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국 제20-25대 참의원 의원 하쿠 신쿤 [ruby(白, ruby=はく)][ruby(眞, ruby=しん)][ruby(勲, ruby=くん)] | Haku Shinkun |
|
|
|
<colbgcolor=#00469c><colcolor=#ffffff> 한국명 | 백진훈 (白眞勳)[1] |
출생 | 1958년 12월 8일 ([age(1958-12-08)]세) |
도쿄도 신주쿠구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본관 | 수원 백씨 |
학력 |
도쿄도 도시마구립 사쿠라 소학교 (졸업) 도시마구립 메이호 중학교 (졸업) 도쿄도립 키타조노 고등학교 (졸업) 니혼대학 (건축공학 / 학사) 니혼대학 대학원 (건축공학 / 석사) |
직업 | 정치인 |
신체 | 171cm, A형 |
가족 |
아버지 백경석[2], 어머니 배우자(이혼), 딸 미야자키 레이카 |
정당 |
|
의원 선수 | 3 (참) |
의원 대수 | 20-21, 22-23, 24-25 |
지역구 | 비례대표 |
약력 |
조선일보 일본 지사장 참의원 내각부 부대신 민주당 홍보위원장 입헌민주당 참의원 간사장 대리 입헌민주당 헌법조사부회장 입헌민주당 정무조사부회장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정치인.전 조선일보 일본 지사장, 내각부 부대신 등을 역임했다. 현재까지 일본 참의원의 유일한 한국계 일본인 의원으로, 한국 이름은 본명과 같은 백진훈(白眞勳). 한국계 인물이 투표로 일본 국회의원에 당선된 것은 박춘금, 아라이 쇼케이에 이어 3번째였다.[3]
2. 생애
1958년 12월 8일, 도쿄도 신주쿠구에서 재일교포인 아버지 백경석과 일본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백경석은 경상북도 경산군 남산면 반곡동 출신으로, 일찍이 일본으로 건너와 리츠메이칸대학 철학과에 입학했으나 태평양 전쟁으로 중퇴했다. 이후 1986년부터 조선일보 일본지사장을 역임했다.도쿄도 도시마구립 사쿠라 소학교, 도시마구립 메이호(明豊) 중학교, 도쿄도립 키타조노(北園) 고등학교, 니혼대학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니혼대학 대학원에서 건축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5년 4월에 조선일보 일본지사에 입사해 1994년 지사장에 취임했다. 1986년 한국으로 건너와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에서 한국어를 배우기도 했다.
|
민주당 시절 포스터. "아버지의 나라 한국, 어머니의 나라 일본"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
2003년 1월에 귀화하여 일본 국적을 취득했고, 2004년 조선일보를 퇴사함과 동시에 간 나오토에게 발탁되어서 제2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민주당 공천을 받아 비례대표 참의원에 당선되었다. 이후 참의원 외교방위위원회에 근무했고, 2010년 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나가 재선에 성공한다.
2012년 노다 요시히코 내각의 내각부 부대신에 취임, 2016년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민진당 소속으로 3선, 2018년 민진당과 희망의 당의 합당으로 만들어진 국민민주당에 참여하지 않고, 입헌민주당에 입당한다.
2020년 4월 29일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코로나19 대응에 관련한 한국과의 관계를 아베 신조 총리에게 묻자 한국과 정보를 나누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언급했다. # 아베 신조가 코로나19 관련으로 한국과 협력 의사를 표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2022년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4선에 도전해 비례대표 8위에 올랐으나 7위까지 당선되며 낙선했다.
3. 소속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
2004 - 2016 | 정계 입문 |
|
2016 - 2018 | 당명 변경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18 | 입헌민주당 합류를 위한 탈당 |
|
2018 - 2020 | 입당 |
|
2020 - | 합당[4] |
4. 기타
- 존경하는 인물은 부모님과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다.
