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9:08:20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

콜챔스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대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ague of Legends the Champions
2012
스프링 | 서머
League of Legends Champions
2013
윈터 | 스프링 | 서머
2014
윈터 | 스프링 | 서머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2015
스프링 | 서머
2016
스프링 | 서머
2017
스프링 | 서머
2018
스프링 | 서머
2019
스프링 | 서머
2020
스프링 | 서머
2021
스프링 | 서머
2022
스프링 | 서머
2023
스프링 | 서머
2024
스프링 | 서머
2025
윈터 | 스프링 | 서머
2026
윈터 | 스프링 | 서머
}}}}}}}}} ||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역대 LoL Champions Korea 일람
SK telecom T1 ROX Tigers SK telecom T1
2016 LoL Champions Korea Spring 2016 LoL Champions Korea Summer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파일:201660011471702078.jpg
파일:external/pgr21.com/1463620615_lcksummer.jpg
파일:LCK Old logo.png
<colbgcolor=#dc4b5e><colcolor=#fff>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
대회 기간 2016년 5월 25일 ~ 8월 20일
주최 라이엇 게임즈 한국e스포츠협회
주관
제작 OGN SPOTV GAMES
경기장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서울 OGN e스타디움 / NEXON ARENA
스폰서 코카콜라 제로
꼬깔콘 맥시멈기어
G.SKILL 손오공 IB
배달의민족 해피머니 문화상품권
중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c4b5e><colcolor=white> 중계 플랫폼 TV
OGN, SPOTV GAMES
온라인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중계진 캐스터
OGN 김의중, 전용준
SPOTV GAMES 성승헌
해설자
OGN 김동준, 이현우
SPOTV GAMES 강형우, 신동진
}}}}}}}}} ||
일정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정규시즌 1라운드
5월 25일 ~ 6월 29일
2라운드
7월 4일 ~ 8월 6일
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전
8월 8일
준플레이오프
8월 10일
플레이오프
8월 12일
결승전
8월 20일
결승전 대진
ROX vs KT
경기장
서울종합운동장 실내체육관
}}}}}}}}} ||
결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c4b5e><colcolor=white> 우승 ROX Tigers
준우승 kt Rolster
MVP 정규시즌
송경호 (ROX Smeb)
포스트시즌
이서행 (ROX Kuro)
KDA
챔피언
TOP
송경호 (ROX Smeb)
JGL
고동빈 (kt Score)
MID
이서행 (ROX Kuro)
ADC
배준식 (SKT Bang)
SPT
이재완 (SKT Wolf)
}}}}}}}}} ||

1. 개요2. 참가팀3. 대회 진행4. 여담5. 논란 및 사건 사고6. 영상 및 삽입곡7. 주요 기록
7.1. MVP 포인트
7.1.1. 정규시즌
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BE THE CHAMPION
OGN 측 캐치프레이즈.
THIS IS OUR STORY
SPOTV GAMES 측 캐치프레이즈.
2016년 5월 25일에 개막한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의 서머 시즌에 대한 문서이다.

2.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dc4b5e><tablebgcolor=#dc4b5e>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2016 LoL Champions
Korea Summer

참가팀
}}} ||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SK telecom T1
SKT
ROX Tigers
ROX
kt Rolster
KT
Jin Air Greenwings
JAG
Afreeca Freecs
AFs
파일:Samsung_Galaxy.png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파일:CJ 엔투스 로고.svg 파일:ESC_Ever_allmode.png 파일:Team MVP.png
Samsung Galaxy
SSG
Longzhu Gaming
LZ
CJ Entus
CJ
ESC Ever
ESC
MVP
MVP
2016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참가팀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3. 대회 진행

3.1. 정규시즌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
정규시즌 순위표
순위 팀명 세트 득실 득실차 연속 비고
1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ROX 15 3 30-10 +20 8승 우승
2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T 13 5 28-13 +15 1패
3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KT 13 5 29-15 +14 6승 준우승
4 파일: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 로고.png SSG 12 6 24-16 +8 1패
5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AF 8 10 20-23 -3 4패
6 파일:Team MVP.png MVP 7 11 18-23 -5 2패
7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JAG 7 11 19-26 -8 1승 탈주로 인해
1세트 차감
8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LZ 7 11 16-25 -9 2승
9 파일:ESC_Ever_allmode.png ESC 5 13 16-29 -13 4패 잔류
10 파일:CJ 엔투스 로고.svg CJ 3 15 12-32 -20 1패 강등
보라색: 결승전 직행 | 파란색: PO R2 진출 | 초록색: PO R1 진출
연두색: W.C 진출 | 노란색: LCK 잔류 | 빨간색: 승강전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
정규시즌 경기 일람
R1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R2 7주 8주 9주 10주 11주
포스트시즌 경기 일람

