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2. 300번대 좌석버스 (300~309번)
2.1. 300번 (경남대학교-대방동)2.2. 300-1번 (암하-대방동) (폐선) - 우성여객2.3. 300-2번 (명주-대방동) (폐선) - 신흥여객2.4. 301번 (월영아파트-인의동)2.5. 302번 (남부터미널-인의동)2.6. 303번 (월영아파트-청솔아파트)2.7. 304번 (경남대학교-성주사역)2.8. 305번 (해운중학교-대방동)2.9. 305-1번 (경남대학교-가음정동(순환)) (폐선)2.10. 306번 (월영아파트-불모산동)2.11. 307번 (경남대학교-성주동)2.12. 308번 (월영아파트-창원대학교)2.13. 308-1번 (경남대학교-정우상가(순환)) (폐선)2.14. 309번 (인의동-도계동)
3. 310번대 좌석버스 (310~317번)3.1. 310번 (인의동-소답동)3.2. 311번 (대방동-마산대학)3.3. 311-1번 (대방동-호계)3.4. 312번 (대방동-마산대학)3.5. 313번 (월영아파트-삼계) (폐선)3.6. 315번 (마산대학-장천동)3.7. 316번 (장천동-창원터미널)3.8. 317번 (인의동-소답동)
4. 320~330번대 좌석버스 (324~331번)5. 380번대 좌석버스 (380~386번)5.1. 380번 (난포-대방동) (폐선)5.2. 380-1번 (구복-대방동) (폐선)5.3. 381번 (둔덕-대방동) (폐선)5.4. 382번 (마산역-대현)5.5. 383번 (마산대학-일암)5.6. 384번 (명주-대방동) (폐선)5.7. 385번 (마산역-탑동)5.8. 386번 (마산역-인곡)
6. 390~400번대 좌석버스 (390~400번)1. 개요
2005년 개편 전의 좌석버스 노선현황을 설명한 문서.2. 300번대 좌석버스 (300~309번)
2.1. 300번 (경남대학교-대방동)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불종거리로 - 육호광장 - 무학여고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윤병원 - 사단앞 - 도계주유소 - 명서다리 - 농협한마음공판장 - 지귀상가 - 대동그린코아 - 창원의집입구 - 경상남도청 - 검찰청 - 법원 - 사파동성아파트 - 대방초등학교 - 대방동성아파트첫차는 경남대 5시 30분, 대방동 5시 22분
막차는 경남대 23시 13분, 대방동 23시 21분
19대가 8분 간격으로 하루 133회 운행하였다.
마산, 창원 시내버스의 일반, 좌석노선 전체를 모두 통틀어서 배차간격이 가장 짧은 노선 즉, 가장 자주 다니던 노선이었다. 2위는 아래 나오는 305번이고 공동 3위가 일반 60번(경남대학교-창원대학교)과 304번. 실질적으로는 마산구간에서 노선이 동일한 형제노선인 일반 13/14번이 통합배차로 가장 자주다녔지만 300번과 60번도 어시장(300)/부림시장(60)경유와 창원대학교 미경유(300)/경유 및 종착(60) 차이를 제외하면 노선이 동일했다.
개편 때 창이대로 대신 원이대로를 지나는 급행노선 700번이 되었다가, 이후 광역급행 등급인 800번에 이어 현재는 6000번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농협한마음공판장 이후 구간은 702번이 대신하다가 701번과 합쳐져 707번으로 변경되어 2023년 6월 9일까지 존속했다. 현재는 122번이 실질적으로 노선 대부분을 대체하고 있다.[1]
2.2. 300-1번 (암하-대방동) (폐선) - 우성여객
암하 - 지산 - 진동 - 밤밭고개 - 화인아파트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불종거리로 - 육호광장 - 무학여고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윤병원 - 사단앞 - 도계주유소 - 명서다리 - 농협한마음공판장 - 지귀상가 - 대동그린코아 - 창원의집입구 - 경남도청 - 검찰청 - 법원 - 사파동주민센터 - 대방초등학교 - 대방동성아파트2.3. 300-2번 (명주-대방동) (폐선) - 신흥여객
명주 - 군령삼거리 - 마전 - 도만 - 다구 - 광암 - 진동 - 밤밭고개 - 화인아파트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불종거리로 - 육호광장 - 무학여고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윤병원 - 사단앞 - 도계주유소 - 명서다리 - 농협한마음공판장 - 지귀상가 - 대동그린코아 - 창원의집입구 - 경남도청 - 검찰청 - 법원 - 사파동주민센터 - 대방초등학교 - 대방동성아파트이 버스는 이용률이 극히 적었었다. 그 이유는...
