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23:15:08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HWC에서 넘어옴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Hearthstone World Championship
파일:external/bnetcmsus-a.akamaihd.net/2AC2P6GO9ZY91410369936773.jpg
<colbgcolor=#a0522d><colcolor=#ffdd73> 주최 파일: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로고.svg
출범 2014년 ([age(2014-01-01)]주년)
최근 우승 선수 파일:중국 국기.svg mlYanming (2024)
최다 우승 국가
[[중국|]][[틀:국기|]][[틀:국기|]]

[[일본|]][[틀:국기|]][[틀:국기|]] (2회)
1. 개요2. 대회 일람
2.1. 2014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2.2. 2015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2.3. 2016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2.3.1. 점수 구조2.3.2. 2016 시즌 챔피언십 일람
2.4. 2018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2.4.1. 2017~2018 시즌 챔피언십 일람
2.5. 2019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2.5.1. 점수 구조2.5.2. 2018~2019 시즌 챔피언십 일람
2.6. 2019 하스스톤 글로벌 파이널2.7. 2020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2.8. 2021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2.9. 2022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2.10. 2023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2.11. 2024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3. 역대 대회 결과4. 트로피

[clearfix]

1. 개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서 개최하는 최고 권위의 하스스톤 대회.[1] 리그 오브 레전드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이나 스타크래프트 2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와 비슷한 성격의 대회이며, 매년 11월 블리즈컨에서 개최된다.

과거 HCT 방식에서는 매달 등급전의 순위 혹은 대회를 통해 포인트를 얻어 지역 예선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을 가졌다. 현재는 하스스톤 마스터즈 방식으로 변경되어, 레더와 온라인 예선으로 마스터즈 투어 출전권을 얻게 되며, 마스터즈 투어 성적순으로 초청되는 그랜드마스터 리그에서 우승하면 월드 챔피언십 출전권을 얻게 된다. 추가로, 중국 골드 시리즈 우승자도 출전하여 총 4개 지역에서 2명씩 8명의 선수가 출전한다.

2. 대회 일람

2.1. 2014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2014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문서 참고.

한국 예선은 온게임넷 한중 마스터즈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크라니쉬 레니아워가 한국 대표로 출전했다.

2.2. 2015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2015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문서 참고.

2.3. 2016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파일:external/bnetcmsus-a.akamaihd.net/O0WO1OIQHFE11448505979226.jpg
파일:external/bnetcmsus-a.akamaihd.net/EZ541JOU2NWK1448505979249.jpg

우선 모바일 버전의 흥행 덕분인지 상금이 대폭 확대되고, 계절별 챔피언십이 열리게 되었다. 또한 등급전으로 얻을 수 있는 포인트는 획득이 상대적으로 쉬워짐에 따라[2] 대회 성적에 따라 받을 수 있는 포인트가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있어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며 와글와글 하스스톤과 같은 오프라인 대회들이 확대될 예정이다.

좀 더 세부적으로는 이번 개편으로 인해 메이저 대회나 컵 대회에서 초청유저 시드를 줄 수 없게 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에 일부 스트리머들이나 상위권 유저들만 상대적으로 많은 포인트를 가져갈 수 있었던 것과 달리 그런 차이가 많이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공식룰의 단점으로 지목되던 엔트리 고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드디어 밴이 추가되었다. 3개의 덱을 사용해 정복전 방식으로 경기를 하는 것은 예전과 똑같으나 선수들은 총 4개의 덱을 가져와야 하며, 상대 선수는 그 중 하나를 밴하게 된 것.

작년 시즌에 비해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시즌 챔피언십의 추가인데, 스타크래프트 2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체제에서 따온 듯한 모습이다.[3] 대회 우승자는 블리즈컨으로 직행하게 되며, 준우승자와 4강 진출자는 각각 20점/15점을 획득한다.[4] 각 3월/6월/8월을 목표로 한다고 트위터에서 언급한 바 있다.

2월 3일 패치를 통해 정규전으로만 월드 챔피언십이 진행될 것임이 알려졌다. 당연히 포인트 획득 대회들도 정규전으로 치러진다.

