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6 19:20:23

파워리프팅

파워 리프팅에서 넘어옴
파일:패럴림픽 엠블럼.svg 하계패럴림픽 종목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colbgcolor=#ffffff,#191919> 파일:logo-IWGA.png 월드 게임 종목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가라테 당구 댄스 스포츠 라크로스 인라인 스케이트
무에타이 볼링 비치핸드볼 수상스키
스모 스쿼시 스포츠 클라이밍 양궁
(컴파운드 보우)
에어 스포츠
오리엔티어링 원반던지기 인명구조 유러피언 주짓수 줄다리기
체조
(비올림픽 5개 부문)
카누 폴로 코프볼 파워리프팅 플로어볼
피스트볼 핀수영 플래그 풋볼
}}}}}}}}} ||

파일:파워리프팅 픽토그램.svg 파워리프팅
Powerlifting
스포츠 정보
종류 역도
경기 장소 실내
종주국 미국, 영국
패럴림픽 등재 여부 등재됨 (2021년 기준)

1. 개요2. 파워리프팅 기록3. 파워리프팅 스쿼트 룰4. 역도와의 차이점5. 관련 단체6. 한국의 파워 리프팅7. 관련 인물
7.1. 국외7.2. 국내
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스트렝스 스포츠의 한 종류로 중량을 들어 힘을 겨루는 경기. 1950년대 미국 영국 등지에서 성행하던 odd lift 에서 유래했다.[1]

웨이트 운동하는 사람들이 일명 3대 운동으로 꼽는 스쿼트, 벤치 프레스, 데드리프트 3가지 종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자 선수는 11체급 여자 선수는 10체급으로 구분된다. 연령대별 구분도 있으며 보통 쥬니어급, 시니어급, 마스터급, 오픈급으로 나뉜다. 또한 헬스매니아(멸칭으로는 헬창)가 마치 당구장 감성처럼 3대 합계 중량 100단위를 기준으로 자기들끼리 서열을 가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로 일반인들이 들어본 3대 500 이하 언더아머 착용금지 같은 것들 말이다.

일반인들에게도 익숙한 보디빌딩이 외적인 근육미를 중요시하는 것과[2]달리, 3대 중량 운동을 얼마나 무겁게 드는지가 관건인 기록 경기.[3] 실제로 참가 선수들 중 스트롱맨 선수들이 많으며 역삼각형 상체보다 사각형 상체에 가깝다.[4]

전통적인 강국은 미국 영국,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힘 잘 쓰는 종목이 인기가 많고 체육관 문화가 널리 정착된 나라들과, 북유럽하고 일부 남유럽[5](특히 포르투갈) 국가들과 동유럽국가들이 있다. 남미국가들 중에서는 브라질, 멕시코가 우세하고, 아시아에서는 일본, 튀르키예, 몽골이 압도적이며 UAE, 이란같은 나라들이 강세다. 의외로 역도 강국인 조지아 등에서의 인프라는 희박한데, 이들 국가는 웨이트 리프팅에 재능이 있으면 차라리 올림픽 선수라는 비교도 안 되는 영예를 가질 수 있는 역도로 가기 때문. 특히 매 올림픽마다 쓸어가는 역도 메달 갯수를 보면... 마찬가지로 아일랜드도 차라리 스트롱맨 대회에 진출하기 때문에 파워리프팅으로는 별로 안 유명하다.

중국이 별로 안 한다는 글이 있었는데 일반 생활체육이면 몰라도 벤치프레스만 하는 패럴림픽에서 1위다. https://en.m.wikipedia.org/wiki/Powerlifting_at_the_Summer_Paralympics .

대회마다 판정방식과 허용복장,[6] 약물 ( 도핑)제한도에 큰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대회 기록에도 큰 차이가 있으나 보통 세계기록으로 제시되는 건 가장 무겁게 나온 기록.

올림픽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비 올림픽 종목들로 이뤄진 월드 게임의 정식 종목이다. (IPF만이 월드게임이 인정하는 협회다)

월드게임에서의 메달 순위 https://en.m.wikipedia.org/wiki/Powerlifting_at_the_World_Games

또한 패럴림픽 정식 종목이다.

IPF(International Powerlifting Federation, 국제파워리프팅연맹 공식 홈페이지)

대한민국 지부인 (사)대한파워리프팅연맹 홈페이지 바로가기.