- 딸의 이름은 미야자키 레이카로, 탤런트로 활동하고 있다. 부모가 이혼을 해서 어머니의 성을 쓰고 있다고 한다.
-
외국인 참정권 운동 등에 관심이 많은지, 2007년 열린 재일본 대한민국 청년회 집회에 참여해 핀란드계 참의원
쓰루넨 마루테이와 함께 외국인 지방 참정권에 찬성을 표한 전적이 있다. 또한 2010년 신주쿠에서 열린 도쿄
경상북도 도민회에 참석해 '외국인 참정권이 실현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한국어로 인사했다.
- 하쿠 이전의 한국계 정치인이자 전후 유일한 한국계 중의원이었던 아라이 쇼케이와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 아라이는 최소한 겉으로는 자신이 한국인이거나 한국계란 자각은 그리 없던 것으로 보이고, 조선적에서 일본으로의 귀화도 18세 때인 1966년에 했다. 비록 청년기에는 운동권 활동을 하기도 했지만 정계 입문 후에는 전형적인 우익 일본인이었고, 재일 조선인 관련 활동을 공개적으로 한 바는 물론 없다. 다만 막후에서 주일한국대사관과 민단의 활동을 도왔다는 보도도 있기는 하다. 도쿄지검이 비리 혐의로 수사에 들어가자 자살하기 전 자신의 출신 때문에 피해를 본다는 둥의 이야기를 했다는 설도 있다.[5] 반면 하쿠는 상술하였듯 재일 조선인 출신임을 숨기지 않았고 재일 조선인 등을 위한 외국인 지방 참정권 운동에 힘썼다. 일본 귀화도 정계 입문 1년 전인 2003년에 했다.
- 태어나기 이틀 전 같은 당 의원인 와세다 유키가 태어났다.
- 조선일보 일본 지사장으로 있으면서 일본내에서 한국에 대한 나쁜 이미지를 느꼈다고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호간의 이해가 필요하다 생각해 조선일보의 일본어 번역판을 만들었다고 한다. 일본 사람들이 한국 신문을 읽기 시작하면 상호존중이 이뤄질 수 있다고 기대하였다고 한다. #
- 조선일보 재직 시절 자사의 대주주 방용훈[6]의 자녀가 캐나다에 유학가 있던 2002년 11월 그 자녀의 외가식구 명의의 계좌에 송금한 흔적이 뉴스타파 취재를 통해 확인됐다. # 정황 상 조선일보 측의 비자금일 가능성이 높다.
5. 둘러보기
입헌민주당(2017년)의 계파 분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사회당계 | 리버럴계 | 개헌파 | ||
생추어리 아카마츠 히로타카 아베 도모코 쓰지모토 기요미 가이에다 반리 오사카 세이지 요코미치 다카히로 |
나라의 모습 연구회 간 나오토 에다 사쓰키 에다노 유키오 하쿠 신쿤 |
화제회 무라타 렌호 나가하마 히로유키 |
구 료운카이 아즈미 준 |
||
리버럴계 나가츠마 아키라 오카다 가쓰야 나카가와 마사하루 |
구 모두의 당 에다 겐지 오치아이 다카유키 시오무라 아야카 |
||||
정당별 계파 ( 기타 일본 혁신정당 · 입헌 · 국민 · 유신 · 공명 · 자민) |
입헌민주당의 계파 분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호헌파 | 중립 | 개헌파 | |||
생추어리 곤도 쇼이치 오사카 세이지 에다노 유키오 쓰지모토 기요미 가이에다 반리 오사카 세이지 미치시타 다이키 아베 도모코 유노키 미치요시 |
나라의 모습 연구회 니시무라 지나미 에다노 유키오 스에마쓰 요시노리 하쿠 신쿤 다지마 가나메 스기오 히데야 |
화제회 노다 요시히코 나가하마 히로유키 구로이와 다카히로 후루모토 신이치로 아즈미 준 타케마사 코이치 곤도 요스케 |
