8월 16일: 학중역 개업[11]
- 1939년 9월 16일: 현흥, 마전역 개업[12]
- 1940년 9월 30일: 흥남본정역 폐지[13]
- 1941년 4월 16일: 신성진역 개업[14]
- 1941년 12월 1일: 나남 - 청진 사이에 청진조차장 우회선로 개통, 강덕역에서 청진조차장까지의 기존 선로는 함경선에서 분리되어 강덕선이라는 지선으로 분리됨.[15]
- 1942년 2월 16일: 대덕역 개업[16]
- 1945년 2월 1일: 중호역 개업[17]
2.2. 회령-상삼봉(도문철도주식회사→조선총독부 철도국)
- 1920년 1월 5일: 도문철도주식회사 설립 및 도문철도 회령 - 상삼봉 구간 개통
- 1922년 12월 1일: 도문철도 상삼봉 - 종성 구간 연장
- 1924년 12월 1일: 도문철도 종성 - 동관진 연장 개통
- 1929년: 조선총독부 철도국 주도로 웅기 - 남양 - 동관에 이르는 동도문선 착공
- 1933년 8월 1일: 동도문선 개통 및 회령 - 웅기 구간의 노선 일대를 도문선으로 재분류
- 1929년 4월 1일: 도문철도주식회사가 국유화되면서 본선인 회령 - 동관 구간이 서도문선으로 재분류
- 1933년 10월 1일 청진 - 웅기 구간 전체가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남만주철도로 이관
- 1934년 11월 1일: 남양국경선과 도문선의 웅기 - 남양 구간을 합병하여 북선동부선, 남양 - 상삼봉 구간은 북선서부선으로 분류.
- 1936년에는 신징 - 나진 간 아사히 급행열차 개통
- 1940년 청진 - 상삼봉 구간의 운영권이 남만주철도에서 조선총독부 철도국으로 환원 및 청진 - 상삼봉 구간이 다시 함경선으로 재분류[18]
태평양 전쟁이 끝나고 소련-일본 전쟁이 발발하고 만주 전략 공세 작전이 개시되면서 함경선의 열차 운행은 모두 중단되었고 전쟁 과정에서 파괴된 선로들은 소련과 북조선인민위원회와의 관계가 긴장된 터라 복구가 더뎠다.
2.3. 북한 치하
광복 이후 남북이 북위38선 기준으로 분단되면서 북조선인민위원회는 소련군정 치하의 모든 철도를 국유화했고, 1948년 북한 정권이 건국되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이 출범한다.6.25 전쟁의 휴전협정이 체결된 이후 북한은 기존의 간선철도들을 재분류하기 시작했고, 여기에 함경선 분할 및 재분류도 포함되어 있었다.
- 청진 - 회령 - 삼봉 구간은 옛 북선서부선의 삼봉 - 남양 구간과 옛 북선동부선의 남양 - 웅기 구간과 웅라선의 웅기 - 나진 구간 전체를 통합하여 함북선으로 재분류하였다, 여기서 북선동부선의 남양 - 도문 간의 국경이 분리되어 남양국경선이 되었다.
- 고원 - 금야(옛 영흥) - 청진 구간이 평원선 전 구간과 청라선[19]과 연계되어 평라선으로 재분류되었다.
- 나머지 고원 - 원산 구간은 옛 경원선 이북 구간과 연계하여 강원선으로 재분류되었다.