WPC-AWPC(World Powerlifting Congress)세계 파워리프팅 협의회 대한민국 지부가 WPC-KOREA 이다.

2. 파워리프팅 기록


세계기록-2022년 4월 9일 기준-
  • 스쿼트 : Nathan Baptist( 미국)의 580kg (1287lbs)
  • 벤치프레스 : Jimmy Kolb( 미국)의 599kg (1320.0lbs)[7][8]
  • 데드리프트 : Krzysztof Wierzbicki의 502.5kg.[9][10][11]
  • 토탈 : Dave Hoff( 미국)의 1407.5kg (3103.0lbs)

기록을 보면 알겠지만 이게 정말 인간이 들 수 있는 무게인가 싶은 수준이다. 다만 위의 기록은 벤치 수트로 몸을 압박해 무게를 더 많이 들 수 있게 하는 장비를 입은 상태이다.[12][13] 아무것도 착용하지 않고 맨몸으로 하는 Raw대회의 기록은 따로 있다.[14]

RAW대회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2024년 1월 4일 기준-
  • 스쿼트-니슬리브 : Ray Williams( 미국)의 490kg (1080lbs)
  • 스쿼트-니랩 : Vlad Alhazov( 이스라엘)의 525kg (1157lbs)
  • 벤치프레스 : Julius Maddox( 미국)의 355kg (782lbs)
  • 데드리프트 : Danny Grigsby( 미국)의 487.5kg (1074lbs)
  • 토탈-니슬리브 : Jesus Olivares( 미국)의 1152.5kg (2540.8lbs)
  • 토탈-니랩 : Daniel Bell( 미국)의 1190kg (2623lbs)

스쿼트의 경우, RAW 대회여도 무릎보호대의 종류에 따라 기록이 달라진다. 니슬리브는 원통형, 니은 동여매는 형태를 말하는데 세계 기록에서 보듯 장력을 좀 더 강하게 줄 수 있는 니랩이 좀더 기록이 잘나오는 편이다.

IPF 대회 성적. 최근 2011~2015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노르웨이와 함께 금메달을 휩쓸고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world_championships_medalists_in_powerlifting_(men)

74KG급의 폴란드 선수, 노르웨이 2명, 에콰도르 1명, 105KG급의 룩셈부르크 선수, 불가리아 1명, 미국 1명 말고는 모두 러시아(17번), 우크라이나(12번) 선수다.

3. 파워리프팅 스쿼트 룰

파일:attachment/powerlifting_squat_rule.jpg

견착 방법은 로우바든 하이바든 상관 없다. 앉는 깊이의 경우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고관절이 무릎보다 아래로 내려가야 횟수로 쳐 준다. ATG(역도식 풀스쿼트)로 하지 말라는 법은 없고 ATG로 하는 선수도 존재하긴 하지만 아무래도 파워리프팅 스쿼트 하면 고관절이 무릎보다 약간 내려가는 정도가 일반적이다.

4. 역도와의 차이점

가장 눈에 띄는 차이는 측정 요소이다. 익히 알다시피 역도는 인상(스내치), 즉 데드리프트에서 오버헤드 스쿼트로 연결하는 동작과, 용상(클린 앤 저크), 즉 데드리프트에서 프론트 스쿼트로 연결한 뒤 저크로 머리 위로 들어올리는 동작 등 두 개의 세부종목으로 측정하여 그 기록의 합계로 경쟁한다. 파워 리프팅과 비교할 때 역도의 측정 요소들은 2~3개의 기본 동작을 연결시켜야 하므로 동작 간 전환 과정에서 비교적 고도의 테크닉이 필요하다.