1. 21-4번과 거의 겹쳤다.
2. 좌석버스이다보니 요금도 더 비쌌다.
3. 배차시간이 무려 4시간이 넘었다. 그래서 차도 1대뿐이고 담당 기사도 1명 뿐이었다.
4. (가장 중요한) 그 배차마저 잘 지켜지지 않았다.
이용률이 저조하다 - 배차를 지키자 않거나 펑크를 낸다 - 예측이 안되므로 배차시간 잘 지키는 21-4번을 이용한다 - 이용률이 저조하다 의 악순환...
이 버스를 이용하게 되는 경우는 명절 때 21-4번이 차가 밀려서 예측이 안되어 하염없이 기다릴때 뜬금없이 나타날 때라고 카더라... (대부분은 그냥 진동 올라가서 대로에서 시내버스나 시외버스를 탔다고 카더라...) (이건 지금도 마찬가지잖아...)
그나마 눈물겨운 홍보책으로 2000년대 초반까지는 300번과 동일이라는 스티커를 붙이고 다녔다. 실제로 시내구간은 300번과 같은 노선이다. 2002년 5월 3일 주도로 단축되면서 24-7번으로 형간전환 되었다. 이후 행적은 개편 전 24-7번 참조
2.4. 301번 (월영아파트-인의동)
월영아파트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수출후문 - 봉암교 - 양곡상가 - 시민회관 - 여좌동 - 진해역 - 인의동첫차는 월영A 5시 51분, 인의동 5시 14분
막차는 월영A 22시 50분, 인의동 23시 08분
4대가 29분 간격으로 하루 33회 운행하였다.
개편 때 폐선되었다. 이후 한동안 남마산-진해를 직접 잇는 좌석노선이 없었다가, 2012년에 860번이 생겼지만, 이 노선은 여좌고가로를 통해 용원동으로 들어간다는 점에서 301번과는 차이가 있다. 2023년 6월 10일부로 860번이 762번과 통합되어 3002번이 되었다.
2.5. 302번 (남부터미널-인의동)
남부터미널 - 해안도로 - 부림시장 - 회산교 - 석전사거리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진해행:마산시외터미널/마산행:도원예식장) - 양덕초교 - 마산고속터미널 - 수출후문 - 봉암교 - 양곡상가 - 시민회관 - 여좌동 - 진해역 - 인의동첫차는 경남대 5시 30분, 인의동 5시 40분
막차는 경남대 23시 18분, 인의동 23시 28분
11대가 14분 간격으로 하루 78회 운행하였다.
개편 때 760번이 되었다. 개편 당시에는 해운중학교 연장 이외에는 별다른 변경점이 없었으나, 이후 마산역으로 단축, 2023년에 폐선 되었다.
2.6. 303번 (월영아파트-청솔아파트)
월영아파트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양덕초등학교 - 삼성병원 - 청소년복지회관 - 팔용동주민센터 - 창원여중 - 윤병원 - 사단앞 - 도계주유소 - 명서다리 - 농협한마음공판장 - 지귀상가 - 대동그린코아 - 사격장입구 - 성심유치원 - 도청 - 검찰청 - 법원 - 사파동주민센터 - 남양동성아파트 - 알뜰생활관 - 남산동 - 성주사역 - 신우에이스타운 - 청솔아파트첫차는 월영A 5시 30분, 청솔A 5시 30분
막차는 월영A 23시 12분, 청솔A 22시 55분
10대가 18분 간격으로 하루 60회 운행하였다.
원래 노선은 대방동까지만 운행하였으나 청솔아파트까지로 연장되면서 위 노선이 되었다.
