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9-25 18:15:47

한길사 한국어 칸트전집


1. 개요2. 상세3. 목록

[clearfix]

1. 개요

한길사에서 출판하는 한국칸트학회의 칸트전집 번역본.

2. 상세

한국칸트학회에서 발간하는 칸트전집.

백종현 명예교수의 아카넷 한국어 칸트전집과 용어 번역에 대해 번역 논쟁이 일어났다. 한국어 번역 논쟁 참조.

3. 목록

※ 출간된 도서는 굵은 글씨체로 표기.

제1권 비판기 이전 저작 I (1749~1755)
  • 『살아 있는 힘의 참된 측정에 관한 사상』(1749, 『살아 있는 힘의 측정』) - 김상현
  • 『일반 자연사와 천체이론』(1755, 『일반자연사』) - 이남원

제 2권 비판기 이전 저작 II (1755~1763)
  • 『불에 관한 성찰의 간략한 서술』(1755, 『불에 관하여』) - 김상봉
  • 『형이상학적 인식의 제1원리들에 관한 새로운 해명』(1755, 『새로운 해명』) - 김상봉
  • 『기하학과 결부한 형이상학의 자연철학적 사용과 그 일례로서 물리적 단자론』(1756, 『물리적 단자론』) - 김상봉
  • 『지난해 말 유럽의 서방 국가들을 덮쳤던 비운을 계기로 살펴본 지진의 원인』(1756, 『지진 원인』) - 이남원
  • 『1755년 말 지구의 상당한 부분을 강타했던 지진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사건들에 관한 역사와 자연기술』(1756, 『지진 역사』) - 이남원
  • 『최근 경험했던 지진에 관한 후속 고찰』(1756, 『지진 재고』) - 이남원
  • 『자연과학의 제1근거에서 운동과 정지』(1758, 『운동과 정지』) - 김상현
  • 『낙관주의에 관한 몇 가지 시론적 고찰』(1759, 『낙관주의』) - 김상현
  • 『삼단논법의 네 가지 격에서 나타난 잘못된 정교함』(1762, 『삼단논법』) - 김상현
  • 『신의 현존을 입증하기 위한 유일하게 가능한 증명 근거』(1763, 『신현존 증명』) - 이남원

제 3권 비판기 이전 저작 III (1763~1777)
  • 『부정량 개념을 철학에 도입하는 시도』(1763, 『부정량』) - 박진
  • 『아름다움과 숭고의 감정에 관한 고찰』(1764, 『미와 숭고』) - 김광명/김화성
  • 『자연신학 원칙과 도덕 원칙의 명확성에 관한 연구』(1764, 『원칙의 명확성』) - 강병호
  • 『1765-1766 겨울학기 강의개설 공고』(1765. 『강의 공고』) - 강병호
  • 『형이상학의 꿈을 통해 해명한 영을 보는 사람의 꿈』(1766, 『영을 보는 사람의 꿈』) - 임승필
  • 『공간에서 방향의 제1구분 근거』(1768. 『방향의 구분근거』) - 김상현
  • 『감성계와 지성계의 형식과 원리』(1770, 『교수취임논문』) - 김상봉
  • 『인간의 상이한 종』(1775, 『상이한 인종』) - 김상현
  • 『박애학교에 관한 논문들』(1776, 『박애학교』) - 홍우람

제 4권 순수이성비판
  • 『순수이성비판』 (1781/1787, 『순수이성비판』) - 김정주/김화성/최인숙/최소인

제 5권 형이상학 서설/자연과학의 기초원리
  • 『학문으로 등장할 수 있는 미래의 모든 형이상학을 위한 서설』(1783, 『형이상학 서설』) - 김재호
  • 『자연과학의 형이상학적 기초원리』(1786, 『자연과학의 기초원리』) - 김재호

제 6권 도덕형이상학 정초/실천이성비판
  • 『도덕형이상학 정초』(1785, 『정초』) - 김석수
  • 『실천이성비판』(1788, 『실천이성비판』) - 김종국

제 7권 도덕형이상학
  • 『도덕형이상학』(1797, 『도덕형이상학』) - 이충진/김수배

제 8권 이성의 오롯한 한계 안의 종교
  • 『이성의 오롯한 한계 안의 종교』(1793, 『종교론』) - 김진

제 9권 판단력비판
  • 『판단력비판』(1790, 『판단력비판』) - 하선규/공병혜/임성훈

제 10권 비판기 저작 I (1784~1794)
  • 『세계시민적 관점에서 본 보편사의 이념』(1784, 『보편사의 이념』) - 김미영
  • 『계몽이란 무엇인가에 관한 답변』(1784, 『계몽』) - 홍우람
  • 『인종에 관한 개념규정』(1785, 『인종개념』) - 김미영
  • 『인류사의 추정된 기원』(1786, 『인류사』) - 김미영
  • 『사유 안에서 방향 정하기란 무엇인가?』(1786, 『방향 정하기』) - 홍우람
  • 『철학에서 목적론적 원리의 사용』(1788, 『목적론적 원리』) - 홍우람
  • 『순수이성의 이전 비판이 모든 새로운 비판을 불필요하게 만든다는 발견』(1790, 『발견』) - 오은택
  • 『변신론에서 모든 철학적 시도의 실패』(1791, 『변신론의 실패』) - 이남원
  • 『이론에서는 옳을지 모르지만 실천에는 쓸모없다고 하는 속설』(1793, 『속설』) - 정성관
  • 『만물의 종말』(1794, 『종말』) - 배정호

제 11권 비판기 저작 II (1795~1804)
  •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 철학적 기획』(1795, 『영구평화론』) - 정성관
  • 『철학에서 임박한 영구평화조약 체결 고지』(1796, 『영구평화조약』) - 정성관
  • 『철학에서 요즈음 생겨난 고상한 논조』(1796, 『고상한 논조』) - 배정호
  • 『오해에서 비롯한 수학적 논쟁의 해결』(1796, 『수학적 논쟁』) - 홍우람
  • 『인류애 때문에 거짓말할 왜곡된 권리』(1797, 『거짓말』) - 배정호
  • 『학부논쟁』(1798. 『학부논쟁』) - 이진오/이상헌
  • 『라이프니츠와 볼프의 시대 이후 독일에서 형이상학이 이룬 실질적인 진보는 무엇인가?』(1804, 『형이상학의 진보』) - 염승준

제 12권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간학
  •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간학』(1798, 『인간학』) - 홍우람/이진오

제 13권 논리학/교육론
  • 『임마누엘 칸트의 논리학. 강의용 교재』(1800, 『논리학』) - 이엽/김창원
  • 『교육론』(1803, 『교육론』) - 박찬구

제 14권 서한집
  • 『서한집』(『서한집』) - 맹주만/김형주/박필배

제 15권 윤리학 강의
  • 『윤리학 강의』(『윤리학 강의』) - 이원봉

제 16권 색인집
  • 『칸트전집』 색인집 - 한길사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