따라서 역도는 힘도 필요하지만 순간적인 폭발력과 균형 감각, 유연성 그리고 기술적인 요소도 중요한 운동이다. 물론 파워리프팅에서도 이러한 요소들이 전혀 비중이 없지는 않으나 파워리프팅은 순수한 힘, 즉 스트렝스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뭐가 우세하다고는 할 수 없고 운동 목적에 따라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초기에는 역도(Olympic weightlifting)와 파워리프팅을 구별하지 않았고 모두 같이 훈련했다고 한다. 그리고 지금도 훈련방법론적으로 많은 부분이 겹치기도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역도(weightlifting)와 파워리프팅의 특성을 감안하면 둘의 영문명을 바꾸는 것이 더 타당하다는 의견이 종종 나오기도 한다. 물론 훨씬 더 권위 있고 역사도 깊은 역도 쪽에서 본인들의 오랜 이름을 바꿔줄 리 없으니 그냥 '원론적으로는 바꾸는 게 맞다' 정도의 주장이지만...이걸 강하게 주장하는 게 최근 한국에서도 어느 정도 이름이 알려진 스트렝스 트레이닝 단체 스타팅 스트렝스의 수장 마크 리피토. 주장의 근거는 매우 리피토답게 물리학/역학에서 찾고 있는데 파워 리프팅의 Power 를 고전물리학의 Power, 즉 일률로 봤기 때문이다.

그리고 역도는 사실상 역기에 힘을 가해 위로 던지고 역기가 떨어지기 전에 자세를 바꾼 뒤 그 밑으로 들어가 잡아내는 운동이다.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큰 가속도를 요구하고 이를 위해 순간적으로 큰 일률이 나오게 되는 스포츠는 역도다.

물론 위에서도 말했듯이 어디까지나 소수의 시각이며 단어에 물리학적인 의미를 과하게 부여했다 보는 쪽이 다수다. 다만 이 토의 자체가 역도와 파워리프팅의 운동으로서의 특징을 물리학적으로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한 번쯤 주장을 들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5. 관련 단체

  • IPF(International Powerlifting Federtation) - 국제파워리프팅연맹. 대표적인 파워리프팅 단체이며, 올림픽 진입을 목표로 아마추어를 지향한다. 그만큼 적용되는 룰이 매우 엄격하기도 유명하다.[15] 한국은 IPF KOREA, KPF가 IPF 정식 한국 지부이다.
  • WPC(World Powerlifting Congress) - 세계 파워리프팅연맹. 파워리프팅의 대표적인 단체이며 생활체육의 흥행과 더불어 미국, 러시아, 유럽, 아시아의 나라에서 세계선수권, 대륙간대회, 아시아 선수권 등 각 가맹국의 국내대회를 개최하고 WPC 세계 연맹은 AWPC와 연계되어 있다. 특히 AWPC 대회는 약물검사를 철저히 한다. 단 1회의 적발 시 영구 제명을 원칙으로 한다. WPC-AWPC KOREA, KWPC가 WPC 정식 한국 지부이다.
  • KPA(Korea powerlifting association) - 사단법인 한국파워리프팅협회 WPC, IPF와 달리 국내에서 독립적으로 창시된 단체이다. 파워리프팅매니아의 주 맴버인 POWERLIFTING MASTER 1 박승환 관장, 이재용 관장, 문지훈 관장을 중심으로 활동한다. 실력자 올드맴버가 많은 단체
  • KPL(Korea powerlifting) - 박승환 관장이 새롭게 만들어낸 한국파워리프팅 협회, 파워리프팅매니아 맴버들이 많으며, 유일하게 정부지원을 받는 단체이다. 2019년 9월 29일 첫 대회를 개최했으며, 대회 규모가 큰 편이다. 룰은 IPF보단 느슨하고 팔씨름연맹(KAA)과 협약 관계이다.
  • WPO
  • USAPL
  • USPA

6. 한국의 파워 리프팅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보디빌딩, 역도, 크로스핏 등. 다른 종목들에 비해서는 아무래도 상당히 마이너한 편이며 인지도가 없다. 그나마 3대 500 이하 언더아머 금지 등의 개드립이나, 래퍼 스윙스의 파워리프팅 도전, 각종 유튜버들 덕분에 종목에 대한 관심과 저변이 확대되고 있다. 약투 운동 이후 네추럴 운동인은 보다 많은 무게를 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보디빌딩식 운동을 즐기던 일반인들에게도 스트렝스 트레이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에 따라 파워리프팅과 보디빌딩을 조합한 파워빌딩식 트레이닝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며 파워리프팅이 점차 대중들에게도 퍼지고 있다. 특히 2010년대 후반 들어서 파워리프팅 공식 원판 등이 비치되어 있고 컨벤셔널 데드리프트를 할 수 있는 파워리프팅 체육관(트레인트루 등)이 하나 둘씩 생겨나고 있고, 일반 피트니스 클럽 중에서도 파워랙과 외국에서나 흔히 볼 수 있는 50kg 이상의 초고중량 덤벨이 비치된 곳들도 늘어나고 있는 게 이를 말해준다.[16]

