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16:56:51

함경남도지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황해 평북 평남 함북 함남
기덕영
이세웅
정경조
지성호
손양영
광역자치단체 시·도지사 일람 }}}}}}}}}


파일: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svg
함경남도지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강기덕
제2대
이윤식
제3대
한보용
제4대
서남용
제5대
이신득
제6대
이상선
제7대
이재석
제8대
고황
제9대
김태서
제10대
전창선
제11대
전용진
제12대
류준형
제13대
유재만
제14대
김기형
제15대
김청
제16대
한원택
제17대
황덕호
제18대
김덕순
제19대
한정길
제20대
이진규
제21대
손양영
}}}}}}}}} ||

<colcolor=#ffffff> 파일: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함경남도지사
咸鏡南道知事
Governor of Hamgyeongnam-do Province
파일:손양영.jpg
현직 <colbgcolor=#ffffff,#1f2023>손양영 (孫良永) / 제21대 (관선)
내정(임명) 2023년 7월 28일
취임일 2023년 8월 31일

1. 개요2. 함경남도 지사 목록3. 대한민국 명예 함경남도지사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이북5도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 2017.07.26.] [법률 제14839호, 2017.07.26., 타법개정]
제3조(도청의 임시 위치) 이북5도의 임시 사무소는 해당 관할지구가 수복될 때까지 서울특별시에 둔다.
[전문개정 2010.03.12.]
제5조(도지사)
① 이북5도에 도지사를 둔다.
② 제1항의 도지사는 행정안전부장관의 제청으로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되 정무직으로 한다.<개정 2013.03.23., 2014.11.19., 2017.07.26.>
③ 미수복 시ㆍ군에 관한 제4조 각 호의 사무는 제1항의 도지사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도지사가 관장한다.<신설 2015.05.18.>
[전문개정 2010.03.12.]
함경남도지사는 함경남도를 대표하고 행정사무를 처리하는 이북5도 정무직 공무원이다.

일반적인 광역자치단체장 도지사와 다르게 이북5도 대한민국의 행정권에 미치지 못한다. 이에 따라서 함경남도 함흥시 중앙동1가에 있어야 할 도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구기동에 있으며, 여기서 대신 업무를 본다. 행정안전부 장관의 제청으로, 대한민국 대통령이 직접 임명한다. 즉, 민선직이 아니라 관선직이다.

2. 함경남도 지사 목록

2.1. 일제강점기

# 호적 이름 임기 비고
장관 조선인 신응희(申應熙) 1910년 10월 1일 \~ 1918년 9월 23일 함경남도 장관
1 조선인 이규완(李圭完) 1918년 9월 23일 \~ 1924년 12월 1일 함경남도 장관으로 임명, 1919년 8월부터 함경남도지사
2 조선인 김관현(金寛鉉) [1] 1924년 12월 1일 \~ 1926년 8월 14일
3 내지인 나카노 다사부로(中野 太三郎) 1926년 8월 14일 \~ 1929년 1월 21일
4 내지인 마노 세이이치(馬野 精一) 1929년 1월 21일 \~ 1929년 12월 11일
5 내지인 마쓰이 후사지로(松井 房治郎) 1929년 12월 11일 \~ 1930년 11월 12일
6 내지인 세키미즈 다케시(関水 武) 1930년 11월 12일 \~ 1933년 8월 4일
7 내지인 하기와라 히코조(萩原 彦三) 1933년 8월 4일 \~ 1935년 2월 4일
8 내지인 유노무라 다쓰지로(湯村 辰二郎) 1935년 2월 4일 \~ 1936년 10월 16일
9 내지인 사사가와 교자부로(笹川 恭三郎) 1936년 10월 16일 \~ 1940년 9월 2일
10 내지인 신가이 하지메(新貝 肇)[2] 1940년 9월 2일 \~ 1941년 5월 31일
11 내지인 단게 이쿠타로(丹下 郁太郎) 1941년 5월 31일 \~ 1942년 4월 7일
12 내지인 세토 미치카즈(瀬戸 道一) 1942년 4월 7일 \~ 1943년 12월 1일
13 내지인 야규 시게오(柳生 繁雄) 1943년 12월 1일 \~ 1945년 2월 14일
14 내지인 기시 유이치(岸 勇一)[3] 1945년 2월 14일 \~ 1945년 8월 15일 8.15 광복

