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1 19:20:33

칠원JC

칠원분기점에서 넘어옴
칠원 분기점
漆原 分岐點
Chirwon Junction
순천 방면
산인JC
← 3 km
파일:Expressway_kor_10.svg 부산 방면
북창원IC
8.8 km →
창원 방면
칠원TG
← 1.6 km
파일:Expressway_kor_45.svg 양평 방면
칠서IC
4.1 km →
주소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오곡리
관리기관
남해선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 창원지사
중부내륙선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 창녕지사
개통
2001년 11월 8일

1. 개요2. 구조
2.1. 남해고속도로
2.1.1. 부산 방향(우행선)2.1.2. 순천 방향(좌행선)
2.2. 중부내륙고속도로
2.2.1. 양평 방향(상행선)2.2.2. 창원 방향(하행선)
3. 역사4. 효과5. 여담6. 둘러보기 틀

[clearfix]

1. 개요

남해고속도로 31번. 중부내륙고속도로 2번.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오곡리에 있는 남해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분기점. 명칭은 칠원읍에서 유래했다.

2. 구조

2.1. 남해고속도로

2.1.1. 부산 방향(우행선)

2.1.2. 순천 방향(좌행선)

2.2. 중부내륙고속도로

2.2.1. 양평 방향(상행선)

2.2.2. 창원 방향(하행선)

3. 역사

4. 효과

과거 남해고속도로 본선이 구 마산시 시내로 지나다녔을 때는 해당 구간의 교통 정체가 극악이었으나 2001년에 마산시를 지나가지 않는 형태로 마산외곽고속도로가 개통되어 마산시내 구간의 차량흐름이 많이 나아졌다. 그래도 주말과 명절엔 많이 밀린다. 이 분기점이 개통되면서 내서 분기점 진주 방면으로의 진출입 통로가 폐쇄되었으므로, 마산회원구 마산합포구로 가는 경우에는 내서 방향으로 직진, 김해시, 창원시 진해구, 부산광역시로 가는 경우에는 이 분기점이나 내서 분기점 어느 곳이든 상관없이 갈 수 있고, 진주로 가는 경우엔 내서 분기점이 아니라 이 분기점에서 남해고속도로로 갈아타야 한다.

5. 여담

서부 경남과 부산으로 가는 남해고속도로 수도권, 충청도 지역으로 가는 중부내륙고속도로가 만나는 구간이다 보니 명절이나 연휴철에 정체가 심한 것이 일상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화물차 천지인 중부내륙고속도로에서 이 분기점을 타고 부산항, 부산신항으로 가는 컨테이너 화물차를 포함한 많은 화물차들이 전부 다 이쪽으로 몰리면서 남해고속도로 칠원 분기점 - 창원 분기점 구간은 평일이든 주말이든 1년 365일 내내 언제든지 막힌다.[1][2] 안밀리는 걸 기대하지 말자. 안밀리는 날을 본 적이 없다. 보통 평일에는 오후 1 ~ 2시대부터 막히는 편이고 주말에는 오후 3 ~ 4시대부터 막히는 편이다. 하지만 툭하면 유령정체가 곧잘 발생하고 사고도 자주 터지는 지라 칠원 분기점의 정체는 아무도 그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 주말과 명절에는 더더욱 그렇다.

또한 이 분기점과 북창원 나들목 사이에 있는 창원1터널 및 함안2터널은 전국에서도 교통사고 위험이 높기로 악명높은 터널이다. 특히 창원1터널은 전국 고속도로 교통사고 최다발생 터널로 악명이 높다. 남해고속도로 부산 - 진주 구간을 통틀어 유일한 왕복 4차로 구간이라 교통량이 완전히 포화 상태이며, 교통량의 30% 이상이 대형 화물차 및 버스이기 때문에 교통사고 위험이 매우 높다. 남해고속도로 9중 추돌사고 또한 창원1터널에서 벌어진 일. 때문에 양방향 모두 이 두 터널을 아예 묶어서 구간단속을 벌이고 있으며, 또한 터널 양쪽 입구에 CCTV를 설치하여 차로변경을 단속하는 스마트 법규위반단속시스템을 한국 최초로 설치하였다. 양방향 터널 입구에는 터널 내 교통사고 국내 최다라고 대문짝만하게 써서 걸어 놓았다. 그런데도 대형사고가 끊이질 않는다.