개편 때 폐선되었다. 개편 이후 팔용로를 운행하는 좌석노선은 근 10년간 존재하지 않았다가 2015년 801번이 팔용로 경유로 바뀌며 다시 생겼다.[2] 이후 2023년 6월 10일부로 폐선되어 사라졌다.
2.7. 304번 (경남대학교-성주사역)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수출후문 - 봉암교 - 세원중기 - 창곡삼거리 - 충혼탑 - 창원전문대 - 럭키아파트 - 일동아파트 - 성심유치원 - 도청 - 검찰청 - 법원 - 사파동주민센터 - 대방초등학교 - 대방동성아파트 - 성주광장 - 성주사역첫차는 경남대 5시 30분, 성주사역 5시 30분
막차는 경남대 23시 20분, 성주사역 23시 13분
14대가 11분 간격으로 하루 98회 운행하였다.
원래 노선은 대방동성아파트까지만 운행하였으나 성주사역까지로 연장되면서 위 노선이 되었다. 22번(해운중학교-성주사역)과 마찬가지로 천선동(성주사 입구)으로는 운행하지 않았다.
창원 F3 대회가 있었던 날에는 창원전문대를 경유하지 않고 충혼탑 - 대원동 - 명곡로타리 - 문성고 - 럭키아파트 구간으로 돌아서 운행하기도 하였다.[3]
개편때 마산 구간은 월영아파트로 연장, 창원 구간은 창원대학교 경유로 바뀌고 대방동성아파트로 다시 단축되어 704번이 되었다가 2023년 6월 10일부로 740번이 되었다.
2.8. 305번 (해운중학교-대방동)
해운중학교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불종거리로 - 신태양극장 - 회산교 - 석전사거리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동서식품 - 창원시외터미널 - 올림픽공원 - 창원병원 - 삼일상가 - 은아아파트 - 대동백화점 - 가음정주공아파트 - 대방초등학교 - 대방동성아파트첫차는 해운중 5시 30분, 대방동 5시 15분
막차는 해운중 23시 25분, 대방동 23시 17분
16대가 10분 간격으로 하루 112회 운행하였다.
원래 노선은 창원남고, 경창상가, 경남도청을 경유하고 가음정동을 종점으로 하는 노선[4]이었으나 1992년 대방동 택지개발 이후 대방동으로 종점이 변경되고 창원호텔 및 은아아파트를 경유하게 되면서 위 노선이 되었다.
개편 때 노선 자체는 702번으로 유지 되었으나 창원 구간이 도계초등학교, 정우상가, 경남도청, 대암로 경유로 크게 변경되어서 실질적으로는 개편 후 약 한 달 뒤에 신설된 705번이 이 노선의 후신이다.[5] 개편 이후로도 근 10년을 잘 다녔으나 실적 저조를 이유로 결국 2015년에 폐선되었다.
2.9. 305-1번 (경남대학교-가음정동(순환)) (폐선)
2.10. 306번 (월영아파트-불모산동)
월영아파트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동서식품 - 창원시외터미널 - 창원공고 - 문성고교 - 창원종합운동장 - 정우상가 - 삼일상가 - 경창상가 - 한국기계연구원 - 창원남고 - 남산터미널 - 삼정자동 - 한국전기연구원 - 불모산동첫차는 월영A 5시 38분, 불모산동 5시 23분
막차는 월영A 23시 23분, 불모산동 23시 48분
11대가 15분 간격으로 하루 72회 운행하였다.
개편 때 폐선되었으나, 109번이 대부분의 구간을 대체하고 있다.[6]
2.11. 307번 (경남대학교-성주동)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동서식품 - 창원시외터미널 - 창원공고 - 문성고교 - 창원운동장 - 정우상가 - 은아아파트 - 대동백화점 - 가음정사거리 - 남산터미널 - 성주사역 - 성주동첫차는 경남대 5시 30분, 성주동 5시 15분
막차는 경남대 23시 30분, 성주동 23시 41분
11대가 14분 간격으로 하루 73회 운행하였다.
개편 때 극동아파트, 사파초등학교 경유로 변경되어 703번이 되었다. 이후 개편으로 창원대로 경유에서 도계동-명서동 경유로 변경 그리고 대방동으로의 변경 후 남산아파트로의 종점이 변경되어 노선이 단축되었다가 다시 성주사역으로 노선이 연장되었고, 2023년에 폐선되었다.