다만, 한국에 난립하는 단체들의 각종 병크, 삽질과 헛짓거리로 인해 일선 파워 리프팅 단체들은 장르의 확대보다는 밥그릇을 철밥통으로 만드는 데에만 혈안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후술할 유튜버 어썸블리스의 징계 사건에서도 알 수 있지만, 국내 원조 단체인 IPF 역시 파워리프팅 갤러리를 위시한 상당수 국내 파워리프팅 유저들 사이에서는 작은 밥그릇만 지키려 드는 멍청한 집단 취급을 받고 있다. 꼰대 조직 취급받는 중, 대회 운영 수준에 대한 비판, 파워 리프팅 상표권 등록을 했다고 거짓말 한 것이 들통남

IPFK는 80만원이라는 비싼 선수 등록비를 받고 있으나 파워리프팅 커뮤니티에서는 80만원 값어치를 전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대다수인 상황이고, 실제로 그들의 대회 운영이나 선수 관리 면에서 심각하게 결함이 많다. 각종 단체들이 각자의 이익만을 위해 활동하다보니 국내에도 3대 700을 넘기는 재야의 고수들이 많음에도 선수 등록이나 대회를 나가지 않고 혼자 운동하는 경우가 허다하며, 이런 협회들이 취미로 리프팅을 운동하는 사람들의 접근까지 막고 있어서 기존 협회 선수층 자체가 매우 얇고 고인물화가 진행중이다. 3대 710kg의 파워리프터 동윤 - 내가 파워리프팅 단체에서 활동하지 않는 이유
어썸블리스 - 인스타 DM으로 이런게 날라왔습니다... 황당하네요 ㅋㅋㅋㅋ 흑자헬스 - 스포츠 '연맹'이 또 '연맹' 해버렸다
19년 12월에 IPF 선수이자 유명 유튜버로서 파워리프팅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던 어썸블리스가 일개 체육관의 친선대회라고 하기도 민망한 기록 측정 행사에 나가려고 하자 IPF 측에서는 '타 단체 대회는 나갈 수 없으니 만약 나간다면 징계를 내릴 것'이라며 치졸하게 경고하고 그가 기록을 측정하자 그것을 보고 있었다는 듯이 인스타 DM으로 징계 공고를 내리는 추태를 보여 비판의 의견이 매우 많은 상황이다. 협회와 긴밀하게 연결된 일부 선수들은 협회를 감싸고 돌고 있으나 역시 이에 대한 대중들의 시선은 차갑기만 하고, 이 사건 이후 몇년간 방치되어 있던 IPFK 홈페이지 게시판에 실망스럽다는 항의의 게시글이 몇 개 올라왔지만 감쪽같이 해당 게시글만 정리하는 추태를 보여준다.

IPF가 이런 삽질을 하는 사이 WPC와 USAPL이 자신들이 개최한 대회에서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며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한국에서 리프팅이 가능한 파워리프팅 전문 체육관은 # 참고.

