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22:53:28

한수진(바이올리니스트)

<colbgcolor=#000><colcolor=#fff> 한수진
Soojin Han
파일:hansujin_violinist.png
출생 1986년 7월 22일 ([age(1986-07-22)]세)
부모 아버지 한태준[1]
어머니 허지은
종교 개신교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Purcell School
University of Oxford
Royal College of Music
Kronberg Academy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약력3. 기타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바이올리니스트.

피아니스트 손열음,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 신지아, 김다미, 김봄소리와 함께 국내 80년대생 클래식 음악인을 대표한다.

안드라스 쉬프, 기돈 크레머, 유리 바쉬메트, 프란스 헬머슨 등과 실내악을 연주하였고 런던 심포니, 포즈난 필하모닉, 도쿄 필하모닉, 서울시향, KBS, 국립심포니, 심포니 송, 솔로이스트 챔버 오케스트라, L' Ensemble Ricercata de Paris와 같은 오케스트라와 함께 협연하였고 국내외 주요 공연장인 런던 콘서트 홀, Concertgebouw Amsterdam, Suntory Hall, Operacity 및 Bunkamura Orchard Hall, 도쿄, 오사카 심포니 홀 및 예술의전당, 세종문화회관 등지에서 콘서트를 가졌다.

국내에서도 외교부 문화외교 자문위원, 부산국제클래식음악제 수석 예술 부감독, 사랑의 바이올린 홍보대사, 제주 프랑스영화제 홍보대사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2. 약력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2세 때 아버지가 영국으로 유학을 가게 되어 어릴 때 영국으로 이주하였다. 맨섬에 살다 몇년 후 런던으로 이주했는데, 어릴 때 어머니가 연주하는 바이올린을 듣고 호기심에 시작하였으나 힘들어서 포기하고 5세 때 피아노를 시작했다. 하지만 8세 되던 해 잠깐 한국에 와서 외할머니가 또래 아이들 연주에 칭찬하는 모습에 용기를 얻어 바이올린을 시작한다.

시작한지 8개월만에 예후디 메뉴인(Yehudi Menuhin) 음악학교 오디션에 합격 하였으나 너무 어린 나이에 기숙 생활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2]

11세 때 집에서 통학 가능한 퍼셀 스쿨(Purcell School)로 전학하였고, 12세 때 영국 런던의 유서깊은 실내 연주회장 위그모어 홀에서 독주를 하였다.

15세 때 비에니아프스키 국제 콩쿠르에 최연소 참가하여 한국인 최초 2위를 수상했다.[3][4] 부상으로 활, 2점의 그림, 음악평론가상, 폴란드 국영방송 청취자상 등, 총 7개의 상을 받았다.[5][6]

성인이 되어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음악학(musicology)[7] 을 수료하고 휴학을 했는데, 영국 런던 왕립음악대학(Royal College of Music)에서 석사과정 제안을 받아 학교를 옮겼다. 이후 크론베르크 아카데미( 독일) 국제 솔로연주자 과정을 졸업하였다.

2024년 4월 워너뮤직에서 첫 음반이 발매될 예정이다.[8]

3. 기타

  • 태어날때부터 왼쪽 귀가 잘 들리지 않는다고 한다.[9]
  • 어릴때 선생님이 느긋한 성격이었으며 많은 연습량을 고집하는 스타일이 아니었다고 한다. 스스로도 연습시간이 3~4시간 이상 넘어가면 오히려 연주가 잘되지 않고 근육들이 말을 안듣는 기분이 들때가 많았다고 한다. 장성한 후에도 연습시간에 너무 연연하지 않는편이며, 대신 연습하는 시간동안에 얼마나 집중하는지와 연주 이후 분석에 더 중점을 둔다고 한다.
  • 콩쿨 준우승 이후, 우연히 콩쿨실황 녹음본을 들어본 정경화가 깜짝 놀라서 컨택을 해놨다고 한다. 그래서 한동안 뉴욕에서 여러 가르침을 받았다고 한다. 이 인연으로 나중에 정경화가 쓰던 바이올린 활도 선물로 받았다고 한다.