2.12. 308번 (월영아파트-창원대학교)
월영아파트 - 경남대학교 - 문화동 - 제일여고 - 마산여고 - 한우아파트 - 서원곡 - (마산행 : 경남은행연수원/창원행 : 형제상가빌라) - 회원초교 - 석전사거리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마산행 : 윤병원 - 사단앞/창원행 : 북동공설시장 - 소답초등학교) - 도계주유소 - 명서다리 - 상북초등학교 - 지귀상가 - 까치아파트 - 럭키아파트 - 중앙고등학교 - 정우상가 - 성산아트홀 - 성심유치원 - 창원대학교첫차는 월영A 5시 40분, 창원대 5시 40분
막차는 월영A 23시 20분, 창원대 23시 10분
12대가 15분 간격으로 하루 72회 운행하였다.
개편 때 701번이 되면서 창원역 - 소답동 - 도계동 - 명서동 경유에서 창원대로 - 창원공고 - 명곡로타리 경유로 바뀌었고 그 후 702번과 통합되어 707번이 되었다가 2023년에 폐선되었다.
2.13. 308-1번 (경남대학교-정우상가(순환)) (폐선)
2.14. 309번 (인의동-도계동)
인의동 - 진해역 - 여좌동 - 시민회관 - 양곡상가 - 세원중기 - 창곡삼거리 - 올림픽공원 - 창원병원 - 창원남고 - 가음정사거리 - 가음정주공아파트 - 개나리2차아파트 - 사파동성아파트 - 법원 - 검찰청 - 경남도청 - 성심유치원 - 창원대학교 - 사격장입구 - 대동그린코아 - 지귀상가 - 상북초등학교 - 명서다리 - 도계동첫차는 인의동 5시 40분, 도계동 5시 20분
막차는 인의동 22시 40분, 도계동 22시 23분
5대가 30분 간격으로 하루 33회 운행하였다.
원래 노선은 경창상가, 삼일상가, 성산아트홀을 경유하고 창원대학교까지만 운행[7]하였으나, 대방동 택지지구 개발로 인하여 경남도청, 법원, 대방동 경유로 변경되었고, 1995년경에 도계동까지로 연장되면서 위 노선이 되었다.
개편 때 창원대학교로 다시 단축되어 750번이 되었으나, 2009년에 폐선되었다.
3. 310번대 좌석버스 (310~317번)
3.1. 310번 (인의동-소답동)
인의동 - 진해역 - 여좌동 - 시민회관 - 양곡상가 - 세원중기 - 남창원역 - 창원병원 - 삼일상가 - 정우상가 - 창원종합운동장 - 반지민원센터 - 지귀상가 - 농협한마음공판장 - 명서다리 - 도계주유소 - 소답동첫차는 인의동 6시 04분, 소답동 5시 52분
막차는 인의동 22시 45분, 소답동 22시 40분
5대가 29분 간격으로 하루 36회 운행하였다.
개편 때 창원 버스 751이 되었고, 2009년 7월 중순에 간선좌석버스의 노선 직선화로 인하여, 반지민원센터 경유에서 더시티세븐자이 경유로 바뀌었다. 2023년에 폐선되어 사라졌다.
3.2. 311번 (대방동-마산대학)
대방동 - 남산초등학교 - 가음정주공아파트 - 대동백화점 - 은아아파트 - 정우상가 - 창원종합운동장 - 문성고교 - 명서다리 - 도계주유소 - 사단앞 - 윤병원 - 창원역 - 한국전력 - 마산시외터미널 - 마산역 - 경남은행본점 - 교도소입구 - 중리삼거리 - 용마정비 - 삼계GS마트 - 장미아파트 - 죽암 - 마산대학첫차는 대방동 5시 28분, 마산대학 5시 30분
막차는 대방동 23시 10분, 마산대학 23시 06분
10대가 18분 간격으로 하루 60회 운행하였다.
