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그람 양성균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05em" |
실험실 알고리즘 기준으로 분류 | ||||
구균 (Cocci) |
카탈레이스 양성 Catalase (+) 포도상구균 (Staphylcoccus) |
응고효소 양성 Coagulase (+) | 황색포도상구균 (S. aureus) | ||
응고효소 음성 Coagulase (-) |
표피포도상구균 (S. epidermis) 부생성포도상구균 (S. saprophyticus) S. capitis S. haemolyticus |
||||
카탈레이스 음성 Catalase (-) 연쇄상구균 (Streptococcus) |
부분 용혈 (partial hemolysis) 녹색, α 용혈 |
폐렴구균 (S. pneumoniae) 녹색연쇄상구균 (Viridans sterptococci) |
|||
완전 용혈 (complete hemolysis) 투명, β 용혈 |
Group A:
화농성연쇄상구균 (S. pyogenes) Group B: 스트렙토콕쿠스 아갈락티아이 (S. agalactiae) 그 외: 스트렙토콕쿠스 디스갈락티아이 (S. dysgalactiae) |
||||
용혈 없음 γ 용혈 |
장내구균 (Enterococcus) 펩토사슬알균 (Peptostreptococcus) |
||||
간균 (Bacilli) |
아포 형성 X | 코리네박테리움 (Corynebacterium) · 리스테리아 (Listeria) · 에리시펠로트릭스 (Erysipelothrix) | |||
아포 형성 O | 클로스트리디움 (Clostridium) · 바실러스균 (Bacillus) | }}}}}}}}} |
포도상구균 葡萄狀球菌 | Staphylococcus |
|
|
|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에서 제공한 황색포도상구균 사진 | |
학명 |
Staphylococcus Rosenbach 1884 |
분류 | |
<colbgcolor=#bff4ff><colcolor=#000> 역 | 세균역 (Bacteria) |
미분류 | 그람 양성균 |
문 | 후벽균문(Firmicutes) |
강 | 간균강(Bacilli) |
목 | 간균목(Bacillales) |
과 | 포도상구균과(Staphylococcaceae) |
속 | 포도상구균속(Staphylococcus) |
[clearfix]
1. 개요
Staphylococcus속의 세균들을 지칭한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현미경상에서 관찰했을 때 포도송이가 붙어 있는 모양을 연상시키기에 이렇게 명명되었다. 종종 헷갈리는 사람들이 있는데 '포도 상구균'이 아니라 '포도상 구균'이다.[1][2]이 속의 세균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피부에 항상 눌러앉아있는 피부상재균의 대표주자인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이며, 다른 포도상구균 속 세균들 또한 대부분 피부상재균들이다. 그야말로 인류의 영 좋지 않은 친구(?) 중 대표격으로 꼽아도 무리가 없는 균들이며, 평소에는 별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나, 건강 상태가 악화 혹은 외상 및 각종 감염 상황으로 인해, 이놈들이 인체의 1차적 방어선인 피부를 피해서 침입하는 상황에서는 심하면 치명적인 수준까지의 독성을 보일 수 있는 골칫덩이다. 더군다나 포도상구균 부류가 워낙 종류도 많을 뿐더러, 항상 피부에 눌러앉아있는 놈들이다보니 이놈들을 안 만날 곳이 없다.[3] 결국 인간이 개발해낸 항생제에 끄떡없는 심각한 내성균을 잔뜩 배출하는 정말 지긋지긋한 기회감염균이다.[4]
공통적으로 그람 양성균이며, 조건부 혐기성(Facultative anaerobic)이며[5] Catalase 검사에 의해 연쇄구균(사슬알균)과 감별진단할 수 있다.
식중독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세균으로 잘 알려져있다.
2. 종류
종류로는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표피포도상구균(S. epidermidis), 용혈포도상구균(S. hemolyticus), S. hominis, S. lugdunensis, S. schleiferi, 부생성포도상구균(S. saprophyticus), S. xylosus 등이 있다.2.1. 황색포도상구균
자세한 내용은 황색포도상구균 문서 참고하십시오.2.2. 표피포도상구균
자세한 내용은 표피포도상구균 문서 참고하십시오.2.3. 부생성포도상구균
자세한 내용은 부생성포도상구균 문서 참고하십시오.젊은 여성에서 방광염( 요로감염증)을 일으켜 배뇨곤란이나 농뇨증의 원인이 된다.
[1]
균들은 이름 앞 부분에서 균의 생김새나 분포 등을 알 수 있다. staphylo는 포도 모양으로 뭉쳐있는 형태고 coccus는
구균. 즉, 동그란 균이다.
[2]
뭉쳐 번식했을 때 포도(
葡
萄) 모양(
狀)의 둥근(
球) 균(
菌)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3]
피부에 항상 눌러앉아 있다보니 간병인이나 방문객을 통해서 소독 절차를 피해 들어오기 매우 쉽기도 하다.
[4]
메티실린 내성균도 포도상구균류에서 나왔고 반코마이신 내성균도 포도상구균류에서 나왔다.
[5]
이놈들이 인체 내부로 침입하는대 성공할 경우 매우 골치아파지는 이유 중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