3.2. 포스트시즌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dc4b5e>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
포스트시즌 대진표
}}} ||
WC PO R1 PO R2 결승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ROX
1위
결승전
8/20 17:00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3 : 2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T
2위
PO R2
8/12 17:00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2 : 3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KT
3위
PO R1
8/10 17:00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3 : 0 파일:Samsung_Galaxy.png
파일:Samsung_Galaxy.png SSG
4위
WC
8/8 17:00
파일:Samsung_Galaxy.png 2 : 0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AFs
5위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
포스트시즌 경기 일람
포스트시즌 결승전
포스트시즌 결산
정규시즌 경기 일람

3.3. 결승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결승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승강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승강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 OGN SPOTV GAMES가 함께 중계하는 첫 시즌.[1]
  • 주 6일 편성되며 월요일부터 수요일까지는 8시에 스포티비 게임즈에서 수요일 5시 경기부터 토요일까지는 OGN에서 중계한다. 경기 수는 월화목 1경기[2], 수금토 2경기[3]다. [4]
요일 1경기 주관 방송사 2경기 주관 방송사
월요일 SPOTV GAMES -
화요일 SPOTV GAMES -
수요일 OGN SPOTV GAMES
목요일 OGN -
금요일 OGN OGN
토요일 OGN OGN
  • 경기당 티켓을 분리해서 구매할 수 있다. OGN의 경우 일반석 4,000원, 시야 방해석을 2,000원에 판매하며, SPOTV GAMES의 경우 골드석 4,000원, 실버석 2,000원, 브론즈석을 1,000원에 판매한다.
  • SPOTV GAMES는 암표 방지를 위해 본인확인을 철저히 할 예정이며, 손목띠[5]를 만들어 입,퇴장을 자유롭게 할 예정이라고 한다.
  • 이번 LCK의 테마곡을 국카스텐이 불렀다. 타이틀은 Challenge SPOTV GAMES는 이 테마곡의 MR 버전을 스튜디오 오프닝 멘트 BGM으로 사용했다.
  • 5월 23일 라디오 롤챔스 쇼에서 대체적인 시즌 예상이 나왔는데, 클템은 일단 정말 예상하기 힘들고 모르겠다는 밑밥을 깐 뒤[6] 흔히 말하는 3강인 kt, ROX, SKT 중에 kt가 가장 잘할 것 같다고 했고, 이 3강이 1, 2, 3위를 나눠 가진다는 보장 역시 없다는 견해를 밝혔다. 지난 시즌보다 잘할 것 같은 팀으로는 아프리카와 롱주를 꼽았다.
  • OGN의 인터뷰어였던 조은정이 학업문제로 잠시 하차하게 되어 서머부터는 인터뷰 대신 중계진의 분석데스크를 진행한다고 한다.
  • OGN에서 온라인으로 중계하는 월, 화요일 8시 경기에는 단군이 캐스터로 투입된다. 벌써 따로 중계 광고 영상까지 만들었다. #
  • MVP 선정에 여전히 팬들의 의문과 불만이 많다. 여전히 스프링과 마찬가지로 서포터 선수에게 너무 박하다는 평가란 의견이 일치하는 편. 팬들은 대체적으로 MVP 선정단에 기자들 쓸모없는데 기자들을 빼야되는거 아니냐는 의견이 많다. 그러나 권지민이 활약했던 경기에서 기자단이 권지민을 몰표했었으나, MVP가 선정되지 못하였다는 언급이 나왔다.
  • OGN에서 주최한 e스포츠 리그에 코카콜라가 메인 스폰서 자격으로 참여한 것은 CokePlay 카트라이더 1차리그 이후 11년 만이다.
  • 리그제로 바뀐 후 처음으로 한 라운드 전승팀도 전패팀도 없는 시즌이 되었다.
  • 포스트시즌 티켓 가격은 넥슨아레나 골드석 8,000원[7], 실버석 4,000원, 브론즈석 2,000원과 OGN e스타디움 일반석 10,000원, 시야 방해석 8,000원으로 책정되었다. 결승전의 경우는 R석 20,000원, S석 10,000원.
  • 정규시즌은 OGN에서 총 59경기, SPOTV GAMES에서 31경기를 주관했으며 OGN 주관경기에서는 2:0이 40번 2:1이 19번 나왔고 SPOTV GAMES 주관 경기에서는 2:0이 18번, 2:1이 13번 나왔다.
  • 8월 16일, 두 번째 테마곡인 Ultimate가 발표되었다.이번 곡의 테마는 LCK 현장에서 최고의 자리에 오르기 위해 최선의 도전을 이어가는 'e스포츠의 여정'으로 10개 프로 팀 선수들에 대한 응원의 메시지도 담고 있다고 한다.
  • 사상 최초의 결승전 한 진영(블루 팀) 전승이 나왔다.