3. 역 목록
행정구역은 1945년 7월 기준기점거리 | 역명 | 분기선 | 소재지 | ||
0.0 | 원 산 | 元 山 | 경원선 | 함경남도 원산부 | |
5.5 | 덕 원 | 德 源 | 함경남도 문천군 | 덕원면 | |
12.6 | 문 평 | 文 坪 | 북성면 | ||
20.0 | 문 천 | 文 川 | 조선무연탄주식회사철도 | 문천면 | |
29.9 | 용 담 | 龍 潭 | 천내리선 | 천내읍 | |
34.5 | 전 탄 | 箭 灘 | 함경남도 고원군 | 상산면 | |
42.0 | 고 원 | 高 原 | 평원선 | 고원읍 | |
47.0 | 현 흥 | 玄 興 | 군내면 | ||
54.4 | 영 흥 | 永 興 | 함경남도 영흥군 | 영흥읍 | |
62.8 | 마 장 | 馬 場 | 덕흥면 | ||
70.1 | 범 포 | 范 浦 | 인흥면 | ||
77.7 | 왕 장 | 旺 場 | |||
82.5 | 문 봉 | 文 峰 | 함경남도 정평군 | 문산면 | |
87.0 | 신 상 | 文 峰 | 신상면 | ||
93.8 | 부 평 | 富 坪 | 광덕면 | ||
103.5 | 정 평 | 定 平 | 정평면 | ||
111.7 | 함남흥상 | 咸南興上 | 함경남도 함주군 | 주지면 | |
123.9 | 함 흥 | 咸 興 |
함남선 남흥선 |
함경남도 함흥부 | |
132.7 | 본 궁 | 本 宮 | 함경남도 흥남부 | ||
139.3 | 흥 남 | 興 南 | |||
141.9 | 서호진 | 西湖津 | 남흥선 | ||
146.4 | 마 전 | 麻 田 | |||
156.1 | 여 호 | 呂ㅤ湖 | 함경남도 함주군 | 퇴조면 | |
160.3 | 퇴 조 | 退ㅤ潮 | |||
165.6 | 세포리 | 細浦里 | 함경남도 홍원군 | 보청면 | |
173.4 | 삼 호 | 三ㅤ湖 | 삼호면 | ||
181.5 | 용 운 | 龍ㅤ雲 | 홍원읍 | ||
186.5 | 전 진 | 前ㅤ津 | |||
192.5 | 경 포 | 景ㅤ浦 | 경운면 | ||
199.9 | 운 포 | 雲ㅤ浦 | |||
205.8 | 영 무 | 靈ㅤ武 | 용원면 | ||
212.3 | 신 포 | 新ㅤ浦 | 함경남도 북청군 | 신포읍 | |
218.3 | 양 화 | 陽ㅤ化 | 양화면 | ||
225.4 | 강상리 | 江上里 | 속후면 | ||
232.4 | 속 후 | 俗ㅤ厚 | |||
241.3 | 신북청 | 新北靑 | 덕성선 | 신북청면 | |
246.7 | 신 창 | 新ㅤ昌 | 신창읍 | ||
254.9 | 거 산 | 居ㅤ山 | 거산면 | ||
260.0 | 건 자 | 乾ㅤ自 | |||
263.8 | 나 흥 | 羅ㅤ興 | 철산선 | 함경남도 이원군 | 남송면 |
267.1 | 증 산 | 曾ㅤ山 | 차호선 | ||
273.9 | 염 분 | 鹽ㅤ盆 | |||
277.3 | 이 원 | 利ㅤ原 | |||
281.0 | 군 선 | 群ㅤ仙 | 동면 | ||
286.4 | 쌍 암 | 雙ㅤ巖 | |||
291.4 | 곡 구 | 谷ㅤ口 | |||
296.3 | 기 암 | 奇ㅤ巖 | 함경남도 단천군 | 복귀면 | |
302.2 | 용 강 | 龍ㅤ崗 | |||
307.8 | 오몽리 | 五夢里 | |||
312.5 | 단 천 | 端ㅤ川 | 단풍선 | 단천읍 | |
321.1 | 여해진 | 汝海津 | 용양선 | 이중면 | |
328.3 | 용ㅤ대 | 龍ㅤ臺 | 함경북도 학성군 | 학남면 | |
335.1 | 일ㅤ신 | 日ㅤ新 | |||
342.8 | 만ㅤ춘 | 晩 春 | |||
348.5 | 쌍ㅤ룡 | 雙 龍 | 함경남도 성진부 | ||
354.9 | 성ㅤ진 | 城 津 | |||
361.2 | 신성진 | 新城津 | |||
363.9 | 농 성 | 農ㅤ城 | 함경북도 학성군 | 학상면 | |
368.3 | 학ㅤ중 | 鶴 中 | 학중면 | ||
375.7 | 업ㅤ억 | 業ㅤ億 | 학서면 | ||
381.6 | 원ㅤ평 | 院 坪 | |||
389.6 | 노ㅤ동 | 蘆ㅤ洞 | 함경북도 길주군 | 덕산면 | |
397.2 | 길ㅤ주 | 吉 州 | 혜산선 | 길주읍 | |
404.8 | 금ㅤ송 | 金ㅤ松 | |||
408.8 | 온수평 | 溫水坪 | |||
414.9 | 고ㅤ참 | 古ㅤ站 | 함경북도 명천군 | 아간면 | |
423.6 | 내ㅤ포 | 內ㅤ浦 | |||
428.1 | 명ㅤ천 | 明ㅤ川 | 상우북면 | ||
432.1 | 상룡전 | 上龍田 | 하우면 | ||
436.6 | 용ㅤ동 | 龍ㅤ洞 | 서면 | ||
441.4 | 영ㅤ안 | 永ㅤ安 | |||
444.7 | 극ㅤ동 | 極ㅤ洞 | 동면 | ||
451.2 | 조막산 | 造幕山 | |||
462.0 | 봉ㅤ강 | 鳳ㅤ岡 | 함경북도 경성군 | 어랑면 | |
470.8 | 어대진 | 漁大津 | |||
480.1 | 회ㅤ문 | 會ㅤ文 | 주북면 | ||
489.7 | 용 현 | 龍ㅤ峴 | 주을읍 | ||