3. 대한민국 명예 함경남도지사

납북 된 지사: 초대 강기덕 지사. 1951년 6.25 전쟁
※ 최고령 지사: (18대) 김덕순 지사. 약(略) 73세
※ 최연소 지사: (7대) 이재석 지사. 약(略) 50세
※ 최장기 지사: (5대) 이신득 지사. 근(近) 12년
※ 최단기 지사: (초대) 강기덕 지사. 근(近) 2년 납북
※ 최장수 지사: (제2대) 이윤식 지사. 근(近) 103세 2005년
※ 최단명 지사: (제7대) 이재석 지사. 향년 62세
※ 現생존 지사: 고 황, 김태서, 전용진, 류준형, 유재만, 김 청, 한원택, 황덕호, 김덕순, 한정길, 이진규, 손양영 2025년
취임식 기준 연령 (세는 나이)
- 63세. 제1대. 康基德(강기덕) 지사 임명 및 취임 (1949)
- 51세. 제2대. 李允植(이윤식) 지사 임명 및 취임 (1959)
- 62세. 제3대. 韓寶容(한보용) 지사 임명 및 취임 (1962)
- 57세. 제4대. 敍南龍(서남용) 지사 임명 및 취임 (1965)
- 56세. 제5대. 李辛得(이신득) 지사 임명 및 취임 (1967)
- 59세. 제6대. 李相鮮(이상선) 지사 임명 및 취임 (1979)
- 50세. 제7대. 李載錫(이재석) 지사 임명 및 취임 (1981)
- 56세. 제8대. 高 煌(고 황) 지사 임명 및 취임 (1988)
- 61세. 제9대. 金泰瑞(김태서) 지사 임명 및 취임 (1990)
- 60세. 제10대. 全昌善(전창선) 지사 임명 및 취임 (1993)
- 54세. 제11대. 全容鎭(전용진) 지사 임명 및 취임 (1995)
- 67세. 제12대. 柳俊馨(류준형) 지사 임명 및 취임 (1997)
- 68세. 제13대. 劉在萬(유재만) 지사 임명 및 취임 (1999)
- 72세. 제14대. 金基亨(김기형) 지사 임명 및 취임 (2003)
- 69세. 제15대. 金 淸(김 청) 지사 임명 및 취임 (2006)
- 67세. 제16대. 韓元澤(한원택) 지사 임명 및 취임 (2008)
- 67세. 제17대. 黃德浩(황덕호) 지사 임명 및 취임 (2011)
- 73세. 제18대. 金德淳(김덕순) 지사 임명 및 취임 (2014)
- 72세. 제19대. 韓錠吉(한정길) 지사 임명 및 취임 (2018)
- 69세. 제20대. 李鎭奎(이진규) 지사 임명 및 취임 (2021)
- 73세. 제21대. 孫良永(손양영) 지사 임명 및 취임 (2023)
<rowcolor=#fff> 대수 성명 [4] 재임기간 [5] 출신 시•군 [6] 비고
1 강기덕(康基德)[7] 1949년 2월 15일~1951년 7월 덕원군 초대 건국대학교 이사장[8], 제2대 함경남도 중앙도민회장, 동북동지회 최고위원
전호엽(全浩燁)[9] 1951.06.17~195X.00 북청군 제3대, 4대 함경남도 중앙도민회장, [10]
2 이윤식(李允植)[11] 1959년 11월 24일~1961년 10월 단천군 연세대[12] 졸업, 중앙병원 원장]
