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22:27:05

최재훈(야구선수)/선수 경력/2024년

최재훈/2024년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최재훈(야구선수)/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bordercolor=#F60> 파일:HUNY HUNY.png 관련 문서
최재훈
Choi Jaehun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덕수고등학교 야구부
프로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두산 베어스
Doosan Bears
2008년 · 2009년 · 201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한화 이글스
Hanwha Eagles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기타
플레이 스타일 · 여담
}}}}}}}}} ||

최재훈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3년 2024년 2025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1. 개요2. 시즌 전
2.1. 스프링캠프2.2. 시범경기
3. 정규시즌
3.1. 전반기
3.1.1. 3월3.1.2. 4월3.1.3. 5월3.1.4. 6월3.1.5. 7월
3.2. 후반기
3.2.1. 7월3.2.2. 8월3.2.3. 9월
4. 시즌 후 총평5. 시즌 후

[clearfix]

1. 개요

2024년 한화 이글스 소속 포수 최재훈의 활약상을 담은 개별 문서.

2. 시즌 전

2.1. 스프링캠프

2.2. 시범경기

3. 정규시즌

3.1. 전반기

3.1.1. 3월

파일:최재훈2024-3월.jpg
3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7 12 4 1 0 0 2 3 2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3 3 0 0 .333 .526 .417 .943 0.28

3.1.2. 4월

파일:최재훈2024-4월.jpg
4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14 37 9 1 0 0 2 3 9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6 4 0 0 .243 .396 .270 .666 0.47

왼쪽 옆구리 통증으로 타격이 힘들어 4월 24일에 말소되었다. 경기 자체는 21일부터 뛰지 않았기 때문에 말소 기간 역시 소급 적용돼서 5월 1일부터 등록이 가능하다. 따라서, 4월 경기를 마감하게 됐다.

3.1.3. 5월

파일:최재훈2024-5월.jpg
5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19 57 17 4 0 0 9 8 12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4 3 2 0 .298 .364 .368 .732 0.17

5월 10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시즌 4차전 경기에서 선발 출장하여 4타수 3안타를 기록하였다. 정은원과 함께 하위타선에서 묵묵히 기대 이상의 출루를 해 주었다.
5월 12일 1타점 2루타와 도루 저지를 포함한 활약으로 팀의 위닝 시리즈에 큰 보탬을 하였다. 특히 데뷔 첫 등판이었던 신인 조동욱을 잘 리드하여 6이닝 1실점 호투로 이끌었다.
5월 21일 LG 트윈스와의 시즌 4차전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장타포함 3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으로 활약하였다.
5월 24일 SSG 랜더스와의 시즌 7차전 경기에서 4타수 2안타 1타점 1득점을 기록하였다.

3.1.4. 6월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6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0 0 0 0 0 0 0 0 0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0 0 0 0 .000 .000 .000 .000 0.00

6월 4일 수원 kt전 시즌 7차전 경기, 3회말 3루에 있던 문상철을 견제로 잡아내는 집중력을 보여주며 불리하게 흘러가던 경기 흐름을 바로잡았다. 또한 3타수 2안타 2타점 불방망이를 휘두르며 김경문 감독에게 데뷔승을 안겨주는 활약을 해냈다.[1]
6월 5일 kt wiz와의 시즌 8차전 경기에서 선발 출장하여 2타수 2안타 2사구 1볼넷, 5출루이자 전타석 출루를 기록하며 대활약했다. 시즌 타율은 종전 .289에서 .302로 증가했고, 출루율은 무려 .402에서 .422로 증가하며 극강의 타격감을 보여주고 있다. 심지어 사구를 두 번이나 맞았음에도 화를 전혀 안 냈으며[2] 박상원의 10점차 상황에서의 과도한 세리머니로 인해 분노한 황재균 장성우[3]를 말리는 성숙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6월 6일 kt wiz 시즌 9차전 경기에서도 선발 출장했으며 워낙 이날 선발 엄상백의 인생 호투를 선보이며 타선을 꽁꽁 묶는 바람에 타선에서는 활약을 하지 못할 줄 알았으나 9회 안타를 쳐내며 만루 상황을 만들고 팀이 대거 득점을 하는데 기여했다.
6월 11일 두산 베어스와의 시즌 7차전 경기에서 선발 출장하여 2타수 1안타 1타점을 기록하였다. 4회초 2루타를 기록한 뒤 발목에 불편함을 느껴 부상 방지 차원에서 대주자 유로결과 교체되었다.

3.1.5. 7월

3.2. 후반기

3.2.1. 7월

3.2.2. 8월

3.2.3. 9월

4. 시즌 후 총평

시즌 최종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석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WPA wRC+
0 0 0 0 0 0 0 0 0 0 0 0 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5. 시즌 후



[1] 참고로 최재훈과 김경문 감독은 두산 시절 함께했던 인연이 있다. [2] 보통 사구의 경우 첫 번째는 경우에 따라 넘어가는 경우도 있지만 같은 팀 혹은 같은 경기 내에서 두 번째라면 거의 대부분이 고의라고 보고 항의 내지는 벤치 클리어링 등의 다툼이 벌어진다.미국이라면 주먹부터... [3] 특히나 장성우는 팀 내에서는 베테랑 포수라는, 사실상 최재훈과 같은 위치에 있는데 정작 사구를 두 번 맞은 최재훈은 넘어간 반면 본인이 타석에 있는 것도 아니었는데 감정적으로 반응한 장성우는 최재훈과 비교되며 여론이 심각하게 악화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