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23:03:59

추동궁마마

파일:MBC 로고(1986-2005) 컬러 화이트.svg 파일:조선왕조 오백년 타이포그래피.png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
{{{#!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추동궁마마 뿌리깊은 나무 설중매
풍란 임진왜란 회천문
남한산성 인현왕후 한중록
파문 대원군 }}}}}}}}}

1. 개요2. 등장인물
2.1. 조선2.2. 고려
3. 여담4. 참고/관련 자료

[clearfix]

1. 개요

1983년 3월 31일부터 동년 7월 2일까지 방영되었던 MBC 드라마로,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첫 포문을 연 작품이다. 총 27부작. 동일 작가가 5년 전에 지은 동시대 사극 <연지>[1]의 리메이크판이기도 하다.

극본은 신봉승, 연출은 이병훈 PD, 조연출은 이관희 PD, 기술감독은 안계홍 & 임재륭, 야외촬영은 임이랑, 미술감독은 박수명, 분장은 유승태, 음악은 이춘화, 주제가 작곡은 최창권, 해설은 성우 양지운 등이 각각 맡았다. 제목인 '추동궁 마마'는 원경왕후를 일컫는 말이었다.

고려 우왕 13년부터 조선 세종 즉위기까지가 주 내용이며, 라이벌 작품인 KBS 대하드라마 < 개국>과도 겹치나 13년 뒤 방영할 < 용의 눈물>과는 달리 사실 위주로 스토리를 진행했다. 다만 방영 당시 시청자들 사이에선 동시대를 다룬 <개국>과 고증 면에서 차이점을 보여 내용상 혼동을 느끼는 경우도 있었다.( 조선일보 기사)

종영 후 2016년 MBC Archive가 개설되면서 유료로 다시보기 서비스를 하고 있고, 2020년 1월 8일부터 MBC ON을 통해 디지털 리마스터링 후 재방영했다. 일본에선 2010년 ACROSS를 통해 <태종대왕 ~조선왕조의 주춧돌~(太宗大王 朝鮮王朝の礎)>로 나왔다.

2. 등장인물

2.1. 조선

  • 태조 이성계: 김무생 - 조선왕조 500년 임진왜란 편에서는 이순신 장군 역 맡음
  • 이지란: 국정환
  • 신의왕후: 김소원 - 마지막 시리즈 대원군 편에서 순조비 순원왕후 역 맡음 / kbs 무인시대 드라마에서 망이의 어머니 역을 맡음(진압군 정세유에게 살해됨)
  • 신덕왕후: 김정연 - mbc 우리들의 천국 에 등장했던 배우
  • 진안대군: 전인택 - 추후 조선왕조 500년 시리즈들에서 안평대군, 강항의 형, 김만중 역
  • 정종: 이영후 - 추후 김종직, 이덕형 역
  • 익안대군: 최선균 - kbs 태조 왕건 드라마에서 집사 역
  • 회안대군: 김주영 - 추후 최윤덕, 허균, 김익훈, 김귀주, 우범선 역
  • 태종 이방원: 이정길 - 추후 갖바치(조광조와 인연 맺음), 이이첨 역
  • 원경왕후: 김영란 - 추후 정난정, 초월(흥선군 이하응의 연인)
  • 양녕대군: 미상(어린 시절) / 송기윤(성인) - 추후 임백령 역
  • 경순공주: 미상 / 아버지 이성계가 손수 경순공주의 머리카락을 깎아주는 장면이 나옴
  • 흥안군 경무공 이제: 임영규 - 추후 연산군, 박영효 역 / 이제, 이방번, 이방석 등이 1차 왕자의 난 당시 죽음을 당하는 장면은 나오지 않고, 해설로만 목숨을 잃었다고 나옴
  • 석보[2]: 박영지