개편 때 북동공설시장, 경창상가, 창원남고 경유 성주동으로 노선이 바뀌어 창원 버스 710이 되었다. 그 후 초기 보완 과정에서 북동공설시장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이 구 311번과 동일하게 변경되었고 2023년에는 종점이 불모산동( 성주공영차고지)으로 연장되었다.
3.3. 311-1번 (대방동-호계)
대방동 - 알뜰생활관 - 가음정주공아파트 - 대동백화점 - 은아아파트 - 정우상가 - 창원종합운동장 - 문성고교 - 명서다리 - 도계주유소 - 사단앞 - 윤병원 - 창원역 - 한국전력 - 마산시외터미널 - 마산역 - 경남은행본점 - 교도소입구 - 중리삼거리 - 동서병원 - 코오롱아파트 - 호계첫차는 대방동 5시 46분, 호계 5시 40분
막차는 대방동 23시 14분, 호계 22시 29분
4대가 39분 간격으로 하루 28회 운행하였다.
개편 때 창원대로 경유로 바뀌어 712번이 되었다가, 간선일반노선으로 형간전환되어 115번이 되었다.
3.4. 312번 (대방동-마산대학)
대방동 - 알뜰생활관 - 개나리2차아파트 - 남양동성아파트 - 법원 - 도청 - 사격장입구 - 지귀상가 - 창원공고 - 창원시외터미널 - 동서식품 - 한국전력 - 마산시외터미널 - 마산역 - 경남은행본점 - 북성초교 - 교도소입구 - 아래/윗구슬골 - 용마정비 - 삼계롯데마트 - 장미아파트 - (마산대학행 : 농산물도매시장) - 죽암 - 마산대학첫차는 대방동 5시 37분, 마산대학 5시 40분
막차는 대방동 22시 56분, 마산대학 22시 51분
4대가 43분 간격으로 하루 24회 운행하였다.
원래 노선은 남산동을 기점으로 하여 도계동, 소답동, 창원역을 경유하였으나[8], 2001년경에 남산동 기점이 폐쇄되면서 대방동으로 기점을 변경하였고 동시에 창원시외터미널과 창원대로 입구를 경유하도록 변경, 윗/아래 구슬골 경유로 변경, 이후 마산대학 방면 한정 농산물시장 경유로 변경 되면서 위 노선이 되었다.
개편 때 폐선되었으나, 110번이 이 노선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3.5. 313번 (월영아파트-삼계) (폐선)
월영아파트 - 남부터미널 - 해안도로 - 부림시장 - 회산교 - 서마산시장 - 교도소입구 - 중리삼거리 → 중리역 → 서광맨션 → 장미아파트 → 삼계롯데마트 → 용마정비 → 중리역 → 중리삼거리 (이후 동일)2002년경 신설된, 신설 의도를 도통 알 수 없었던 노선 중 하나. 해안도로와 서광맨션 경유를 제외하면 11번과 완전 중복 노선[9]인데다, 내서읍 방향으로 갈때는 서광맨션 경유로 인해 11번보다 오히려 굴곡 노선이었기 때문에 수요는 바닥을 기었다. 신설 초기에서는 3대 40분 간격으로 운행하였으나, 이후 한대가 감차되어 폐지 직전에는 인가상으로 2대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물론 당시 분위기상 폐선 직전에 실제로 운행하는 것은 보기 드물었다.
2003년경에 19번 신설과 동시에 폐선되었다.
3.6. 315번 (마산대학-장천동)
마산대학 - 죽암 - 장미아파트 - 삼계 - 용마정비 - 중리삼거리 - 교도소입구 - 북성초교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진해행:마산시외터미널/마산행:도원예식장) - 양덕초교 - 마산고속터미널 - 수출후문 - 봉암교 - 양곡상가 - 시민회관 - 여좌동 - 중앙시장 - 경화동 - 남흥아파트 - 풍호동 - 장천동첫차는 마산대학 5시 48분, 장천동 5시 48분
막차는 마산대학 22시 34분, 장천동 22시 42분
4대가 42분 간격으로 하루 24회 운행하였다.