7. 관련 인물

7.1. 국외

  • 댄 그린
  • 로니 콜먼 - 현재는 보디빌더이지만, 한때는 파워리프터였다. 그 때문인지 특이하게도 고중량으로 훈련한다.
  • 마크 벨
  • 마크 헨리 - 프로레슬링 데뷔 이전에는 무제한급 역도선수 및 파워리프터로 활동했다.
  • 마리우스 푸치아노스키 - 스트롱맨 활동을 하면서 동시에 파워리프터이기도 했다. 그래서 3대 중량도 1100에 가까운 엄청난 기록을 가지고 있다. 데드리프트 기록만 해도 420kg.
  • 데니스 시플렌코프 - 전 팔씨름 세계 1위지만 파워리프터를 하던 시절이 있다. 기록은 벤치프레스 290kg 스쿼트 320kg 데드리프트 350kg로 토탈 960kg.
  • 빅 보이 - 스트렝스 카르텔의 리더. 데드리프트 855파운드(387.8kg) 1회, 원암 덤벨로우 375파운드(170kg) 4회, 덤벨프레스 250파운드(113kg) 1회[17], 덤벨 숄더프레스 200파운드(90kg) 3회 등의 기록을 지니고 있다.
  • 빅 E - 프로레슬링 데뷔 이전에 파워리프터로 활동했다.
  • 스즈키 유스케 - 세계 벤치프레스 최강자중 하나로 최고 기록은 490.5파운드(=222.48706kg)
  • 스탠 에퍼딩
  • 폴 앤더슨 - 위의 마크 헨리처럼 역도선수와 파워리프터 양쪽에서 활동했다.
  • 휴고 기라드
  • 에릭 스포토 - 파워 리프터 중에서도 벤치 프레스만 중점으로 활동하는 선수다.
  • 스콧 멘델슨 - 유명한 파워리프터 중 한 명이며 비공식 기록으로 벤치 프레스가 544kg라 하는데 공식적으로는 465kg이고 raw를 기준으로 하면 330kg이다.
  • 베네딕트 마그누손 - The True Deadlift King이라 불릴 정도로 엄청난 데드리프터이다. 2011년 세운 1015lbs(460kg)의 무장비 데드리프트[18] 기록은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으며, 2016년에 Jerry Pritchett, Eddie hall과 같이 465kg의 스트롱맨 데드리프트 세계기록도 세운 바가 있다. 공식 3대도 1120kg이나 된다.
  • 미도테 다이스케 - 파워리프팅 불모지인 아시아에서 찾아보기 힘든 total 1000kg을 넘긴 일본의 파워리프터.
  • 에디 홀 - 데드리프트 500kg를 경신했다!!! (raw와 수트착용의 중간쯤이라 아쉽다.) raw 데드리프트 기록도 465kg으로 역시 세계최고였으나, 하프토르 비요른슨[19]이 472kg으로 갱신했다.
  • 하프토르 비욘슨 - 데드리프트 501kg를 경신했다!!! 에디홀이 들고 쓰러진것에 비하면 상당히 쉽게 들었다.
    (에디홀피셜 "나보다 힘들게 들어서 그걸로 만족한다", 참고로 둘이 2017년 WSM을 기점으로 앙숙관계이다)
  • 네이선 존스 - 전 wwe 프로레슬러이자 현 배우. 10대 시절 싸움꾼이었으며 범죄자 출신으로 교도소에서 옥내 파워 리프팅 대회에서 우승한 걸 계기로 출소후 파워리프팅이나 스트롱맨 대회 등 힘과 관련된 종목에 종사해 왔었다. 악력부터가 120kg대였던 만큼 파워 리프팅 기록 또한 상당했고 wwe 시절에 그와 경기를 가져봤던 셰넌 무어가 평가하기를 순수 힘으로 그를 이길 수 있을만한 레슬러는 거의 없다고 했을 정도.
  • 존 핵 - 남성 무장비 82, 90kg 최고기록 보유자이다. 2021년 9월 25일 -90kg 체급에서 스쿼트 340kg 벤치 프레스 263kg 데드리프트 402.5kg로 3대 합 1005.5kg을 달성하며, 3대1000kg와 컨벤셔널 데드리프트 400kg 달성자중 최저 체급 기록을 세웠다.
  • 제일런 허츠 - 고등학교 시절에 파워리프팅 선수였다고 한다. 대학교부터는 미식축구 쿼터백으로 뛰다가 필라델피아 이글스에게 지명되었다.
  • 마크 리피토 https://en.m.wikipedia.org/wiki/Mark_Rippetoe
  • 래리 휠즈
  • 호세 마리아누 - 포르투갈 출신 파워리프팅 선수로 호날두랑 데드리프트 대결을 펼쳤던 그 사람이다.
  • 마데이라 폰데스
  • 야반 쉴레만 - 튀르키예 국적 파워리프터로 50대인대도 불구하고 스쿼트 370kg, 벤치 프레스 295kg 데드리프트는 무려 496kg를 달성하였다.
  • 귀르반 쥘렉 - 튀르키예 국적 파워리프터

7.2. 국내

* 이 용 수 - WPC·AWPC KOREA회장
WPC·AWPC 파워리프팅 선수
크로스리프팅 대표
전: 역도선수
​1992년 국내부터 파워리프팅 시작
1993년 대만 아시아대회 처음 참관
전: IPF선수 및 국제심판
2000년 한국 최초 취득(Category 2)
전: 아시아 파워리프팅대회 국제심판 활동
전: IPF(APF) 아시아 기록 보유(마스터즈1 Squat –82.5kg 체급)
IPF(APF)아시아 대회 7번선수(98년 아시아및 2000년 아기타 월드대회포함) 출전중 03.04.05.06.07년 아시아대회에서
종목별및 토탈에서 S-금4, B-금1.은8, D-동7, 토탈 5개(은2.동3)획득하였으나 ipf korea 연혁란에는 삭제 되어있음?