2.3.1. 점수 구조

2016년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점수 구조
등급전 하스스톤 컵 메이저 하스스톤 대회[5] 시즌 챔피언십[6]
(아시아-태평양 지역)[7]
(1st) 15 points (1st) 3 points (1st) 15 points (1st) 30 points
(2nd-10th) 12 points (2nd) 2 points (2nd) 10 points (2nd) 20 points
(11th-25th) 10 points (3rd-4th) 1 point (3rd-4th) 5 points (3rd-4th) 15 points
(26th-50th) 8 points (5th-8th) 2 points (5th-8th) 10 points
(51st-100th) 5 points
(Legend) 1 point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포인트는 등급전 뿐만 아니라 블리자드 공식 대회에서도 획득할 수 있다. 점수는 각 대회 성적에 따라 지급된다. 매 챔피언십 시즌마다 상위 점수 획득자들은 자신이 속해 있는 지역의 시즌 예선전에 참여할 수 있으며, 한 해 동안 축적된 점수를 바탕으로 8명을 선발하여, 월드 챔피언십 직전에 지역별로 라스트 콜 인비테이셔널이 개최된다. 포인트는 월드 챔피언십 매 시즌마다 초기화된다.

2.3.2. 2016 시즌 챔피언십 일람

파일:hearthstone.png
2016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투어
2016 hearthstone world championship tour
2015-16 Winter 2016 Spring 2016 Summer 2016 Last Call
파일:external/static1.gamespot.com/3044764-blizzcon_logo.jpg
2016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2.4. 2018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2017년 시즌 개요
2017년 챔피언십 투어 공식 규정
2016년 각 지역별 예선전
(동계, 춘계, 하계)
(상위 8명 진출)→ 각 지역별 시즌 챔피언십
(동계, 춘계, 하계)
(지역별 1명, 총4명 진출)→ 월드 챔피언십
2017년 각 지역별 플레이오프
(동계, 춘계, 하계)
(상위 4명 진출)→ 글로벌 시즌 챔피언십
(동계, 춘계, 하계)
(상위 4명 진출)→ 월드 챔피언십

챔피언십 투어 방식에 큰 변화가 생겼는데, 기존에 진행되었던 지역별 시즌 챔피언십이 글로벌 시즌 챔피언십으로 통합되었다. 또한 각 지역의 시즌 예선이 지역별 시즌 플레이오프로 변경되어 4개의 지역(아시아-태평양, 미주, 유럽, 중국[8])에서 각각 4명의 선수들이 시즌 챔피언십에 진출한다.

먼저 플레이오프는 지역별 포인트 상위 64명[9]과 지역별 와글와글 하스스톤 챔피언십 상위 8명이 참가한다. 플레이오프 1일차에는 약 72명의 선수들 중 7라운드의 스위스 대전을 통해 상위 8명을 가려내며, 2일차에는 8명의 선수들이 싱글 토너먼트를 진행하여 상위 4명의 선수들이 시즌 챔피언십에 진출한다.
  •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지역별 플레이오프에서 많은 변경점이 있었다. 원래 북미와 유럽 지역은 국적과 상관없이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에서 스위스 대전 방식으로 바뀌고, 상위 128명에서 64명으로 바뀐 것뿐이지만,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한국과 대만별로 2명, 동남아시아, 일본, 호주별로 1명, 포인트 1위까지 총 8명이 진출하는 방식에서 북미, 유럽과 같은 방식으로 바뀌었다. 특히 한국, 대만에 적용되는 메이저 대회 시드가 사라지면서 하스스톤 마스터즈 코리아가 폐지되었다.

시즌 챔피언십은 4개의 지역에서 플레이오프 상위 4명씩 총 16명의 선수들이 참가하며, 기존의 월드 챔피언십 방식과 동일하게 진행되어 상위 4명의 선수들이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한다. 총 상금은 각각 $250,000이다.

최종적으로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동계, 춘계, 하계 시즌 챔피언십의 상위 4명과 2017년 동안 4개의 지역에서 각각 포인트를 가장 많이 획득한 1명, 총 16명의 선수들이 총 상금 $1,000,000를 놓고 경쟁한다.

특별히 하스스톤만 월드 챔피언십을 2018년 1월에 한다. 차기 정규전 해에 맞추기 위함인 듯 하다. 그로 인해 2017 블리즈컨에서는 하스스톤을 제외한 스타크래프트 2 2017 WCS Global Finals- 2017 오버워치 월드컵- 2017 Heroes of the storm Global Championship Finals 등이 진행되었다. 월드 챔피언십 기간 동안 운고로 팩, 얼왕기 팩, 코볼트 팩을 1개씩 받을 수 있다.