    • 하륜과 친밀한 관계에 있는 승려
  • 정도전: 이호재
  • 남은: 변희봉 - 추후 류자광, 최명길, 박문수, 홍순목 역
  • 심효생: 유판웅 - 추후 정탁, 이후, 안경수 역
  • 민무구: 남영진 - 추후 정윤겸(정난정의 아버지), 박규수 역
  • 민무질: 문회원 / 추동궁마마 드라마를 직접 시청한 바에 따르면 민무휼, 민무회는 전혀 언급되지도 않고 등장하지 않았음
  • 조준: 현석
  • 조반: 최상훈
  • 배극렴: 한규희
  • 조영규: 김기일 - 실제 역사(조영규는 1차 왕자의 난 이전에 세상을 떠남)와 다르게 태종 시기까지 생존하고, 귀양가 있는 이숙번에게 태종 양위 소식을 전함
  • 심덕부: 임문수
  • 하륜: 신충식
  • 이숙번: 김희라
  • 이숙번의 어머니: 김명희
  • 이숙번의 부인 청주 정씨: 김용선 - 추후 난이(한명회의 첩 ; 가공인물), 선조 비 의인왕후 박씨(승하하는 장면은 안 나옴), 영조 계비 정순왕후 김씨(신유박해를 주도하고 청나라 주문모 신부를 직접 심문하며 참수를 명함) // kbs 삼국기(1992) 에서 백제 무왕의 왕비 역
  • 송거신: 나성균 / 여산 송씨 가문의 송거신은 태종 비 원경왕후 여흥 민씨의 인척(원경왕후의 어머니, 즉 민제의 부인이 여산 송씨임)
  • 마천목: 박경현 / 추후 윤지임(윤원형의 아버지), 장현(장희빈의 숙부), 민태호 역
  • 목인해: 백인철 / 회천문, 남한산성 시리즈에서 청 태조 누르하치 역
  • 박석명: 임정하 / 조선왕조 500년 단골 출연 배우 중 한 분으로 추후 문종, 윤임, 임해군, 동평군, 이벽(천주교 신자), 민승호 역
  • 조사의: 이계인 ; 함흥으로 온 태상왕 이성계를 알현 / 하지만 난을 일으키는 장면은 안 나옴
  • 제조상궁: 김수미
  • 이방원의 종: 신국 - 나중에는 '바우'라고 불리다가 나중에 자막에 '전흥'이라는 이름이 표시됨(전흥은 조선 초 실존 인물임)
  • 의주댁: 김영옥 - 나중에 입궁하여 원경왕후를 측근에서 모시는 궁인으로 출세함
  • 황희석: 이도련 - 원구(김종서의 일파), 김응남, 청나라 천주교 신부 주문모, 개화승 이동인 역
  • 이만(내관) : 이원재 - 이만과 세자빈(이방석의 부인) 류씨 사건이 언급될 때 잠시 출연

2.2. 고려

  • 정비 안씨: 한영숙
  • 우왕: 김영두(방훈)
  • 영비 최씨: 강석란
  • 칠점선(영선옹주): 이혜숙 - 후추 임진왜란 시리즈에서 요도기미(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실로 히데요리의 어머니) 역
  • 창왕: 전현
  • 공양왕: 김웅철 - 추동궁마마 바로 다음 회차인 '뿌리깊은 나무'에서 효령대군 역 / 나경언, 이범진 역
  • 순창군 왕덕: 정태섭
  • 옥선[3]: 최명길
  • 김완: 유판웅(심효생 역도 맡음 ; 1인 2역)
  • 우현보: 미상
  • 최영: 김길호 - 추후 김안로, 정인홍, 홍현보(홍봉한의 아버지) 역
  • 정몽주: 홍계일
  • 이색: 이대로
  • 조민수: 박영태 - 추후 신수근, 신경진, 김창집, 최필공 역
  • 김저: 오승명 - 추후 의병장 김천일, 정충신, 조두순 역
  • 정득후: 박경순
  • 대전내관: 최선균(익안대군 이방의 역도 맡음 ; 1인 2역)
  • 원천석: 박종관 - 대사 중에, 나라(고려 왕조)를 무너뜨릴 힘이 있다면 그 힘으로 나라를 바로 세울 수도 있었다는 취지의 내용이 있었음. 즉 새 왕조 건설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냄

3. 여담

  • 초반에는 퉁소 소리를 위주로 한 오프닝을 쓰다가 중후반부경 다른 오프닝으로 바꿨지만, 일본에서 나온 DVD판은 KBS 드라마 <장희빈>의 테마곡을 오프닝 곡으로 썼다. ( 일본판 오프닝 영상)
  • 2017년 <시사iN> 기사에 따르면 라이벌작인 KBS <개국>처럼 신군부의 어용사극 의혹이 있다는 얘기도 있는데, 신봉승 작가의 2013년 저서 <역사가 지식이다>에선 당국의 간섭 및 검열 때문에 조기 종영으로 이어졌다고도 나왔다.

4. 참고/관련 자료



[1] 그러나 해당 드라마는 마지막화만 보존 중이다. [2] 무학대사를 모티브로 한 가공인물. <연지>에서는 신충식이 연기했다. [3] 고려 왕족의 딸로, 가상인물이며 동일 작가의 전작 <연지>의 동명의 주인공(김영란 분)과 같은 포지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