전: ​WPC·AWPC 마스터즈 –82.5kg 체급
무장비(Raw),클래식무장비(Classic Raw)
싱글플라이(Single Ply),멀티플라이(Multi Ply)
모든 부분 세계기록 보유 경험
전: 90kg 체급 클래식무장비 Open스쿼트.합계.세계기록 보유경험

현: AWPC –90kg 체급 싱글플라이(Single Ply)
마스터즈 3 스쿼트. 데드리프트. 세계기록 보유
현: AWPC –90kg 체급 클래식무장비(Classic Raw)
마스터즈 4 스쿼트. 합계. 세계기록 보유
현: AWPC –82.5kg 체급 클래식무장비(Classic Raw)
마스터즈 4 스쿼트. 벤치프레스. 합계. 세계기록 보유
현: WPC –82.5kg 체급 클래식무장비(Classic Raw)
마스터즈 5 데드리프트. 합계. 세계기록 보유
아시아, 미국, 영국, 러시아, 동유럽 국제대회 19전 선수 출전, 50여 개의 메달 획득
두 번의 스쿼트 마스터즈 아시아기록 경신후 미국.유럽진출 WPC. AWPC 세계기록 28회 기록

* 구건회 - WPC·AWPC KOREA 소속. 국가대표 역도선수 출신으로 대한역도협회 부회장, 2006년 세계역도선수권대회 한국대표 선수단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도 70대라는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스쿼트150kg의 근력이 40대 못지않다고 할 정도로 운동을 매일 꾸준히 하고 있다.
* 김성국 - 보디빌더였지만, 파워리프터 출신이다.
* 김태남 - 보디빌더로 알려져 있지만, 파워리프터 출신이었다. 그가 많은 중량을 다루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볼수 있다. 2015년 10월 사망.

* 동윤 - 유튜버

* 정지윤 - WPC·AWPC KOREA 소속. 2017년 AWPC 유럽 파워리프팅 챔피언쉽 -110kg체급 클래식 무장비 부분 종합 금메달 획득

* 오삼정 - WPC·AWPC KOREA 소속. 2017년 AWPC 유럽 파워리프팅 챔피언쉽(모스크바) -125kg체급 클래식 무장비 부분 종합 은메달 획득
2017.6.2. 주니어 -125급 스쿼트 295kg 세계기록(현재. 보유중)

* 한원희 - 현 WPC·AWPC 파워리프팅 선수( ###)
2018 추계 WPC Korea -75kg 2위
2019 춘계 WPC Korea -67.5kg 1위
2019 AWPC WORLD -67.5KG 1위
2019 추계 WPC Korea -67.5kg 1위
* 문지훈 - 국내 파워리프팅 카페 파워리프팅 매니아의 운영자로 2011년 일본 고베에 열린 IPF 아시아 대회에 참가한 경험이 있으며 파워리프팅에 대한 사랑이 대단히 많은 인물이다. 그에 따라 파워리프팅에 대한 지식도 해박하며 기술이나 자세 코치를 해도 될 만큼 기술이나 자세적인 측면이 뛰어난 인물이다. 최근 화성바벨클럽이라는 리프팅 전문 체육관을 서동탄역 부근에 오픈하였다.

* 박승환 - 2011년 IPF ASIA 파워리프팅 120KG급에서 금메달 획득. 유튜브에서는 320KG 스쿼트와 벤치셔츠280KG 적응훈련 영상이 조회수가 높다. 최근 XTVN 더스트롱맨에서 한국파워리프팅협회(KPL) 심판으로도 출연했다. 나이 53세 팔둘레 53cm로도 유명하며, 한국파워리프팅협회( KPL)를 실질적으로 이끌어 가고 있다.