  • 상기의 인연으로 15세때 정경화가 정명훈 앞에서 연주할 기회를 줬는데, 연주를 들어본 지휘자 정명훈으로부터 ‘하늘에서 내린 재능’ 이라고 극찬을 했다. 이후 6회의 협연을 했다.
  •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음악학을 전공할 때 공부해야할 양[10]이 너무 많아서 시간이 부족했다고 한다.[11] 틈틈히 연주도 하며 학업을 병행하다 결국 건강상의 이유로 휴학을 결정하였고 고민하던 중 왕립음악대학원(RCM)에서 제의가 와서 옮긴후로는 연주에 더 집중하게 되었다.
  • 과다니니 스트라디바리우스 두 악기에 대한 감상에 대하여 과다니니는 연주자가 연주하는 대로 바로바로 청량하고 예쁜 소리가 난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악기가 변덕이 심하고[14] 도도한 느낌이 들어 화려하고 변덕스러운 점이 마치 디바같다고 평했다. 스트라디바리우스의 경우는 해당 악기만의 느낌을 찾아 달래듯이 연주하게 되는 느낌을 받았다고 한다.
  • 2011년경 어릴적에 다친 오른쪽 턱관절이 직업병으로 발전하면서 수술이 불가피하게 되어 결국 수술을 받았다. 수술 이후 재활까지 약 6년간 안정을 취해야 했으며 이기간 중 3년반 정도는 악기에 손도 대지 못했다고 한다.[15]
  • 어릴때부터 체력이 좋은 편은 아니었다고 한다. 게다가 호기심과 상상력이 많아[16] 잠을 자는것을 아까워 했다고 한다. 악기 연주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 숙면의 중요성을 깨달아 지금은 수면을 매우 중요시한다고 한다.
  • 연주를 위해 혈액 순환 위주의 스트레칭을 즐겨한다. 연습시간이 길어져 많이 뭉치는 경우는 마사지를 받아 반드시 풀어준다고 한다.
  • 연주 전에 특별한 징크스는 없다. 잠을 잘 수 있다면 잠시라도 수면을 취한다고 한다. 그리고 어릴적부터 연주전에는 어머니가 직접 구워주신 소고기를 챙겨주셔서 먹고 좋았던 기억이 있으며, 성인이 된 이후에도 소고기를 먹은 날과 아닌 날은 확실히 체력차이를 느낄 수 있었다고 한다. 바나나도 즐겨 먹는다고 한다.
  • 최근 본인의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바이올린 연주 영상은 물론, 구독자들을 위한 인사도 한국어, 영어로 각각 올리고 있다.
  • 2019년 9월 이후 한국의 음대생들이 운영하고 있는 유명 클래식 유튜브 채널인 “또모”에 출연하며 연주 및 레슨으로 온라인 무대에서도 명성을 얻고있는 중이다.


[1] 겐트 대학교 글로벌 캠퍼스 총장 [2] 지금도 다시 이때로 돌아가라면 기숙생활은 못할 것 같다고 할 정도로 힘들었다고 한다. 가장 힘든점은 부모님을 볼 수 없는 점과 자기전에 책을 읽을 수 없다는 점이었다고 한다. 해외에서는 어린 아이들일 경우 저녁 8시면 강제소등하는 경우가 많다. [3] 이 때 주니어콩쿠르 데드라인을 놓쳐 수상에 대한 기대없이 새로운 곡을 공부한다는 생각으로 시니어콩쿠르에 나갔는데 덜컥 파이널리스트에 들어 그때까지 한번도 연주하지않은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협주곡 2,3악장을 며칠동안 집중적으로 공부하여 마음을 비우고 결선연주에 임했다고 한다. [4] 시벨리우스 협주곡은 테크닉적으로 어려운 곡이라, 원래 3악장에서 테크닉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있었는데, 죽어라 연습하니까 신기하게도 안됐던 부분을 성공했다고 한다. [5] 비니아프스키는 19세기 폴란드 바이올리니스트로, 쉽게 설명하자면 바이올린의 쇼팽같은 존재이다. 2011년 윤소영, 2016년 김봄소리도 같은 콩쿨에서 입상한 바 있다. [6] 이 콩쿠르는 5년마다 개최되는 권위있는 국제 콩쿠르로 당시 연주했던 음원은 해당 홈페이지에서도 들을 수 있다. # [7] 음악에 관한 학문 전반을 배우는 전공인데, 한국 서울대 작곡과의 이론 전공과 비슷한 편이다. [8] 음반 소식 관련 기사 전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4906 [9] 어머니가 왼쪽 귀가 안들리는 유전병이 있었다고 한다. 병원에서는 격세유전을 예상하여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했는데 실제로는 한수진도 왼쪽 귀가 태어날 때부터 들리지 않았다고 한다. 이때문인지 어려서부터 다른 방법으로 귀가 훈련되고 발달되어 한쪽 귀의 감각이 뛰어나고 음정이 무척 정확하다는 평을 들었다. [10] 역사뿐 아니라 심리학, 철학 등 거의 인문학 전반의 음악관련 학문에 대한 방대한 양을 공부했고 토론과 발표 위주의 수업이라 무척 힘들었다고 한다. [11] 음악학을 전공하면서 연주를 병행하는 경우가 흔한 경우는 아니라고 한다. [12] 악기를 대여받던 찰스 비어로부터 악기 소유주를 소개받았다고 한다. 직접 한수진의 연주를 듣고 바로 해당 악기를 평생 지원하기로 했다고 한다. [13] 이 영상 14:13 지점에서부터 직접 언급하는걸 볼 수 있다. [14] 날씨에도 민감하며 그날 그날 악기 컨디션에 따라 굉장히 다른 느낌을 준다. [15] 나이로 보면 26~30세 정도로 보통 연주가들이 가장 왕성한 연주 활동을 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3년반 정도 악기를 놓게되고 5년 이상 공백기를 가지게 된다. 이 기간에 학생레슨도 하고 통역일도 하고 엄마와 해초화장품을 만들기도 했다. 한수진은 회고하길 많은 정신적 고통과 초조함이 있었으나 음악가로서의 삶에 대한 고찰과 작은 것에 감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또한 이시기에 더 다양한 경험과 시각을 가지게 된 값진 시간이었다고 하였다. [16] 자기가 잠들면 인형들이 살아 움직인다고 생각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