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21:32:38

키하 126계 동차

파일:JR 서일본 로고.svg
JR 서일본의 철도차량
{{{#!wiki style="color: #0072bc;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현재 운행 중
일반 키하 40계 키하 120형 키하 121계
키하 126계
키하 122계
키하 127계
DEC700형 동차
통근 103계 전동차 105계 전동차 123계 전동차 125계 전동차 201계 전동차 205계 전동차 207계 전동차
321계 전동차 323계 전동차
근교 111계 전동차
113계 전동차
115계 전동차 213계 전동차 221계 전동차 223계 전동차 225계 전동차 227계 전동차
521계 전동차
특급 117계 전동차 (일부) 271계 전동차 273계 전동차 281계 전동차 283계 전동차 285계 전동차 287계 전동차
289계 전동차 681계 전동차 683계 전동차 키하 187계 키하 189계
신칸센 500계 전동차 500계 전동차 (900번대) 700계 전동차 W7계 전동차 N700계 전동차 N700S계 전동차
퇴역
일반 키하 20계 키하 33형 키하 35계 키하 37형 키하 45계
통근 101계 전동차
근교 211계 전동차 117계 전동차 (일부) 415계 전동차 419계 전동차
715계 전동차
특급 381계 전동차 485계 전동차 581계 전동차
583계 전동차
키하 58계 키하 65형 키하 181계
신칸센 0계 전동차 100계 전동차 300계 전동차 }}}}}}}}}
파일:JR 서일본 로고.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JR 서일본 키하 126계 기동차
JR 西日本 キハ 126系 気動車
JR West KiHa 126 Series (DMU)
}}}
파일:TottoriLiner.png
▲ 외부 (10번대)
파일:JRW126_0IN.png
▲ 내부 (0번대)
차량 정보
열차 형식 일반형 디젤동차
구동방식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대수 1량 1편성[1]
2량 1편성[2]
운행노선 파일:JRWsi-C.svg 사카이선, 파일:JRWsi-A.svg 파일:JRWsi-D.svg 인 본, 파일:인비선 로고.svg 인비선
파일:하쿠비선 로고.svg 하쿠비선
도입연도 2000년 ~ 2003년
제작회사 니가타 트랜시스
소유기관 JR 서일본
운영기관
운행시기 2000년 ~ 현재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전장 19,900㎜
전폭 2,939㎜
전고 3,670㎜
궤간 1,067㎜
대차 원추고무 스프링 대차
WDT60A, WTR244A (요댐퍼 준비공사 실시)
차중 키하 121계 35.9t
키하 126형
0, 10번대
34.9t
키하 126형
1000, 1010번대
34.3t
신호장비 ATS-SW
차체 스테인리스
동력방식 액체식
주기관 코마츠제 SA6D125-H1 수평직렬 6기통 터보인터쿨러 디젤엔진
변속기 DW21 유체변속기 (변속 1단, 직결 4단)
제동방식 기관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제동[3]
편성출력 키하 121계 331 kW
키하 126계 662 kW
최고속도 100㎞/h
가속도 2.1㎞/h·s
감속도 3.1㎞/h·s }}}}}}}}}

1. 개요2. 상세
2.1. 설비2.2. 내부
3. 형식
3.1. 0번대, 1000번대3.2. 10번대, 1010번대3.3. 키하 121계

[clearfix]

1. 개요

2. 상세

  • 2000년에는 키하 126계 0번대 차량이, 2003년에는 인비선, 사카이선의 고속화도 완료되면서 해당 선구에 투입할 2차차인 10번대와 양운전대 구조인 키하 121계가 새로 투입되었다.
  • 산인 지방의 철도 인프라를 감안하여 현재의 수송력을 확보하면서도 고속화와 효율화라는 두 마리를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차량을 만들기 위해 제작된 열차이다. 수송력뿐만 아니라 차량의 취급이나 보수 등도 고려하여 만든 키하 126계의 모토는 다음 3가지이다.
1. JR 서일본의 표준형 동차 차량 확립
2. 절전을 위한 노력
3. 심플한 디자인과 따뜻함이 느껴지는 차량
  • 다음 3가지 모토를 기반으로 차량의 표준화를 목표로 전동차와의 기기 공용, 절전을 위한 일부 부품 제거, 심플한 디자인 채용을 통해 해당 차량을 투입하였다.
  • 차량 도색에서는 측면에 빨간 띠를 중앙에 배치하였다. 전두부는 검은색 배경에 시인성을 높이기 위한 빨간 띠가 추가된 형태로 디자인되었다.
  • 출입문은 2도어에 단문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상시 반자동 취급된다. 반자동 취급될때는 조작은 출입문 옆에 있는 도어 버튼을 통해 출입문을 열고 닫으면 된다. 차내 안내기와 행선기, 도어 버튼에 있는 안내문구는 LED가 사용되었다. 도어 차임은 1차차와 2차차의 음색이 살짝 다르며, 1차차의 차임은 키하 187계 동차와 같은 음색이다.
  • 인테리어는 전반적으로 따뜻한 색을 많이 사용하였다. 내장 패널, 창틀, 승객용 짐 선반이나 난간에 우드 느낌의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있으며,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위해 대부분의 장치는 간단한 도구로 해체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좌석은 박스시트를 기본으로 하고, 출입문 인근에는 롱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특이한 점이라고 한다면 1차차의 롱시트는 113계 전동차가 폐차될 때 나온 부품을 가져와서 다시 사용하고 있다.
  • 1차차에서는 승무원용 문을 생량하여 창 배열을 앞쪽과 뒤쪽 모두 공통화하고, 양운전대 개조가 쉬운 구조를 채택하여 향후 양운전대화 개조가 용이하다.