* 유우성 -105KG 체급에서 스쿼트 302.5KG, 데드리프트 30 7.5KG, 합계 775KG 기록보유.[20] 여담으로 대학교 2학년까지 역도를 했다고 한다.[21] 현재는 WPC KOREA 대표선수급으로 활약하고 있고 2021년 현재 아직 만31세로 비교적 젊은 선수이며 앞으로 미래가 기대되는 선수이다.

* 이대길(IPF KOREA 대표 선수)
협회의 교육이사이자 얼굴마담으로 있는 인물인데, 각종 논란으로 인해 파워 리프팅 유저들 사이에서 인식이 그리 좋지 않다.
* 이재용 -대한민국 파워리프팅 1세대 중 하나이자 파워리프팅 매니아 카페의 카페지기로 2011년 IPF 아시아 대회에 참가했던 경험이 있다. 파워리프팅뿐만 아니라 팔씨름에도 일가견이 있으며, 현재는 광주광역시에서 바디파워짐이라는 리프팅 및 팔씨름 전문 체육관을 운영중이다. 심지어 이 분의 딸도 2007년 당시 5살때 파워랙에 걸린 바벨에 매달려 턱걸이를 무려 4개나 했던 영상으로 헬스관련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된 적이 있다.

* 이토끼 - 해당 문서 참조
* 정영현 - 유튜버 어썸블리스로 알려져 있는 파워리프팅 선수. IPF KOREA 소속. 파워리프터라고 하면 흔히 떠올릴법한 외모와는 달리 미남에다 상당히 아담한 체구의 단신. 보디빌딩 대회 출전 경력도 있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을 졸업자. 유튜브를 중심으로 상당히 활발하게 활동하면서 각종 소통도 활발하다. 2019년도 12월에 트레인 트루에서 열린 기록 측정 행사에 출전했다가 협회로부터 2020년 12월까지 출전을 금지당했는데, 본인은 출전 이전에 징계를 받을 수 있다는 협회의 경고를 받았으나 납득하지 못하고 당당하게 대회를 나갔다. 이후 스쿼트 기록측정을 하자마자 지켜봤다는 듯 징계가 내려왔지만 본인은 딱히 개의치 않고 있으며 오히려 인스타 DM 으로 공문을 보낸 것을 공개하고 '나랑 장난하는거냐'며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심지어 트레인트루 행사에서 다른 IPF 프로들에게는 경고나 공문을 보내지 않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협회에 대한 비판 여론이 더 강해졌고, 어썸블리스 본인도 '이번 징계는 자신의 인생에는 아무 타격도 없다'면서 쿨하게 무시하는 모습. 대중들이 '파워리프팅 활성화는 커녕 밥그릇이나 지키냐. 협회가 협회한다'면서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유명 운동 유튜버 흑자헬스도 "이렇게 멍청하냐. 내가 연맹 관계자였으면 연맹 홍보하고 심판 봐줄 거다"라면서 [[https://youtu.be/MXqrTf5vF5A|강력하게 비판했다.]

* 정지훈 - IPF소속 파워리프터이다. 2022년도 두바이에서 열린 Asia Powerlifting Championship에서 -59kg체급으로 모든 종목과 토탈에서 금메달을 따내어 아시아 1위를 하고 스쿼트는 아시아 최고기록을 갱신하였다. 유튜브 채널 59kg앤트맨 을 운영하고 있다.

* 파워게르만 - 해당 문서 참조

* 하제용 - 해당 문서 참조

* 김계란 - 체구에 비해 3대 운동이 높은걸로 유명하다.