5. 논란 및 사건 사고

5.1. SPOTV GAMES 중계 논란

SPOTV GAMES 측에서 중계를 하는 날이면 퍼즈로 인해 경기 시작하는데 시간이 매우 걸린다. 더군다나 퍼즈 후에 고치는데도 오래 걸린다. 결국 6월 28일 kt vs 진에어 전에서 1시간 반 넘게 퍼즈를 해서 경기 시간보다 퍼즈 시간이 더 길어지는 진풍경을 보였다. 덕분에 분할 중계 당시 귀가를 위해 막차 시간 전에 끝낸다는 명분은 헛소리 취급 당하고 있다.

1라운드가 끝나가는 상황인데도 SPOTV GAMES 측 중계에 걸리는 퍼즈와 복구 시간이 오히려 점점 늘어나는 상황인데다가 아직 중계진도 경험이 많은 OGN에 비해 밀리는지라 비판의 목소리가 매우 높다.

6월 30일, SPOTV GAMES는 홈페이지 공지와 보도자료를 통해 이러한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는 글을 올렸다. 대체적으로 깔끔한 사과문이라는 평이다. 물론 사과문 깔끔하고 계속 일이 재발되면 곤란하기는 하다.

그리고 바로 2라운드 첫 경기에서 3경기 중 2경기가 퍼즈 걸리면서 말뿐인 사과문이 되었다. 다만 2세트의 퍼즈는 선수가 마이크를 끈 상태로 경기에 들어가서 마이크를 켜기만 하면 되는 상태였고, 그 외에 퍼즈가 걸린 일은 2라운드 1주차 SPOTV GAMES의 주관 경기가 끝난 상태에서 더 이상 발생하지 않았지만 2주차 첫경기에서 두세트 모두 퍼즈가 걸렸다.

2라운드부터는 날마다 운영 일지를 공개한다고 한다.

10주차 금요일 경기까지 OGN과 SPOTV GAMES의 경기 지연 시간, 퍼즈 횟수를 분석한 글이 올라왔다.

6. 영상 및 삽입곡

OGN SPOTV GAMES 모두 오프닝을 개별 제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1. OGN

BE THE CHAMPION
  • 오프닝: The Qemists - S.W.A.G
  • 세트 간 하이라이트: Shawn Mendes - Something Big(1라운드, 결승전), Stitches(2라운드 ~ 플레이오프 2라운드)
  • 방송 종료 시 하이라이트: Thomas Rhett - Playing With Fire(1라운드), Dierks Bentley - Pick Up(2라운드)
  • 결승전 선수단 입장: 국카스텐 - Ultimate
  • 결승전 오프닝: Florence & The Machine - No Light, No Light
5월 19일, OGN에서 제작한 개막전 프로모션 영상이 공개 되었다.

5월 25일, 개막전 당일 OGN의 오프닝 타이틀 티저가 공개되었다. 지난 시즌 우승팀인 SKT의 선수들이 등장했다. #


6월 1일, OGN 공식 오프닝 영상이 공개 되었다. 스폰서가 코카콜라인 만큼 빨간색, 흰색, 검정색의 컬러를 사용했으며 기존 LCK 팀 선수들과 새로 승격한 MVP, ESC Ever간의 대립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오프닝 초기 MVP와 ESC를 맞이하는 LCK 유지팀 중에 CJ 선수가 없이 7명만이 MVP와 ESC를 맞이한다. 그래서 CJ의 강등을 예상했던 게 아닌가 하는 소리도 나오고 있다.


결승전 오프닝의 경우 지난 스프링에 비해서는 큰 임팩트가 없다는 평이다. 전체적인 구도는 2014 서머 결승 오프닝과 비슷하다. 중간에 있는 빈 의자를 보고 이번 결승전에는 없는 페이커가 떠올랐다는 의견이 있다.[8]


결승전 개막식 영상. 국카스텐의 하현우가 나왔다.