2.4.1. 2017~2018 시즌 챔피언십 일람

파일:hearthstone.png
2017~2018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투어
2017~2018 hearthstone world championship tour
2016-17 Winter Championship 2017 Spring Championship 2017 Summer Championship 2017 Last Call
2018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2.5. 2019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2018년 시즌 개요
HCT 2018 공식 규정
HCT 챌린저스 공식 규정
2018년 서울스탑 공식홈페이지(한글)[10]
2018년 서울스탑 공식홈페이지(Eng)

우선 '하스스톤 마스터 시스템'이라는 새로운 시스템이 도입되는데 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파일:PWNXZ0K0OAG71513065429611.png

플레이어 등급은 가장 최근 3번의 HCT 시즌 누적 총점으로 결정되고, 각 HCT 시즌 마지막 날 등급을 다시 계산하므로 등급 혜택은 4개월 동안 지속된다.

그 다음은 HCT 투어 관련 내용인데 2017년과 비교했을 때 동계, 춘계, 하계가 각각 시즌 1, 시즌 2, 시즌 3로, 라스트 콜은 '지역별 점수 최상위자'로 이름이 바뀐 것이다. 또한, 중요한 것이 컵 대회와 와글와글 하스스톤 챔피언십 예선전을 통합한 '하스스톤 챌린저스 프로그램'이 생겼는데, 컵 대회는 '챌린저 컵'으로, 와글와글 하스스톤 챔피언십은 '챌린저 파이널'이 된다. 컵 대회는 결과에 따른 포인트는 사라지는 대신 결승에 진출하면 챌린저 파이널 진출 티켓을 주는 등의 방식으로 진행하고, 와글와글 하스스톤 챔피언십 예선전은 기존과 같이 진행하며 이를 통해 챌린저 파이널 진출자를 선발한다. 하스스톤 챌린저스 프로그램은 시즌마다 8명의 선수들에게 플레이오프 참가 자격을 주는 대신 3회 연속 HCT 시즌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한 선수들만 참가할 수 있다.

시즌 개요를 참고하면 알겠지만 하스스톤 경쟁 점수(CP)도 대폭 변경되었다. CP를 반영하는 기간은 시즌 1은 1월부터 3월까지,시즌 2는 4월부터 7월까지,시즌 3는 8월부터 11월까지이다. 시즌 1의 목표 점수는 전 지역에서 45점을 얻는 것이다.

이 외에 메이저 대회가 HCT 투어 스탑이라는 명칭으로 바뀌었고 시즌 별 플레이오프 64강에서 바로 탈락하더라도 100만원을 받는 등 대폭 확대되었다. 또한, '지역별 점수 최상위자'에서 1위는 $8,000에 월챔 진출, 2위는 $6,000, 3위는 $4,000, 4위는 $2,000로 상금이 주어진다.

마지막으로 시즌 2부터 각 HCT 시즌 상위 10개의 하스스톤 팀에 지원금을 지급한다. 팀에서는 전체 HCT 시즌 동안 팀을 대표할 선수 3명을 선택할 수 있고 시즌이 끝날 때마다 프로팀 순위표 상위 10개 팀은 대표 선수 3인의 총 시즌 점수 합계에 따라 지원금을 받게 된다.
- 1위 : $7,500, 2위 : $4,500, 3위 : $3,000, 4위 : $2,500, 5위 : $2,000, 6위 : $1,750, 7위 : $1,500, 8위 : $1,250, 9위 : $1,000, 10위 : $750 (선수당 지원금 기준)

2.5.1. 점수 구조

2018년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점수 구조
등급전 HCT 투어 스탑 HCT 챔피언십/플레이오프 월드 챔피언십
(1st) 16 points (1st) 15 points (챔피언십 우승) 30 points (1st) 20 points
(2nd-25th) 15 points (2nd) 12 points (챔피언십 준우승) 25 points (2nd) 15 points
(26th-50th) 12 points (3rd-4th) 10 points (챔피언십 준결승 진출) 20 points (3rd-4th) 10 points
(51st-100th) 9 points (5th-8th) 8 points (챔피언십 8강 진출) 15 points (5th-8th) 6 points
(101st-200th) 6 points (9th-16th) 6 points (챔피언십 16강 진출) 12 points (9th-16th) 4 points
(201st-500th) 4 points (17th-32nd) 4 points (플레이오프 5th) 11 points
(501st-1000th) 2 points (플레이오프 6th) 10 points
(1001st-) 1 point (플레이오프 7th) 9 points
(플레이오프 8th) 8 points
(플레이오프 9th-16th) 7 points
(플레이오프 17th-32nd) 6 points