원래 302번과 함께 남부터미널에서 출발하는 노선이었다.[10] 302번 3대에 315번 1대씩 교대로 남부터미널에서 출발하였다. 이후 99년 11월말에 내서읍 방향으로 노선이 크게 변경되어 위 노선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개편 때 삼계 지역 경유를 761번에 물려주고, 중리역 직진으로 변경되어 762번이 되었다가 2023년 6월 10일에 860번과 통폐합되어 3002번이 되었다.
3.7. 316번 (장천동-창원터미널)
장천동 - 풍호동 - 남흥아파트 - 경화동 - 경화역 - 안민터널 - 성주사역 - 대림자동차 - 남창원역 - 창곡삼거리 - 올림픽공원 - 창원병원 - 창원남고 - 경창상가 - 삼일상가 - 성산아트홀 - 성심유치원 - 창원대학교 - 사격장입구 - 대동그린코아 - 지귀상가 - 농협한마음공판장 - 창원공고 - 창원터미널첫차는 장천동 6시 41분, 창원터미널 5시 50분
막차는 장천동 22시 44분, 창원터미널 22시 10분
2대가 55분 간격으로 하루 13회 운행하였다.
원래 노선은 창원대학교까지만 운행하였고 양곡동에도 경유하던 노선[11]이었으나, 1995년경에 309번처럼 도계동까지로 연장되었다가 얼마 못가 창원터미널까지로 다시 변경되었고 1999년경에 안민터널 개통으로 인하여 양곡동 미경유 및 남창원역, 성주사역을 경유하게 되면서 위 노선이 되었다.
개편 때 317번과 통합되어 752번이 되었다가 2023년에 폐선되어 사라졌다.
3.8. 317번 (인의동-소답동)
인의동 - 진해역 - 중앙시장 - 경화동 - 남흥아파트 - 석동사거리 - 안민터널 - 성주사역 - 대림자동차 - 남창원역 - 창원병원 - 삼일상가 - 정우상가 - 창원종합운동장 - 까치아파트 - 지귀상가 - 농협한마음공판장 - 명서다리 - 도계주유소 - 소답동첫차는 인의동 6시 07분, 소답동 5시 30분
막차는 인의동 22시 55분, 소답동 22시 18분
3대가 53분 간격으로 하루 20회 운행하였다.
원래 노선은 장천동을 기점으로 운행하였고 양곡동에도 경유하던 노선[12]이었으나, 1999년경에 안민터널 개통으로 인하여 양곡동 미경유 및 성주사역 경유 그리고 인의동으로 기점을 변경하게 되면서 위 노선이 되었다.
개편 때 316번과 통합되어 752번이 되었다가 2023년에 폐선되어 사라졌다.
4. 320~330번대 좌석버스 (324~331번)
4.1. 324번 (마산역-원전)
마산역 - 한일타운 - 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 밤밭고개 - 현동초등학교 - 수정 - 반동 - 난포 - 심리 - 원전첫차는 마산역 7시 30분, 원전 5시 50분
막차는 마산역 22시 10분, 원전 20시 40분
1대가 180분 간격으로 하루 6회 운행하였다.
2001년 통합노선 대단축 시기때 신설된 노선으로, 당시 폐선된 380번의 대체 노선으로 신설되었다.
개편 때 24번과 통합되어 62번이 되었다.
4.2. 331번 (마산역-선두)
마산역 - 무학여고 - 육호광장 - 불종거리로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 밤밭고개 - 진동 - 고현 - 선두첫차는 마산역 7시, 선두 5시 20분
막차는 마산역 20시 45분, 선두 21시 50분
1대가 165분 간격으로 하루 6.5회 운행하였다.
2000년경 고현-합성동간 좌석노선으로 신설되었으나, 이후 선두로 연장되었다.
개편 때 31, 86, 386번과 통합되어 74번이 되었다.
5. 380번대 좌석버스 (380~386번)
5.1. 380번 (난포-대방동) (폐선)
난포 - 반동 - 수정 - 밤밭고개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타워맨션 - 마산역 - 시외주차장 - 한국전력 - 창원대로 - 창원터미널 - 지귀상가 - 현대아파트 - 도청 - 법원,검찰청 - 대방동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원전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우성여객에서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소답동까지 연장되었고, 그 후 얼마되지 않아 위 노선과 동일하게 대방동으로 연장되었다. 96년에 마창8개사로 노선이 이관되었다.
