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스타크래프트에서 테란이 사용하는 전략. 말 그대로 사이언스 베슬을 빨리 확보하는 체제를 말한다. 최소한의 방어로 테크를 최대한 빠르게 당기는 것이 핵심이기 때문에, 테저전의 경우 성향이 유사하면서도 좀 더 큰 상황을 포함하는 1/1/1 빌드로 편입된지 오래고, 테프전의 경우 원래 패비터에 대한 대응책으로 쓰였으나 패비터를 상대로 좀 더 보편적이면서 더 좋은 해결책이 연구된 후 패비터가 사장되며 완전히 사장된 전술.2. 저그전
저그를 상대로 하는 빠른 베슬은 뮤탈리스크 퇴치가 주 목적이다. 뮤탈이 제 위력을 발휘하기 위해선 반드시 뭉쳐다녀야 하므로 이레디에이트에 극도로 취약하며, 운 좋으면 뮤탈이 죄다 걸레짝이 되고 저그가 용케 병걸린 뮤탈을 일찍 골라내도 심리상 평상시처럼 맘 놓고 활개를 치기 힘들기 때문에 베슬을 적진에 갖다바치지 않는 이상 빠르게 뮤탈시대를 종결시키고 주도권을 가져올 수 있다.정확하게는 3해처리 뮤탈을 목표로 한다. 2해처리 뮤탈은 뮤탈이 너무 일찍 떠서 본진 플레이가 아닌 이상 열심히 테크 올려봤자 뮤탈이 먼저 들이닥치므로 그냥 수비에 집중하는것만 못하기 때문. 저그가 빠르게 가스를 올린다면 정직하게 병력+터렛으로 막고 진출을 노려보는게 좋다.
발리오닉 등 발키리를 사용하는 체제와 목적은 같지만 내용은 전혀 다르다. 발키리는 공대공만 된다는 것에서 유추가 가능하듯 오로지 뮤탈만을 저격한 체제로, 베슬보다 타이밍이 빠르기 때문에 일찌감치 마린 부대의 진출을 노려볼 수 있고, 1/1/1을 타는데 상대가 2햇뮤탈이면 광속으로 발키리를 뽑아 어느정도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운영이 난해하고 저그가 뮤탈을 안 뽑는 체제라면 단단히 꼬여버리는 단점이 있다. 반면 베슬은 뮤탈을 몰아내는 타이밍이 한 박자 느려 진출도 그만큼 미뤄지고 저그의 3멀티 조기 견제도 불가능하지만 베슬이 러커의 슈퍼 카운터 유닛이기 때문에[1] 일단 진출하기만 하면 열심히 하이브 올리고 있을 저그는 엄청난 압박을 받게 된다. 와닿기 쉽게 게임이 흘러가는 상황을 보면 발리오닉은 3멀티 언덕 위에 러커를 올리기 전에 달려가서 해처리를 날릴 때 패스트 베슬은 멀티를 수비하는 러커를 이레디로 지우고 입구를 돌파해서 3멀티를 날리거나 탱크를 동반해서 앞마당을 포격한다.
시작 빌드는 배럭더블, 1/1/1로 나뉘며, 내용은 조금 다르지만 뮤탈 타이밍에 베슬을 띄우는 것은 같다. [2] 배럭더블로 시작하는 패스트 베슬은 배럭더블의 부유함과 안정성을 잘 활용할 수 있지만 뮤탈이 한 타이밍 활동할 기회를 주고, 지상병력이 빈약해 능동적인 압박이 불가능하다는 약점이 있다. 반면 1/1/1은 뻘쳐와 레이스or드랍쉽을 이용해 주도권을 쥐고 시작하면서 뮤탈이 날아오자마자 이레디를 뙇 뿌릴 수 있는 대신 자원 여유가 별로 없어서 운영이 까다롭고 지상병력도 없다시피 해서 저그가 쥐어짜서 몰아붙이는 쇼부에 취약하다는게 단점.