2.1. 설비

  • 제조에 있어서 1개의 기능에 대해 1개의 스위치, 1개의 지령선이 필요했던 기존 차량과는 다르게 디지털화해 전송하여 배선량을 줄이고, 모니터를 통해 제어할 수 있는 열차 정보 제어 장치(TICS)가 탑재되었다.
  • 브레이크는 기관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제동을 채용하여, 눈이 많은 구간을 주행하기에 내설 제동도 채용되었다. 전동차와의 공통화와 배관의 감소 및 TICS의 도입에 의한 배선의 간소화를 위해, JR 서일본의 기동차로서는 처음으로 전기지령식 제동이 채용되었다. 기초 브레이크 장치는 답면 브레이크(동축)·디스크 브레이크와 답면 유닛 브레이크(종축)를 병용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 주엔진은 키하 187계와 같은 코마츠제 SA6D140H를 1기 탑재해, 한 쪽의 대차에 동력을 전달하는 2축 구동 방식을 사용한다. 최고 속도는 100km/h 이나, 기동 가속도 및 중고속 영역에서의 가속 성능은 기존 차량보다 향상되었다. 2차차에는 마력 전환 스위치를 갖추고 있어, 450PS와 저출력 사양인 265PS로 상호전환이 가능하다.
  • 대차는 223계 전동차 207계 전동차와 동일한 구조의 경량 볼스터리스 대차이지만, 최고 속도는 100km/h이므로 요댐퍼는 준비 공사만 실시된 상태이다. 변속기는 DW21을 채용하였다.
  • 제어 회로도 223계 등 전동차에 준한 것으로, 냉난방 장치나 제어 장치, 보조 전원용의 3상 교류 전원, 엔진을 제어하는 ​​직류 전원을 엔진에 정속 회전 장치를 통해 연결된 발전기로 공급하는 전기 구동 방식을 도입하였다.
  • 연결기도 기존의 기동차와의 병결을 지원하지 않고, 전동차와의 공통화를 위해 밀착식 연결기를 채용하였다. 이 때문에 긴급 시에 기존의 기동차와 연결하는 경우는 중간 연결기를 필요로 하고, 이것을 1편성 당 1개 구비하였다. 또한 1차차의 밀착 연결기는 113계 폐차 부품을 유용하였다.

2.2. 내부

  • 인테리어는 기본적으로 따뜻한 색감이다. 내장, 창틀, 승객용 짐 선반이나 난간에 목재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외에 운전대나 좌석 등 모든 내장품은 간단한 공구에 의해 쉽게 분리·조립이 가능하다.
  • 화장실은 키하 187계와 같은 휠체어 대응 화장실을 운전실 후부에 마련해, 원맨 운전시의 차내의 사각지대를 적게 하였다. 냉방 장치는 주요 기기의 전기 구동 방식에 의해 전동차와의 공통화가 진행되어 1차차에서는 집중식을 1대, 2차차에는 집약 분산식을 2대 탑재하였다. 난방에 대해서도 전기 구동 방식을 채용하였다.
  • 좌석은 박스 시트를 기본으로 하고, 문 부근과 일부 공간에는 롱시트가 설치되었다. 1차차의 롱시트는 113계 폐차 부품을 유용하였다. 1차차와 2차차의 박스시트 팔걸이가 다른 곳에 위치하여 있다.
  • 2차차에서는 방음, 방진 성능 향상을 위해 바닥 구조를 변경해 바닥면 높이가 18mm 높아졌으나, 문과 관통문의 높이는 1차차와 같기에, 문 부근과 관통부 바닥에 슬로프를 마련하였다.

3. 형식

  • 키하 126형은 0번대와 1000번대 및 10번대와 1010번대의 2량 단위로 조성된다.

3.1. 0번대, 1000번대

파일:JRW126_1000.jpg 파일:JRW126_0IN.png
외부 내부
  • 10번대 및 1010번대와 다른 점은 승무원실 문이 없다는 점, 비드가 없는 차체라는 점, 내부 박스 시트의 형태가 다른 점 등이 있다.

3.2. 10번대, 1010번대

파일:TottoriLiner.png 파일:JRW126_10IN.jpg
외부 내부
  • 0번대 및 1000번대와 다른 점은 승무원실 문이 있다는 점, 비드가 는 차체[4]라는 점, 내부 박스 시트의 형태가 다른 점 등이 있다.

3.3. 키하 121계

파일:JRW121.jpg
외부
  • 위 차량들과는 달리, 기본적으로 10번대, 1010번대와 내부 및 외부 사양은 비슷하나, 편운전대가 아닌 양운전대라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형식명도 126계가 아닌 121계로 다르다.


[1] 키하 121계 [2] 키하 126계 [3] 내설제동 포함 [4] 오히려 2차차임에도 비드가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