창원시내는 380, 380-1번이 동일하였고 각각 일 5~6회 운행하였다. 창원대로 시점과 대방동을 잇는 최고속 노선인데 문제는 랜덤한 배차간격으로 인해 운좋으면 타는 버스. 알음알음 이 버스를 골라타는 사람도 있었다.
2001년 통합노선 대단축 시기때 폐선 되었으나, 동시에 신설된 324번이 대체노선이 되었다.
5.2. 380-1번 (구복-대방동) (폐선)
구복 - 반동 - 수정 - 밤밭고개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불종거리로 - 육호광장 - 운동장 - 타워맨션 - 마산역 - 시외주차장 - 한국전력 - 창원대로 - 창원터미널 - 지귀상가 - 현대아파트 - 도청 - 법원,검찰청 - 대방동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구복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우성여객에서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소답동까지 연장되었고, 그 후 얼마 되지 않아 위 노선과 동일하게 대방동으로 연장되었다. 96년에 마창8개사로 노선이 이관되었다.
2001년 통합노선 대단축 시기때 폐선 되었다.
5.3. 381번 (둔덕-대방동) (폐선)
둔덕 - 대정 - 양촌 - 곡안 - 지산 - 진동 - 태봉 - 밤밭고개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불종거리로 - 육호광장 - 무학여고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시외주차장- 한국전력 - 창원역 - 사단앞 - 도계동 - 명서다리 - 대동그린코아 - 도청 - 법원,검찰청 - 대방동마창지역 시내버스 역사상 운행거리 No.1[13]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둔덕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우성여객에서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소답동까지 연장되었고, 그 후 얼마 되지 않아 위 노선과 동일하게 대방동으로 연장되었다. 96년에 마창8개사로 노선이 이관되었다.
운행 당시 시내 구간은 300번과 동일한 노선이었다. 하루 4회 240분 간격으로 운행되었으나, 첫차는 합성동까지만 운행하여 실제로 대방동까지는 하루 3회 밖에 운행하지 않았다.
2001년 통합노선 대단축 시기때 폐선 되었다.
5.4. 382번 (마산역-대현)
대현 - 신촌 - 면허시험장 - 진동 - 태봉 - 밤밭고개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마산역첫차는 마산역 6시, 대현 7시 05분
막차는 마산역 21시 50분, 대현 20시 25분
1대가 160분 간격으로 하루 6.5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상평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우성여객에서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소답동까지 연장되었고, 그 후 얼마 되지 않아 대방동으로 연장되었다.[14] 그러나, 1997년경 면허시험장 방문객과 면허시험장 인근 주민, 신촌공단 근로자들의 민원으로 대현으로 기점이 변경되었다. 당시 대방동으로 간다는 것만 제외하면 307번과 거의 동일하여서 307번과 동일 노선이라는 팻말을 붙히고 다녔다. 96년에 마창8개사로 노선이 이관되었으며, 이후 2001년 통합노선 대단축 시기때 마산역으로 단축되었다.
개편 때 87번과 통합하여 진동으로 단축, 72번이 되었다가 다시 마산역으로 재연장 되었고 진동 단축노선은 72-1번이 되었다.
5.5. 383번 (마산대학-일암)
일암 - 대정 - 양촌 - 곡안 - 오서 - 지산 - 진동 - 태봉 - 밤밭고개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불종거리로 - 회산교 - 국제주유소 - 석전사거리 - 교도소입구 - 중리삼거리 - 삼계 - 죽암 - 마산대학첫차는 마산대학 6시, 일암 6시
막차는 마산대학 20시 50분, 일암 22시
2대가 110분 간격으로 하루 11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대정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우성여객에서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소답동까지 연장되었고, 그 후 얼마 되지 않아 대방동으로 연장되었다. 96년도에 마창 8개사로 노선이 이관 되면서 산복도로 경유 마산대행으로 변경되었다.[15] 이후 마산시청, 어시장, 회산교, 삼계 경유로 한차례 변경되고, 수곡 경유로 변경되면서 개편 때 까지 유지되었다.