최근에는 저그들이 1/1/1에 하도 시달린 나머지 아예 베슬을 뽑을 여지를 안 주는 2해처리 빌드가 대세가 되었다. 그래서 요즘 무턱대고 111을 했다간 대놓고 오는 발링과 후속 뮤탈에 뚝배기가 깨지며, 배럭더블 후 빠른 베슬은 저그에게 3가스를 너무 프리하게 허용하고 퀸즈네스트랑 히드라리스크 덴을 동시에 지어버리면 디파일러가 광속으로 뜨기 때문에 빠른 베슬은 그렇게 자주 보이지 않는다.
3. 프로토스전
프로토스전에서 베슬을 뽑는 이유는 순전히 아비터 때문이며, 따라서 패스트 베슬은 패스트 아비터를 노린 빌드라고 볼 수 있다. 현역 시절엔 정명훈이 주로 사용했으며[3] 아프리카로 넘어와서는 같은 팀이었던 최호선이 주로 사용한다.앞마당을 가져간 뒤 원팩 상태에서 곧장 아머리를 올리고 칼같이 공업을 눌러준다. 골리앗을 몇기 찍어서 셔틀과 옵저버를 견제하고 3팩토리까지 늘려준 뒤 공업이 절반 정도 완성되면 스타포트와 사이언스 퍼실리티를 순서대로 올려서 공1업이 완료되는 즉시 공 2업을 누르는것이 핵심이다. 이후로는 트리플을 확보하면서 업테란으로 넘어가거나 트리플 대신 팩토리를 늘려 21업 타이밍 러쉬를 노려보는 식으로 운영한다. 스타포트를 빨리 올리기 때문에 드랍십을 활용해주는 것도 좋다.
아니 이거 그냥 업테란 아니냐 싶겠지만 업글을 위해 사이언스 퍼실리티를 광속으로 올리는 김에 베슬까지 뽑아서 일찌감치 아비터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차이점이다. 아비터를 일찍 뽑은 게 의미가 없어지니 테란이 한결 편안해진다.
단점으로는 초반에 원팩 아머리 류의 빌드가 그렇듯이 원팩 상태가 오래 유지되기 때문에 셔틀을 동반한 찌르기에 취약하다. 그렇기 때문에 스캔으로 정찰을 철저히 하며 3팩까지 올리고 보는 것인데, 프로토스가 쳐들어오지 않고 넥서스만 마구 짓는다면 딱히 할 게 없어진다.
이영호식 패비터 대처법은 프로토스 병력이 별로 없다는점에서 착안해 역으로 이쪽이 펑펑 째는 것인데, 테란의 최신 빌드는 죄다 이영호가 선도하는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째는것과는 거리가 먼 본 빌드는 옛날 개념 취급받고 있으며, 그래서 패비터를 노린 21업 타이밍 러쉬에나 가끔 쓰인다.
4. 스타크래프트 2
스2에서는 테크상 밤까마귀를 빠르게 뽑는 전략으로 계승되었다. 주로 스카이 저그나 목동 저그[4]를 견제하기 위해 시도한다.
[1]
이 덕에 선러커 상대로도 할만하다. 지상병력이 취약한 타이밍에 쑥 밀려버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진출 타이밍은 잡히기 때문. 그래서 저그는 이레디로 러커 몇기가 죽어도 문제없을만큼 러커 다수를 생산해야 한다.
[2]
111 이후 베슬을 띄우는 건 그냥 111이라고 하지 굳이 패스트 베슬이라고 부르는 거 같지는 않다는 말이 있지만, 111이후 꼭 패스트 베슬을 가라는 법은 없고 베슬을 뽑지 않고 벌처드랍이나 레이스 등을 활용할 수 있다.
[3]
박카스 스타리그 2010 결승전 1세트에서
송병구를 이길 때도 이 빌드를 사용했다.
[4]
감염충과 살모사를 먹통으로 만들고 울트라의 떡장갑을 벗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