3 한보용(韓普容)[13] 1962년 4월 30일~1965년 4월 북청군 대구 부윤
4 서남용(敍南龍)[14] 1965년 8월 10일~1967년 1월 7일 원산시 이북5도위원회 위원장(겸직) 역임(1966), 함경남도 행정자문위원(1974~76, 1978~80)
5 이신득(李辛得)[15] 1967년 4월 1일~1979년 4월 갑산군 체신부 우정국장
6 이상선(李相鮮)[16] 1979년 4월~1981년 3월 함흥시 제11대 국회의원
문교부 대학교육과장
7 이재석(李載錫)[17] 1981년 4월 9일~1988년 6월 북청군 관선 경상남도 마산시장
8 고황(高煌)[18] 1988년 7월 1일~1990년 4월 북청군 제6대 함경북도지사
관선 경기도 송탄시장
9 김태서(金泰瑞)[19] 1990년 4월 10일~1993년 3월 안변군 감사원 감사위원, 남북적십자회담 자문위원
10 전창선(全昌善)[20] 1993년 3월 22일~1995년 9월 혜산군 관선 경기도 부천시장
11 전용진(全容鎭)[21] 1995년 9월 19일~1997년 9월 19일 사직 흥남시 내무부 비상계획관
12 류준형(柳俊馨)[22] 1997년 9월 26일~1999년 7월 함흥시 육군 예비역 소장, 함경남도 중앙도민회 부회장[23]
13 유재만(劉在萬)[24] 1999년 7월 12일~2003년 5월 함흥시 보병 제35사단장, 국방부 동원예비군국장, 한국동력자원 연구소 감사, 함경남도 중앙도민회 부회장[25]
14 김기형(金基亨)[26] 2003년 5월 1일~2006년 6월 21일 민선2기 경기도 의정부시장
15 김 청(金 淸)[27] 2006년 6월 23일~2008년 7월 원산시 (주)청원이화학 회장
16 한원택(韓元澤)[28] 2008년 7월 7일~2011년 12월 5일 함흥시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17 황덕호(黃德浩)[29] 2011년 12월 13일~2014년 11월 30일 흥남시 (사)흥남철수작전기념사업회 회장, 송호대학교 학장, ROTC/대한민국 기독장교연합회 초대 회장[30], 이북5도위원회 위원장(겸직)
18 김덕순(金德淳)[31] 2014년 12월 10일~2018년 2월 함흥시 한국청소년육성회 총재, 경기지방경찰청장
19 한정길(韓錠吉)[32] 2018년 2월 26일~2021년 4월 함흥시 과학기술부 차관, 국무총리 정무수석비서관, 공정거래위원회 상임위원
20 이진규(李鎭奎)[33] 2021년 4월 17일~2023년 8월 30일 북청군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수, 이북5도위원회 위원장(겸직) 역임
21 손양영(孫良永)[34] 2023년 8월 31일~ 현직 북청군 김치1호, (사)흥남철수작전기념사업회 부회장, 함경남도 행정자문위원, (사)일천만이산가족위원회 고문, [35]