496.9 | 주 을 | 朱ㅤ乙 | |||
501.5 | 생기령 | 生氣嶺 | |||
509.6 | 경 성 | 鏡ㅤ城 | 경성면 | ||
517.9 | 나 남 | 羅ㅤ南 | 강덕선 | 함경북도 청진부 | |
525.9 | 청진서항 | 淸津西港 | |||
528.3 | 청진어항 | 淸津漁港 | |||
531.0 | 청 진 | 淸ㅤ津 | |||
538.8 | 수 성 | 輸ㅤ城 | 강덕선 | ||
544.4 | 석 막 | 石ㅤ幕 | 함경북도 부령군 | 석막면 | |
552.2 | 장 흥 | 章ㅤ興 | |||
566.7 | 부 령 | 富ㅤ寧 | 부령읍 | ||
573.0 | 고무산 | 古茂山 | 무산선 | 서상면 | |
585.5 | 창 평 | 蒼 坪 | |||
592.8 | 전거리 | 全巨里 | 함경북도 회령군 | 창두면 | |
598.9 | 풍 산 | 豊 山 | |||
610.5 | 중 도 | 中 島 | 대덕면 | ||
623.6 | 대 덕 | 大 德 | |||
624.5 | 회 령 | 會 寧 | 회령탄광선 | 회령읍 | |
627.3 | 금 생 | 金 生 | 팔을면 | ||
633.0 | 고령진 | 高嶺鎭 | 화풍면 | ||
638.4 | 신학포 | 新鶴浦 | 세천선 | ||
641.3 | 학 포 | 鶴 浦 | 함경북도 종성군 | 남산면 | |
650.7 | 신 전 | 新 田 | |||
657.1 | 간 평 | 間 坪 | |||
664.0 | 상삼봉 | 上三峰 |
북선서부선 차오카이 철로 |
3.1. 폐역
<rowcolor=#ffffff> 이전역 | 역명 | 다음역 | 개업일 | 폐지일 | 비고 | |
본 궁 | 흥남본정 | 興南本町 | 흥 남 | 1931.12.26. | 1940.9.30. | |
운 포 | 중 호 | 中ㅤ湖 | 풍 어 | 1945.2.1. | 불명 | |
거 산 | 반 송 | 盤 松 | 건 자 | 1927.12.1. | 1928.8.31. | |
회 령 | 신회령 | 新會寧 | 금 생 | 1920.1.5. | 1932.11.1. |
4. 참고자료
[1]
첫 영업개시 날짜(원산 - 문천 구간)
[2]
여기서 일부 구간은 1940년도에 강덕선으로 이설
[3]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486호, 1928년 8월 10일.
[4]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486호, 1928년 8월 10일.
[5]
조선총독부 고시 제70호, 조선총독부관보 제943호.
[6]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319호. 1931년 6월 1일.
[7]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2631호, 1935년 10월 19일.
[8]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2980호, 1936년 12월 18일.
[9]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095호, 1937년 5월 13일.
[10]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3142호, 1937년 7월 7일.
[11]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3769호, 1939년 8월 12일.
[12]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3788호, 1939년 9월 4일.
[13]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4082호, 1940년 8월 18일.
[14]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4261호, 1941년 4월 9일.
[15]
이로 인해
청진서항역에서 강덕역까지 2.4 ㎞가 연결되어 나남역에서 후진할 필요 없이 청진조차장으로 들어올 수 있게 됐으며, 청진 - 창평 간 거리표가 수정되어 청진 -
수성 간 노선이 9.0 ㎞에서 7.8 ㎞로 단축되었다.
[16]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4508호, 1942년 2월 7일자.
[17]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5394호, 1945년 1월 31일자.
[18]
다만 남만주철도는 북선동·서부선(웅기 - 상삼봉)을 계속 관리하였고 결국 북선선의 운영권을 완전히 획득하였다.
[19]
청진 - 라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