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8 01:09:20

프로시노네 칼초

프로시노네 칼치오에서 넘어옴
파일:세리에 B 로고.svg
2023-24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555555,#aaaaaa
파일:AC 레지아나 1919 로고.svg
파일:칼초 레코 1912 로고.svg
파일:모데나 FC 로고.svg
파일:SSC 바리 로고.svg
파일:베네치아 FC 로고.svg
파일:브레시아 칼초 로고.svg
파일:UC 삼프도리아 엠블럼.svg
파일:스페치아 칼초 로고.svg 파일:스페치아 칼초 로고 화이트.svg
파일:아스콜리 칼초 1898 FC 로고.svg
파일:FC 쥐트티롤 로고.svg
파일:AS 치타델라 엠블럼.svg
파일:US 카탄차로 1929 로고.svg
파일:코모 1907 로고.svg
파일:코센차 칼초 로고.svg
파일:US 크레모네세 로고.svg
파일:테르나나 칼초 로고.svg
파일:파르마 칼초 1913 엠블럼.svg
파일:팔레르모 FC 엠블럼.svg 파일:팔레르모 FC 엠블럼 화이트.svg
파일:페랄피살로 로고.svg
파일:피사 SC 로고.svg
파일:세리에 A 로고 가로 화이트.png 세리에 C 참가 구단
(그룹 A
· 그룹 B · 그룹 C)
}}}}}}}}}}}}}}} ||
파일:프로시노네 칼초 로고.svg
프로시노네 칼초
Frosinone Calcio
<colbgcolor=#fd0><colcolor=#004393> 정식 명칭 Frosinone Calcio SRL
별칭 Canarini (카나리아), Gialloazzurri (노랑-밝은 파랑)
창단 1928년 9월 19일 ([age(1928-09-19)]주년)
소속 리그 세리에 B (Serie B)
연고지 라치오 주 프로시노네(Frosinone)
홈구장 스타디오 베니토 스티르페(Stadio Benito Stirpe)
(16,227명 수용)
회장 마우리치오 스티르페 (Maurizio Stirpe)
감독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에우세비오 디프란체스코 (Eusebio Di Francesco)
주장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루카 마치텔리 (Luca Mazzitelli)
부주장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스테파노 투라티 (Stefano Turati)
공식 웹사이트 파일:프로시노네 칼초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우승 기록
세리에 B
(1회)
2022-23
세리에 C2
(2회)
1986-87, 2003-04
세리에 D
(2회)
1965-66, 1970-71
1. 개요2. 역사
2.1. 요약
3. 스쿼드4. 기타

[clearfix]

1. 개요

이탈리아 라치오 주 프로시노네를 연고로 현재 세리에 B에서 활동하는 축구 클럽.

2. 역사

1912년 우니온 스포르티베 프루시나테(Union Sportive Frusinate)라는 이름으로 창단하였다. 클럽은 대부분 3~4부리그에서 오랫동안 머물렀다. 1990년 현재의 이름인 프로시노네 칼치오(Frosinone Calcio)라는 이름으로 변경하였다. 2003-04 시즌 4부리그(세리에 C2 지로네 C)에서 우승하여 3부리그로 승격하였다. 이후 2년뒤 2005-06 시즌 세리에 C1 지로네 A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여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고, 마침내 세리에 B로 승격하였다. 이후 세리에 B에서 중하위권을 차지하였고, 2010-11 시즌 세리에 B에서 22위를 차지, 다시 3부리그로 강등되며 위기를 맞이하였다. 이후 3부리그에서 중위권을 차지하다가 2013-14 시즌 3부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4년만에 세리에 B로 복귀하였다. 2014-15 시즌에는 41라운드에서 20승 11무 10패 승점 71점을 차지 남은 경기에 관계없이 준우승을 확정하면서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세리에 A로 승격하였다.

그리고 강등 후보 1순위답게 2015-16 시즌에 4전 전패를 당하고 있다가 5차전 유벤투스 원정에서 1-1로 비겨 첫 승점 1점을 차지했으며 다음 경기에서 엠폴리를 잡고 탈꼴찌에 성공했으나 다시 라치오에 패하면서 7라운드까지 1승 1무 5패로 19위에 그쳐 여전히 강등권인 상황이다. 이후 16라운드 부터 쭉 강등권 순위였고, 결국 최종성적 8승 7무 23패 19위로 강등확정이 되었다.

승격하여 2018-19 시즌 세리에 A에 참가했으나 5승 10무 23패, 승점 25점으로 다시 19위로 강등 당하고 말았다.

