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50회(1996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955 | 1955 화천 | 홍용명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956 | 1956 연천 | 홍용명 |
1958 | 1958 철원 | 조정근 | 1959 | 1959 연천 | 조정근 | |
15회 | 1960 서울 | 김정자 | 16회 | 1961 서울 | 김정자 | |
18회 | 1963 서울 | 정남옥 | 19회 | 1964 서울 | 정남옥 | |
1965 | 1965 서울 | 김혜경 | 22회 | 1967 서울 | 이현주 | |
23회 | 1968 서울 | 이현주 | 24회 | 1969 서울 | 이현주 | |
26회 | 1971 서울 | 장명수 | 27회 | 1972 서울 | 장명수 | |
28회 | 1974 서울 | 장명수 | 29회 | 1975 서울 | 윤효진 | |
30회 | 1976 서울 | 윤효진 | 31회 | 1977 서울 | 이현주 | |
32회 | 1978 서울 | 주영순 | 33회 | 1979 서울 | 신혜숙 | |
34회 | 1980 서울 | 신혜숙 | 35회 | 1981 서울 | 임혜경 | |
36회 | 1982 서울 | 임혜경 | 37회 | 1983 서울 | 임혜경 | |
38회 | 1983 서울 | 임혜경 | 40회 | 1986 서울 | 변성진 | |
41회 | 1987 서울 | 변성진 | 42회 | 1988 서울 | 변성진 | |
43회 | 1989 서울 | 변성진 | 44회 | 1990 서울 | 이은희 | |
46회 | 1992 서울 | 이은희 | 48회 | 1994 서울 | 박분선 | |
49회 | 1995 서울 | 박분선, 최형경(공동 우승) | 50회 | 1996 서울 | 여자 싱글 부문 미개최 | }}}}}}}}} |
51회(1997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1회 | 1997 서울 | 정민주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2회 | 1998 서울 | 신예지 |
53회 | 1999 서울 | 신예지 | 54회 | 2000 서울 | 박빛나 | |
55회 | 2001 서울 | 박빛나 | 56회 | 2002 서울 | 신예지 | |
57회 | 2003 서울 | 김연아 | 58회 | 2004 서울 | 김연아 | |
59회 | 2005 서울 | 김연아 | 60회 | 2006 서울 | 김연아 | |
61회 | 2007 서울 | 김채화 | 62회 | 2008 고양 | 김나영 | |
63회 | 2009 고양 | 김나영 | 64회 | 2010 서울 | 김해진 | |
65회 | 2011 서울 | 김해진 | 66회 | 2012 서울 | 김해진 | |
67회 | 2013 서울 | 김연아 | 68회 | 2014 고양 | 김연아 | |
69회 | 2015 서울 | 박소연 | 70회 | 2016 서울 | 유영 | |
71회 | 2017 강릉 | 임은수 | 72회 | 2018 서울 | 유영 | |
73회 | 2019 서울 | 유영 | 74회 | 2020 의정부 | 유영 | |
75회 | 2021 의정부 | 김예림 | 76회 | 2022 의정부 | 유영 | |
77회 | 2023 의정부 | 신지아 | 78회 | 2024 의정부 | 신지아 | }}}}}}}}} |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3b6e; font-size: 1em;" |
}}}}}}}}} |
<colbgcolor=#428ce8><colcolor=#ffffff> |
|
이름 | 최형경(崔衡京, Choi Hyungkyung)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출생 | 1980년 6월 27일 ([age(1980-06-27)]세) |
학력 |
경복국민학교 (졸업) 신구중학교 (전학) 수내중학교 (졸업) 서현고등학교 (졸업) 세종대학교 (체육학 / 학사) |
종목 | 피겨 스케이팅 |
링크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現 코치이다.2. 선수 경력
1996년부터 2001년까지 5년 동안 국가대표를 지냈다. 1995 주니어 세계선수권, 1996 세계선수권, 1998 세계선수권, 1996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에 출전했다.2.1. 커리어
국제대회:시니어 | ||||||||||||
대회 | 91–92 | 92–93 | 93–94 | 94–95 | 95–96 | 96–97 | 97–98 | 98–99 | 99–00 | 00–01 | ||
세계선수권 | 14th Q | 29th | ||||||||||
카를 섀퍼 메모리얼 | 19th | |||||||||||
아시아 컵 | 10th | |||||||||||
아시안 게임 | 8th | |||||||||||
국제대회:주니어 | ||||||||||||
주니어 세계선수권 | 17th Q | |||||||||||
JS 우크라이나 | 14th | |||||||||||
Q=예선, JS=주니어 시리즈 |
3. 지도자 경력
많은 선수들을 길러냈다.3.1. 주요 소속 선수
3.1.1. 은퇴/이적 선수
3.2. 코칭 스킬
국내 여타 코치들보다 빠르게 점프 진도를 나가고, 난이도 높은 점프를 장착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국내에선 가장 최고난도의 점프 장착을 선수들에게 꾸준히 시도하고 있다.2016년 유영을 지도할 당시, 높은 점프 구성과 타노 점프를 장착시키고, 4회전 점프를 연습시키는 등 기술적인 면에서 한 발 앞서가는 모습을 보여줬었다. 그리고 2018년에 위서영의 주니어 그랑프리 데뷔전에서의 높은 기술점으로 이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위서영은 당시 높은 점프 구성+레벨 4에 가산점을 잘 받는 비점프 요소로서 기술점을 최대로 받아갔는데, 이전에는 한국 선수들이 점프에만 치중했다면 이제는 스핀이나 스텝에서도 점수를 보존하는 이러한 선수들이 나오게 되면서 주니어 무대에서 한국 여자 싱글 선수들이 한 단계 나아가게 되었다.
특히 남자 싱글 이시형의 4회전 점프를 순수 국내에서 장착시켰다는 성과를 냈다. 그리고 2022년에는 주니어 여자 선수인 김유재가 트리플 악셀을 뛰기 시작했고, 노비스 남자 선수 최하빈은 트리플 악셀과 쿼드러플 토룹 점프를 뛰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 팀 소속 선수들이 점프의 질을 유지하지 못한다는 점을 종종 지적받는다. 일례로 과거 유영은 타노 점프를 뛰면서 점프 자세가 안좋아졌다는 평을 듣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