4. 관련 문서


[1] 일본식: 金光副臣 가네아키 소오미, 1876년 3월 3일 "조선인사흥신록"에는 1877년생으로, "조선공로자명감"에는 1880년생으로 기록되어 있다. ~ 1948년 12월 24일, 대한제국의 무관 출신으로 일제강점기의 관료이다. 그의 생애는 경기도 또는 충청남도 연산군 출신으로 1894년 일본 유학생으로 뽑혀 게이오의숙에서 수학하였으며, 1898년 일본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보병 장교로 교육을 받았다. 노백린, 어담, 윤치성 등과 함께 1900년 일본육사 제11기생으로 졸업했다. 육군 보병 참위로 임관한 뒤, 육군 도야마 학교에서 수학하던 중 만주로 발령을 받아 보병 정위로 러일 전쟁에 참전하여 공을 세우고 일제로부터 종군기장과 전공금 1천5백 원을 받았다. 일본은 그를 귀국시켰고 1905년 유길준 등과 함께 역모혐의를 받았으나 곧 풀려났다. 석방 후 대한제국 군대의 장교로 일하고, 내부의 참서관과 서기관, 광제원장, 내부 회계국장, 위생과장, 남양군 군수 등의 행정 관료직을 거쳤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어 조선총독부가 행정권을 장악하자 경기도 수원군 군수에 임명되었고, 이후 도 참여관과 지사를 지내며 친일 관료로서 활동했다. 1917년 함경남도 참여관을 시작으로 전라남도 참여관(1918), 충청남도 지사(1921), 함경남도 지사(1924)를 역임했다. 1926년 퇴관과 동시에 중추원의 칙임참의가 되었다. 1924년 일본 정부로부터 훈3등 서보장을 서훈 받는 등 공로를 인정 받았고, 1934년부터는 조선총독부 중추원의 참의직에 앉았다. 그는 1926년 관직에서 물러났는데, 이후로는 토지의 개량을 통한 산미 증식을 추진하는 조선토지개량주식회사 고문으로 근무했고, 1937년에는 중추원에서 조직한 화북장병위문대에 가담하여 장직상 등과 함께 중국 전선의 일본군 위문을 다녀오기도 했다. 그 뒤 1945년까지 여러차례 참의직을 중임하였다. 총독부가 1935년 편찬한 "조선공로자명감"에 일제의 통치에 공을 세운 조선인 353명 중 한 명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항상 대국(大局)을 달관하여 일본과 조선의 융화 공영에 진력한 바가 두터웠으며, 그의 공(功)과 노고는 다대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라는 평가가 실려 있다.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광복회와 함께 선정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모두 포함되었으며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2] 1896년 7월 ~ 1980년 1월 9일, 일본의 조선총독부 관료이다. 오이타현 출신이다. 1922년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 정치과를 졸업하였고, 같은 해 조선으로 건너왔다. 1923년 조선총독부 체신사무관에 임명되었고, 1929년 체신국 서무과장, 경리과장을 역임하여 1932년 황해도 경찰부장, 1934년 강원도 내부무장에 임명되었다. 1937년에 전라남도지사로 취임했고, 1940년부터 1941년까지 함경남도지사를 역임했다. [3] 1900년 2월 7일 ~ 1978년 12월 4일, 일본 쇼와 시대 전기 조선총독부의 관료, 함경남도 지사, 덴리 대학의 학장이다. [4] 출생 및 몰년 [5] 취임식 기준 [6] 실향민 2세, 3세 [7] 1886.05.04~1956.07.19 [8] 6.25 전쟁 납북되었다. [9] 1902.00.00~19XX.00.00, 향년 세 [10] 현직 중앙도민회장(으로 납북된 강기덕 지사의 후임으로 임명됨 [11] 1903.00.00~2005.06.15 [12] 舊 세브란스의과대학교 [13] 1900.00.00~1965.05.04, 향년 65세 [14] 1908.00.00~1991.01.13, 향년 83세 [15] 1911.09.21~1992.04.26, 향년 81세 [16] 1920.04.07~1990.09.13, 향년 70세 [17] 1931.00.00~1993.12.25, 향년 62세 [18] 1932.00.00~ [19] 1929.00.00~ [20] 1933.00.00~1999.04.09, 향년 66세 [21] 1941.00.00~ [22] 1930.00.00~ [23] 전임 도지사 일신상의 이유로 사표를 수리 후 도지사로 영전 [24] 1931.00.00~ [25] 도지사로 영전 [26] 1931.01.07~2024.12.15, 향년 94세 [27] 1937.00.00~ [28] 1941.01.18~ [29] 1944.00.00~ [30] 부친 독립운동가 故황하운 선생(1990년 애족장 추서)의 아들, 2022년 10월 창립한 광복회 구리시지회 초대회장, 경기도 광복회 지부장, 광복회 중앙회 고문 [31] 1941.00.00~ [32] 1946.00.00~ [33] 1952.07.28~ [34] 1950.12.25~ [35] 대통령, 국무총리 표창,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