8. 관련 문서



[1] 현재도 구미권에선 소규모 대회가 있으며 한팔 데드리프트나 하네스 리프팅 등 일반인들에겐 생소한 종목이 많다. [2] 다만 보디 빌딩이란 단어를 만들어낸 최초의 보디빌더들은 외적인 미만을 중요시하지는 않았고 육체적인 수행 능력에도 많은 관심이 있었다. 19세기 후반~ 20세기 초반, 19세기 인물들이 활동했던 당시만 해도 심미적인 근육만을 키운다는 개념이 없었을 뿐더러 약물은커녕 보충제같은 것도 없던 시절이니 심미성과 활용성 모두 염두에 둔 육체 단련과 비슷했다고 보면 된다. 도리안 예이츠도 고중량으로 했었다 # [3] 스트롱맨과는 또다른 개념이다. 파워 리프터는 오로지 3대 중량으로만 겨루는 종목이다. [4] 120kg 이상 중량급 한정. 경량급의 경우 역도선수나 체조선수와 비슷한 체형을 보인다. [5] 대표적으로 포르투갈이 있는데, 의외로 포르투갈도 파워리프팅 강국이다. 왜냐하면 포르투갈의 인기 많은 축구선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체력훈련을 위해 크로스핏, 헬스와 병행하면서 하던 운동기 때문. [6] 파워리프팅용 복장을 착용하지 않고 드는 건 'raw lifting'이라고 부른다. 직역하자면 날로 하는 게 아니라 맨몸으로만 들기. 보통 기록에 영향을 줄 만한 복장으로 벤치 셔츠나 스쿼트 슈츠, 데드리프트 슈츠 등이 거론되며 무릎 보호대나 허리 벨트는 raw lifting 대회라 할지라도 선수 보호 차원상 사용에 눈감아 주는 곳이 많다. [7] 이는 2022년 3월 기준 세 종목에서 가장 무거운 무게를 든 기록이기도 하다. [8] 다만 공식 기록도 아니고, 벤치프레스 전용 슈트를 입고 잰 기록이라 명확하게 세계기록이라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더군다나 두 겹으로 된 멀티레이어 슈트를 입었는데, 이 슈트를 입을 경우 맨몸으로 쟀을 때보다 최대 100kg 이상 더 들 수 있다고 한다. 물론 그렇다는 건 슈트를 벗어도 400kg 이상을 들 수 있다는 말이므로 정신이 혼미해지는 무게임은 틀림없다. [9] 다만 크지슈토프 피에츠비키의 기록이나 직전 하프토르 비욘슨의 기록은 공식 대회기록이 아니기 때문에, 대회 기록 보유자인 Eddie Hall( 영국)의 500kg를 세계기록으로 인정하기도 한다. [10] 비욘슨의 기록이 딱 501kg인 이유가 에디 홀을 저격하기 위해서다. 실제로 두선수는 사이가 매우 나쁘며 복싱 룰로 서로 싸우기도 했다. [11] 파워리프팅 룰의 경우 스트랩과 더블 니 밴딩을 허용하지 않기에 엄밀히 따지자면 스트롱맨 데드리프트 세계기록이다. 파워리프팅 세계신기록의 경우 Danny Grigsby의 465kg이며, 무장비 기록이다. 장비 기록이 무장비 기록보다 떨어지는 이유는 장비 선수들은 스쿼트와 벤치 프레스에 집중하기에 데드리프트가 상대적으로 빈약한 것도 한몫하고, 데드리프트는 그 특성상 장비와 무장비의 차이가 타 종목만큼 심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12] 물론 일반인이 입는다고 해서 바로 무게를 늘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몸을 압박해 근육의 힘을 더 낼 수 있게 하는 원리인데 착용해보지 않은 사람이 입으면 불편해서 오히려 기록이 적게 나온다는 수기도 있다. [13] 이 슈트들은 엄청난 장력을 가지고 있다. 어떤 선수는 경기후 몸에 멍이 들어있다고 할 정도로 엄청나게 질긴 소재로 만들어져 있다. 선수가 경기후 환호할 때 목각 인형처럼 몸은 가만히 있고 팔, 다리만 신나서 흔드는 경우를 쉽게 목격할 수 있다. [14] 다만 맨몸이라고 해도 대체로 무릎보호대나 손목 스트랩 등의 장비는 허용하는 편이다. 대회마다 허용하는 보조장비가 다르기 때문에 선수들은 대회 규정에 맞춰서 준비해야 된다. [15] 대표적으로 벤치프레스 시 머리를 벤치에서 떼면 안 되며, 발바닥이 지면과 완전히 닿아야 한다. [16] 150파운드 덤벨의 경우 2010년대 초반만 해도 전국에 단 5쌍밖에 없다고 했는데 2010년대 후반 들어 많이 늘어났다. [17] 양쪽 합한거 아니다. 진짜 한쪽만 250파운드다!! 영상 [18] 스트랩도 사용하지 않은 완전한 무장비 [19] 미국 드라마 왕좌의 게임에 나오는 그 '마운틴' 그레고르 클리게인이다. [20] IPF KOREA -105KG 체급 스쿼트, 데드리프트, 합계 한국신기록 보유자. [21] 고교시절에는 전국체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할 정도로 유망한 선수였다고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