신정권연구회 이즈미 겐타 와타나베 슈 오구마 신지 마부치 스미오 가네코 에미 후쿠다 아키오 시모조 미쓰 오니시 겐스케 모리야마 히로유키 하타 지로 |
|||
사회민주주의 포럼 요시다 다다토모 요시카와 하지메 야마 도시히로 |
일청회 오자와 이치로 마키 요시오 노마 다케시 고미야마 야스코 마쓰키 겐코 아오키 아이 사토 고지 스에쓰구 세이이치 요코사와 다카노리 |
자서회 시나 다케시 쓰무라 게이스케 고미야마 야스코 고토 유이치 이사카 노부히코 미도리카와 다카시 요네야마 류이치 후토리 히데시 |
보수파 에다 겐지 하라구치 가즈히로 후루모토 신이치로 와타나베 슈 겐바 고이치로 류 히로후미 마부치 스미오 |
|||
소승회 오카다 가쓰야 나카무라 기시로 야마노이 가즈노리 기쿠타 마키코 오가와 준야 가네코 에미 다지마 가나메 유노키 미치요시 |
직간회 시게토쿠 가즈히코 나카지마 카츠히토 아오야기 요이치로 겐마 겐타로 오치아이 다카유키 오구마 신지 시오무라 아야카 |
브릿지 모임 에다 겐지 오치아이 다카유키 오구마 신지 시오무라 아야카 |
무계파 시노하라 다카시 오시마 아쓰시 나가츠마 아키라 겐바 고이치로 나카가와 마사하루 요시다 하루미 |
|||
일본 정당별 계파 ( 기타 일본 혁신정당 · 입헌 · 국민 · 자민)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469C><tablebgcolor=#00469C>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469C><tablebgcolor=#00469C>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가와다 류헤이 | 가쓰베 겐지 | 고가 유키히토 | 고니시 히로유키 | 구마가이 히로토 |
군지 아키라 | 기도구치 에이지 | 기시 마키코 | 나가하마 히로유키 | 나타니야 마사요시 | |
난바 쇼지 | 노다 구니요시 | 다나부 마사요 | 다지마 마이코 | 도쿠나가 에리 | |
사이토 렌호 | 마야마 유이치 | 마키야마 히로에 | 모리 유코 | 모리모토 신지 | |
모리야 다카시 | 미야구치 하루코 | 미야자와 유카 | 미즈오카 슌이치 | 사이토 요시타카 | |
스기오 히데야 | 시바 히로카즈 | 시오무라 아야카 | 아리타 요시후 | 아오키 아이 | |
에사키 다카시 | 오가와 도시오 | 오누마 타쿠미 | 오자와 마사히토 | 요시다 다다토모 | |
요시카와 사오리 | 요코사와 다카노리 | 우치코시 사쿠라 | 이시가키 노리코 | 이시바시 미치히로 | |
이시카와 다이가 | 하치로 요시오 | 하쿠 신쿤 | 하타 지로 | 후쿠야마 데쓰로 |
}}} }}}}}} |
[1]
일본으로 귀화한 현재도 원래 이름에서 발음만 일본식으로 바꾸고 그대로 쓰고 있다.
[2]
경상북도
경산군
남산면 반곡리
수원 백씨
집성촌에서 태어났다.
참고
리츠메이칸대학 철학과에 입학했으나
중퇴했다.
[3]
참의원의 전신 조직인
귀족원 의원으로는 몇몇 유력 친일파들이 임명된 바 있다.
[4]
국민민주당과 신설 합당
[5]
자살하기 약 한달 전 중의원에서 자신은 출신 성분 때문에 16살 때까지 손가락질을 당하며 살아왔으며 자신의 선거 벽보에 조센징이라는 낙서가 있었음을 토로한 적이 있었으므로 비슷한 생각을 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6]
방상훈 사장의 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