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2 09:21:36

청년팔원선

팔원선에서 넘어옴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white,black> 본선 철도
평라선 강원선 금강산청년선 만포선 백두산청년선
청년이천선 평남선 평덕선 평부선 평의선
함북선 북부내륙선 황해청년선
제1지선 철도
대건선 은산선 천성탄광선 고원탄광선 금야선
신흥선 서호선 창흥선 북청선 두언선
단풍선 금골선 일탄선 고참탄광선 대향선
강덕선 청진항선 라진항선 천내선 문천항선
송도원선 대각선 조양탄광선 봉천탄광선 개천탄광선
청년팔원선 룡문탄광선 강계선 운하선 백무선
오시천선 삼지연선 평양화전선 보산선 대안선
룡강선 도지리선 서해갑문선 명당선 고비선
덕산선 삼등탄광선 령대선 재동선 솔골탄광선
관하선 득장선 잉포선 덕남선 장상선
송림선 봉산선 룡성선 안주탄광선 개천선
구봉산선 평북선 철산선 백마선 다사도선
덕현선 무산선 세천선 고건원선 춘두선
홍의선 두만강선 승리선 운봉선 은률선
배천선 옹진선 금강산청년선 구성선 압록강선
제2지선 철도
직동탄광선 성산인입선 장진선 만덕선 신성선
회둔탄광선 후산선 청남선 녕변선 삼공일선
신온전용선 수풍선 장연선 정도선 부포선
회령탄광선 안천전용선
폐선된 철도
최가령선 명학선 형봉선 보천선 청화력선
잠진리선 마평선 석하리선 토해선 운산선
과일선 토해선 태탄선 리원선 원산항선
개천청년선 서해리선 서창선 룡암선 시정선
남동선 박천선 강안선 홍군선 동포선
성평선 회암선 안골선 금천탄광선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
<colcolor=#fff><colbgcolor=#ED1C27> 청년팔원선
靑年八院線 | Chŏngnyŏn Pharwŏn Line
파일:attachment/청년팔원선.jpg
노선 정보
분류 제1지선 철도
기점 구장청년역
종점 구성역
역 수 15개
개업 1954년 (구장청년 - 팔원청년)[1]
1976년 (팔원청년 - 구성)
소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운영
사용차량 불명
차량기지 불명
노선 제원
노선연장 94 ㎞
궤간 1,435 ㎜
선로구성 단선
사용전류 전 구간 비전철화
신호방식
최고속도 불명
표정속도 불명
통행방향 왼쪽
개통 연혁 1954. 향장 ↔ 팔원 (덕팔선)
1976. 팔원청년 ↔ 구성 (노선 연장)

1. 개요2. 역사3. 지선4. 역 목록

[Clearfix]

1. 개요

구장청년역 구성역을 연결하는 철도. 평북선 만포선, 평덕선에 접속된다.

평양 등으로 이동할때 돌아가고 중요한 연선 지역이 없어서 수요가 별로 없다. 간선철도를 연결하는 기능도 청년이천선, 북부내륙선에 비하면 별거 안된다. 청년이천선은 선로상태는 시망이지만 강원선 평부선을 연결하는 노선이라서 남한에서 라진이나 블라디보스토크방면으로 열차를 운영할때 꼭 필요한데 이건 그것도 아니다.

다만, 평양으로 가려면 삥 돌아가지만 개천시, 순천시, 평성시 등으로 가려면 이 쪽으로 빠지는 편이 거리상으로는 빠르긴 하다. 문제는 이 선로는 전혀 전철화가 되어 있지 않아서 전기기관차가 갈 수 없다는 것. 하긴 북한은 현재 전기기관차가 유명 무실한 상태라고는 하지만...

옛날 지도에는 개천과 구성을 잇는 노선만 수록된 지도도 있다. 실제로 개천에서 이어지는 노선이 있었지만 폐선. 이 노선을 구성선이라고 하는 자료도 있다. 이것은 핵 시설이 중간에 놓인 뒤 끊어 놓아서 핵을 포기했다고 구라를 치려고 한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어디까지나 추측으로만 받아들일 것.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평덕선 문서
2.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본래 1940년 덕천 - 구장 - 팔원에 이르는 덕팔선 건설이 계획되었고, 덕천역 너머로 노선이 착공됐으나 1945년 광복이 맞이하면서 덕팔선 건설은 장상리역까지만 준공되고 공사가 중단된다.

그러다가 광복된 지 얼마 안 돼 38선 이북으로 소련군정이 들어서면서 기존 장상리역 구간을 별도의 지선으로 분류하고 향원역에서 새로 덕팔선 연장이 재개됐으나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면서 공사가 중단되었고, 휴전협정이 체결된 이후인 1954년에야 향원 - 구장청년 - 팔원에 이르는 덕팔선이 준공 및 개통된다.

그러다가 1976년 팔원청년 - 구성역 사이의 선로가 새로 깔렸고, 덕팔선의 덕천 - 구장청년 구간은 평덕선, 구장청년 - 구성 구간은 청년팔원선으로 분류되기 전까지는 덕팔선이라는 명칭은 계속 유지되었다.

3. 지선

지선으로는 분강역으로 가는 지선[2]과 태천 원자력 발전소로 가는 노선이 있다. 전자의 흔적이 바로 팔원청년역에서 분기하는 녕변선이고, 후자는 연중역 인근에서 분기.

4. 역 목록

기점거리 역간거리 역명 분기선 소재지
0.0 0.0 구장청년 球場靑年 만포선
평덕선
평안북도 구장군
12.5 12.5 묵 시 墨 時
16.7 4.2 사 오 沙 塢
23.8 7.1 하 초 下 草 평안북도 녕변군
31.6 7.8 녕 변 寧 邊
40.1 8.5 팔원청년 八院靑年
45.4 5.3 대 장 大 將
52.3 6.9 신 룡 新 龍 평안북도 태천군
59.8 7.5 연 중 延 中
64.8 5.0 태 천 泰 川
- - 산 성 山 城
80.7 15.9 어미현 魚尾峴 평안북도 구성시
86.9 6.2 동 산 東 山
94.0 7.1 구 성 龜 城 평북선


[1] 덕팔선으로 개업. [2] 본래 개천으로 가는 노선이었는데 영변 핵시설 때문에 없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