2017년 2월과 2018년 9월에 화물차와 승용차 간 추돌로 인한 사망사고가 발생한 곳이다. 다만 해당 사고는 도로 구조의 위험성으로 인한 사고가 아닌 화물차 운전사의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고다.

6.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영암 ~ 순천 구간 서영암IC - 서호학산IC - 서영암TG - 영암SA - 강진무위사IC - 강진JC( 파일:Expressway_kor_255.svg ) - 장흥IC - 장흥정남진SA - 보성IC - 보성녹차SA - 벌교IC -
고흥IC - 남순천TG - 순천만IC - 도롱IC - 해룡IC
순천 ~ 부산 구간 서순천IC( 파일:Expressway_kor_25.svg ) - 순천IC - 순천JC( 파일:Expressway_kor_27.svg ) - 광양IC - 동광양IC - 옥곡IC - 진월IC - 섬진강SA - 하동IC - 진교IC - 곤양IC -
사천SA - 축동IC - 사천IC - 진주JC( 파일:Expressway_kor_35.svg ) - 진주SA/ 진주IC - 문산SA - 문산IC - 진성IC - 지수IC - 군북IC - 함안SA/ 장지IC -
함안IC - 산인JC( 파일:Expressway_kor_102.svg ) - 칠원JC( 파일:Expressway_kor_45.svg ) - 북창원IC - 창원JC( 파일:Expressway_kor_102.svg ) - 동창원IC - 진영SA/ 진영JC( 파일:Expressway_kor_600.svg ) - 진례IC - 진례JC( 파일:Expressway_kor_105.svg ) -
냉정JC( 파일:Expressway_kor_104.svg ) - 서김해IC - 동김해IC - 김해JC( 파일:Expressway_kor_551.svg ) - 북부산TG - 대저JC( 파일:Expressway_kor_55.svg ) - 덕천IC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내서IC/ 내서JC( 파일:Expressway_kor_102.svg ) - 칠원TG - 칠원JC( 파일:Expressway_kor_10.svg ) - 칠서IC - 칠서SA - 남지IC - 영산SA - 영산IC - 창녕IC - 현풍JC( 파일:Expressway_kor_451.svg )/ 현풍IC - 고령JC( 파일:Expressway_kor_12.svg ) -
남성주IC - 남성주참외SA - 성주IC - 성주SA - 남김천IC - 김천JC( 파일:Expressway_kor_1.svg ) - 선산IC - 선산SA - 낙동JC( 파일:Expressway_kor_30.svg · 파일:Expressway_kor_301.svg ) - 상주IC - 북상주IC - 점촌함창IC -
문경SA - 문경새재IC - 연풍IC - 괴산SA - 괴산IC - 충주IC - 충주SA/ 중앙탑IC - 노은JC( 파일:Expressway_kor_40.svg ) - 북충주IC - 충주JC( 파일:Expressway_kor_40.svg ) - 감곡IC - 여주JC( 파일:Expressway_kor_50.svg ) -
남여주IC - 서여주SA - 서여주IC - 북여주IC - 남양평IC( 남한강SA) - 양평IC( 파일:Expressway_kor_400.svg )
}}}}}}}}} ||


[1] 실제로 한국도로공사의 정체구간 조사 자료를 통해 입증된, 비수도권 고속도로 최악의 정체구간이다. # [2] 평일에 남해선이 정체되는 시간에 이 분기점의 부산방향 진출부는 대형 컨테이너 화물차들이 항상 줄을 지어 서있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