점수 구조도 대폭 변경되었다. 이번부터는 하스스톤 챔피언십 투어 시즌당 높은 순서 3번의 등급전 순위가 총 점수에 합산된다.

2.5.2. 2018~2019 시즌 챔피언십 일람

파일:hearthstone.png 2018~2019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투어
2018 Summer Championship 2018 Fall Championship 2018 Winter Championship
2019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2.6. 2019 하스스톤 글로벌 파이널

출전권 획득 과정은 하스스톤 마스터즈/2019년 문서 참조.

대회 내용은 2019 하스스톤 글로벌 파이널 문서 참조.

2.7. 2020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출전권 획득 과정은 하스스톤 마스터즈/2020년 문서 참조.

대회 내용은 2020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문서 참조.

2.8. 2021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출전권 획득 과정은 하스스톤 마스터즈/2021년 문서 참조.

대회 내용은 2021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문서 참조.

2.9. 2022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출전권 획득 과정은 하스스톤 마스터즈/2022년 문서 참조.

2.10. 2023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2.11. 2024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

3. 역대 대회 결과

대회 우승 준우승 4강
2014 월드 챔피언십 <colbgcolor=#ffd700,#886000> 파일:미국 국기.svg 제임스 코스테식
(Firebat)
<colbgcolor=#c0c0c0,#505050> 파일:중국 국기.svg 왕셰위
(TiddlerCelestia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백학준 (Kranich)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얼 이쿠타 (DTwo)
2015 월드 챔피언십 파일:스웨덴 국기.svg 세바스티안 엥발
(Ostkaka)
파일:캐나다 국기.svg 딜런 멀린스
(Hotform)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테이스 몰렌데이크 (ThijsNL)
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유이치로 (Kno)
2016 월드 챔피언십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벨 벨튜코프
(Pavel)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아르템 크라베츠
(DrHipp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천수 (Che0nsu)
파일:중국 국기.svg 제이슨 저우 (JasonZhou)
2018 월드 챔피언십 파일:대만 국기.svg 천웨이린
(tom60229)
파일:미국 국기.svg 프랭크 장
(Fr0zen)
파일:중국 국기.svg 제이슨 저우 (JasonZho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정수 (Surrender)
2019 월드 챔피언십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카스페르 노토
(Hunterace)
파일:독일 국기.svg 토르벤 발
(Viper)
파일:독일 국기.svg 라파엘 펠처 (Bunnyhoppor)
파일:중국 국기.svg 관전둥 (SNJing)
2019 글로벌 파이널 파일:중국 국기.svg 리샤오멍
(VKLiooon)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이언 이슨
(bloodyface)
파일:중국 국기.svg 양가오 (RNGLeaoh)
파일:독일 국기.svg 케빈 에벌라인 (Casie)
2020 월드 챔피언십 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켄타
(glory)
파일:체코 국기.svg 야로미르 비스초칠
(Jarla)
파일:캐나다 국기.svg 제롬 포셰르 (Monsanto)
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슬라프 시노토프 (SilverName)
2021 월드 챔피언십 파일:일본 국기.svg 이시바시 와타루
(posesi)
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켄타
(glory)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브리엘 잔 (Gaby)
파일:미국 국기.svg 카일 스피글먼 (McBanterFace)
2022 월드 챔피언십 파일:독일 국기.svg 라파엘 펠처
(Bunnyhoppor)
파일:영국 국기.svg 잭 밴크로프트
(DeadDraw)
파일:중국 국기.svg 리다이슝 (KZGYuYi)
파일:러시아 국기.svg 레프 메르쿨로프 (levik)
2023 월드 챔피언십 파일:영국 국기.svg 톰 스윈튼
(PocketTrain)
파일:대만 국기.svg
(CJkaka)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프라뇨 블라제비치 (reqva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민규 (gyu)
2024 월드 챔피언십 파일:중국 국기.svg
(mlYanming)
파일:덴마크 국기.svg 프레데릭 묄러
(Furyhunter)
파일:중국 국기.svg 쿵판위 (Yuansu)
파일:캐나다 국기.svg 라이언 니시 (Mesmile)
국가 우승 준우승 4강