6.2. SPOTV GAMES

THIS IS OUR STORY
  • 1세트 오프닝 멘트: 국카스텐 - Challenge MR 버전
  • 오프닝: Tribe Society - Kings
  • 밴픽 BGM: Blue Stahli - Secret Agent Business
  • 경기 시작 전: Lords of Black - Everything You're Not (챔피언 소개), The Qemists - Anger (경기 시작 전 인트로)
  • 와일드카드전 경기 시작 전: Soto - Freak Show
  • 1세트 경기 종료: Face The Future - Turn It Up
  • 2세트 오프닝 멘트: Arctic Void - Sleeping Under Water
  • 2세트 경기 종료[9]: The Veer Union - We All Will
  • 경기 종료: Blackout Problems - Of Us
  • MVP 인터뷰: Set It Off - Uncontainable
  • 클로징 멘트: Throw The Fight - Transmissions
  • 방송 종료 후 하이라이트: Anouk - Run Away Together


티저 영상퀄이 OGN 보다 별로라는 평이 있고 더 좋다는 평이있다. 갈리는 편.


5월 24일 새벽 SPOTV GAMES 오프닝 타이틀 티저가 공개되었다.


6월 7일 공식 오프닝이 공개되었다. 배경음악은 Tribe Society의 Kings. 오디오 버전 애니메이션 버전(감상 시 주의)

이전에도 스포티비가 활용한 적이 있는 낡은 웨어하우스 형식으로 촬영하게 되었다[10][11]. 또한, 스포티비 두 번째 의자 오프닝.[12]
특이하게도 스포티비 오프닝은 하단부에 제작자들의 이름을 표기하는데, 제일 먼저 나오는 사람이 바로 본 리그의 피디인 이니핸스(김하늘)이다.[13] OGN의 오프닝이 LCK 팀과 승격 팀의 대립 구도를 신경썼다면 스포티비는 각 팀의 색과 개성을 중점적으로 표현해냈다.[14] 서부극 같이 느릿하지만 묵직한 극적인 긴장감을 잘 살려냈다. 다만 평가는 좀 엇갈리는 편이다. 부정적인 평의 경우에는 느린 패턴의 노래인데 영상까지 긴데다가 선수들 모습도 사진 찍듯이 정적이라서 늘어진다는 얘기가 많다.

7. 주요 기록

7.1. MVP 포인트

7.1.1. 정규시즌

파일:/image/236/2016/08/06/1470480518944674_99_20160806195107.jpg
출처

8. 관련 문서


[1] 이번 시즌 중계의 일부를 SPOTV GAMES가 가져가게 되고, OGN은 스포티비 게임즈가 송출하는 게임에 옵저버로 참여해서 이원중계를 하게된다. LCK의 포스트 시즌 및 결승전은 기존과 같이 전부 OGN 단독 중계로 이루어지며, 마찬가지로 롤드컵, 올스타전 등 글로벌 대회도 OGN이 단독으로 중계하게 된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SPOTV GAMES가 중계하는 경기는 SPOTV GAMES와 OGN이 동시 중계로 진행하는 것이다. OGN은 SPOTV GAMES에서 주관하는 경기를 온라인으로 중계한다. [2] 8시 시작. 참고로 5시에는 나이스게임TV에서 중계하는 2부 리그인 CK가 편성되어 있다. [3] 수요일은 5시/8시, 금요일은 5시부터 2경기(단 일정상 1경기 만 할경우에는 오후 8시 시작), 토요일은 2시부터 2경기 편성. [4] 파일:external/static.inven.co.kr/i10879865062.jpg 출처 [5] 파일:external/pbs.twimg.com/Ci4wa6cVAAAm_Ca.jpg [6] 클템 말로는 보통 3할 이상 되면 이야기를 꺼내는데 지금은 1할도 간당간당하다고. [7] 와드 젤펜 증정. [8] 2020 서머 결승전 오프닝에서도 비슷한 연출이 있었다. 페이커가 결승에 오지 못했기에 서머 오프닝에서 페이커가 앉아있던 왕좌가 비어있는 듯한 연출을 했었다. [9] 1:1 스코어로 2세트 종료 시. [10]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12-13 스포티비 결승전 오프닝 참조. [11] 촬영 장소는 파주의 한 폐공장. [12] 이전 2015 스타2 스타리그 시즌 3 결승전 당시에 김준호와 한지원이 왕좌를 놓고 대결하는 구도를 그린 적 있다. [13] 이전에는 스타2 리그를 담당해서 독특하면서 선수마다 특징을 잘 잡는 영상을 만들어냈던 사람이다. 일명 이니핸스좌. [14] 팀 마다 상징하는 문구도 흥미로운 편. 3번째 MVP(MVP)나, 재결성(CJ), 우릴 믿어줘(롱주), 거인 사냥꾼(프릭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