29득점 69실점이라는 골득실 -40이라는 처참한 성적이었는데 20위로 강등당한 키에보 베로나와 골득실이 10점 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2019-20 시즌 세리에 B에서 8위라는 성적을 거두며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승격 플레이오프 결승전에서 스페치아 칼초와 붙어서 합계 1-1로 끝났지만 세리에 B 리그 순위와 승점 부문에서[1] 스페치아보다 낮게 마무리를 하는 바람에 승격에 실패하고 말았다.

2022-23 시즌 세리에 B 1위로 순항하고 있다. 그리고 2023년 5월 1일, 레지나를 3-1로 제압하고 4년만에 세리에 A로 승격을 확정하여 2023-24 시즌부터는 세리에 A에서 뛰게 되며 5월 13일에는 제노아와의 경기에서 3-2로 승리하면서 세리에 B에서 역사상 처음으로 우승했다.

2023년 여름 이적시장에서 이승우를 눈여겨본다는 기사로 인하여 한국 축구팬들에게 이름이 알려지기도 했다. KBS 스포츠 - 이승우 세리에 A 이적설 “프로시노네 영입 제안은 사실”

2023-24 시즌 에우세비오 디프란체스코 감독을 선임하고 상위 클럽들의 유망주들을 다수 임대해 오는 등 승격 첫 시즌에 대비하였으나 최종 8승 11무 19패 승점 35점을 기록, 마지막 라운드인 38R까지 잔류 경쟁을 펼쳤으나 최종전에서 마찬가지로 잔류 경쟁을 펼치던 파비오 칸나바로 감독의 우디네세 칼초에게 0-1로 패배하며 18위가 확정되어 한시즌만에 다시 세리에 B강등되었다.

2.1. 요약

  • 1부/ 세리에 A: 2015-2016, 2018-2019, 2023-24 (3시즌)

3. 스쿼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d0><tablebgcolor=#fd0> 파일:프로시노네 칼초 로고.svg 프로시노네 칼초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3-24 시즌 프로시노네 칼초 스쿼드
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피에를루이지 프라탈리 Pierluigi Frattali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리카르도 마르키차 Riccardo Marchizza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마르코 브레시아니니 Marco Brescianin
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칼레브 오콜리 Caleb Okoli [A]
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시모네 로마뇰리 Simone Romagnoli
7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FW 하이메 바에스 Jaime Báez
8 파일:세네갈 국기.svg MF 뎀바 세크 Demba Seck [I]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주세페 카소 Giuseppe Caso
11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FW 마르빈 쿠니 Marvin Çuni
12 파일:브라질 국기.svg MF 헤이니에르 제주스 Reinier Jesus [C]
13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DF 마티아시 카만젝파히치 Matjaž Kamenšek Pahič
1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프란체스코 겔리 Francesco Gelli
1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루카 가리타노 Luca Garritano
17 파일:조지아 국기.svg FW 기오르기 크베르나제 Giorgi Kvernadze [D]
18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MF 마티아스 소울레 Matías Soulé [B]
1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나디르 조르테아 Nadir Zortea [A]
20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폴 리롤라 Pol Lirola [E]
21 파일:모로코 국기.svg MF 압두 하루이 Abdou Harroui
22 파일:가봉 국기.svg DF 앙토니 오요노 Anthony Oyono
23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DF 세르지오 칼라이 Sergio Kalaj
24 파일:모로코 국기.svg MF 메흐디 부라비아 Mehdi Bourabia
26 파일:모로코 국기.svg FW 수피안 비다위 Soufiane Bidaoui
27 파일:독일 국기.svg FW 아리욘 이브라히모비치 Arijon Ibrahimović [F]
3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일라리오 몬테리시 Ilario Monterisi
3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미켈레 체로폴리니 Michele Cerofolini
3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미켈레 아벨라 Michele Avella
3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루카 마치텔리 Luca Mazzitelli 주장
45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MF 엔소 바레네체아 Enzo Barrenechea [B]
70 파일:모로코 국기.svg FW 왈리드 셰디라 Walid Cheddira [G]
8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스테파노 투라티 Stefano Turati [H]
구단 정보
회장: 마우리치오 스티르페 / 감독: 에우세비오 디프란체스코 / 구장: 스타디오 베니토 스티르페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최종 수정 일자: 2023년 10월 1일

[A] 아탈란타 BC에서 임대 [I] 토리노 FC에서 임대 [C] 레알 마드리드 CF에서 임대 [D] FC 콜케티-1913 포티에서 임대 [B] 유벤투스 FC에서 임대 [A] 아탈란타 BC에서 임대 [E]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에서 임대 [F] FC 바이에른 뮌헨에서 임대 [B] 유벤투스 FC에서 임대 [G] SSC 나폴리에서 임대 [H] US 사수올로 칼초에서 임대

}}}}}}}}} ||

4. 기타

이탈리아의 넷상에서는 Frosinone culone라는 이 유행하고 있다.


[1] 두 팀의 승점이 동일할 경우에는 연장전으로 돌입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