[[중국|]][[틀:국기|]][[틀:국기|]]
2회 1회 6회

[[일본|]][[틀:국기|]][[틀:국기|]]
2회 1회 1회

[[미국|]][[틀:국기|]][[틀:국기|]]
1회 2회 2회

[[독일|]][[틀:국기|]][[틀:국기|]]
1회 1회 2회

[[대만|]][[틀:국기|]][[틀:국기|]]
1회 1회 0회

[[영국|]][[틀:국기|]][[틀:국기|]]

[[러시아|]][[틀:국기|]][[틀:국기|]]
1회 0회 2회

[[스웨덴|]][[틀:국기|]][[틀:국기|]]
1회 0회 0회

[[노르웨이|]][[틀:국기|]][[틀:국기|]]

[[캐나다|]][[틀:국기|]][[틀:국기|]]
0회 1회 2회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0회 1회 0회

[[체코|]][[틀:국기|]][[틀:국기|]]

[[덴마크|]][[틀:국기|]][[틀:국기|]]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0회 0회 4회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0회 0회 1회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크로아티아|]][[틀:국기|]][[틀:국기|]]

4. 트로피

파일:external/bnetcmsus-a.akamaihd.net/NALBPZUIZIC21441908857166.jpg

트로피 아래에 하스스톤 각각의 직업을 상징하는 심볼이 들어가 있으며, 물이 솟아오르는듯한 디자인이다. 소재는 나무 유리 그리고 청동이다. 블리즈컨 대회 트로피들은 각 게임 개발팀에서 제작하는데, 하스스톤 개발팀에서는 이 트로피를 통해 하스스톤 선술집의 매력적인 특징을 살렸다고 한다.
파일:external/bnetcmsus-a.akamaihd.net/OJ5X5F69DJB41446764403449.jpg
파일:external/bnetcmsus-a.akamaihd.net/4NQOS6UNWUMM1446764403397.jpg

트로피 제작 과정은 트로피의 모양과 크기에 대한 윤곽을 명확히 잡는 컨셉 아트와 제작 과정에서 사용될 재질을 준비한뒤, 컨셉 아트를 통해 디지털 모델링 작업을 거쳐 3D 프린터로 결과물을 뽑아내어 수작업으로 형태를 마무리한뒤 주물 작업을 거친 후, 트로피를 조립한다고 한다.

[1] 블리자드에서 직접 개최하는 하스스톤 대회는 월드 챔피언십, 글로벌 게임, 인비테이셔널, 로비 레전드 네 가지이다. 월드 챔피언십은 개인전, 글로벌 게임은 국가대항전, 인비테이셔널은 스트리머 및 선수 초청 이벤트전, 로비 레전드는 전장이다. 개인의 기량을 평가하는 월드 챔피언십이 가장 크고, 우승자는 게임에 카드로 추가되는 명예가 주어진다. [2] 1위는 15포인트, 2위~10위는 12포인트 등이며 전설 등급만 달성해도 1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3] 그래서 올해는 월드 챔피언십이라는 명칭보다, 월드 챔피언십 '투어'를 유독 강조한다. 내년까지 이어질 경우 HCT 브랜드로 브랜딩할 생각인 듯하다. [4] 4강만 가도 메이저 대회, 시즌 1위와 동급이다. [5] 하스스톤 마스터즈 코리아 아프리카 하스스톤 배틀로얄 대회가 여기에 포함된다. [6] APAC 챔피언십과 같은 말이다. [7] 한국, 대만(홍콩과 마카오 포함), 일본, 호주, 뉴질랜드, 동남아시아(인도네시아, 인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8] 중국은 별도로 Gold Series 진행 [9] 단, 64위에 동점자가 있다면 모두 참가 가능하다. [10] 2018년에만 대규모 한국행사가 있었다. 1585명 참가신청. Nexon Arena에서 진행하고 SPOTV에서 방송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