개편 때 대체 노선 없이 폐선되었으며, 일암마을은 76번이 경유하게 된다. 연관성이 없긴 하지만, 개편 이후 신설된 258번이 이 노선의 단축형 노선으로 운행 중이다.
5.6. 384번 (명주-대방동) (폐선)
명주 - 군령삼거리 - 마전 - 도만 - 다구 - 광암 - 진동 - 태봉 - 밤밭고개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불종거리로 - 육호광장 - 무학여고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시외주차장- 한국전력 - 창원역 - 사단앞 - 도계동 - 명서다리 - 대동그린코아 - 도청 - 법원,검찰청 - 대방동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신흥여객 남마산-명주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시외버스 당시 신흥여객이 이 노선을 운행하였다. 1995년에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대방동으로 연장되었다. 그러나 얼마 안있어 노선 번호만 300-2번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내용은 개편 전 300-2번 문서 참조.
5.7. 385번 (마산역-탑동)
탑동 - 오서 - 곡안 - 지산 - 진동 - 태봉 - 밤밭고개 - 신산복도로 - 한우아파트 - 완월초등학교 - 경남데파트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마산역첫차는 마산역 7시 30분, 탑동 6시
막차는 마산역 21시, 탑동 22시
1대가 165분 간격으로 하루 6.5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오서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우성여객에서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소답동까지 연장되었고, 그 후 얼마 되지 않아 대방동으로 연장되었다. [16] 96년도에 마창 8개사로 노선이 이관 되었으며, 2001년 통합노선 대단축때 마산역으로 단축됨과 동시에 어시장, 신세계백화점 경유로 변경된다. 이후 85번과 동일하게 탑동까지 운행하다가 개편을 맞이하게 되었다.
여담이지만 마산역 단축 이전의 경우 경남은행본점부터 대방동 구간 선형이 현재의 103번과 비슷했다.
개편 때 66번, 85번과 통합되어 77번이 되었다.
5.8. 386번 (마산역-인곡)
인곡 - 정곡 - 지산 - 진동 - 태봉 - 밤밭고개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마산역첫차는 마산역 7시 40분, 인곡 6시
막차는 마산역 21시 10분, 인곡 22시 10분
1대가 165분 간격으로 하루 6.5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인곡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우성여객에서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소답동까지 연장되었다. 96년도에 마창 8개사로 노선이 이관 되면서 도계동으로 연장되었다. 2001년 통합노선 대단축때 마산역으로 단축되어 개편을 맞이하게 되었다.
개편 때 31, 86, 331번과 통합되어 74번이 되었다.
6. 390~400번대 좌석버스 (390~400번)
6.1. 390번 (월영아파트-북면온천)
월영아파트 - 남부터미널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창원여중 - 동정동 - 굴현고개 - 화천리 - 동전입구 - 신동 - 북면사무소 - 북면온천첫차는 월영A 5시 40분, 북면온천 5시 45분
막차는 월영A 22시 05분, 북면온천 22시 10분
2대가 80분 간격으로 하루 12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합성동-북면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우성여객에서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경남대학교로 연장되었다. 96년도에 마창 8개사로 노선이 이관되었으며, 이후 통합노선으로서는 유일하게 월영아파트로 연장되었다.
개편 때 폐선 되었으나, 20번이 이 노선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6.2. 391번 (경남대학교-송정)
남부터미널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창원여중 - 윤병원 - 사단앞 - 만남의광장 - 용잠삼거리 - 다호 - 석산 - 봉곡 - 봉강 - 죽동 - 송정첫차는 경남대 7시 30분, 송정 5시 50분
막차는 경남대 22시 30분, 송정 21시 15분
1대가 180분 간격으로 하루 6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합성동-죽동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우성여객에서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경남대학교로 연장되었다. 96년도에 마창 8개사로 노선이 이관되었었다.
개편 때 폐선 되었으나, 42번이 이 노선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6.3. 392번 (대방동-신전)
대방동 - 남산초등학교 - 대동백화점 - 은아아파트 - 정우상가 - 문성고등학교 - 창원공고 - 농산물도매시장 - 창원대로 - 창원여중 - 윤병원 - 사단앞 - 만남의광장 - 용잠삼거리 - 다호 - 석산 - 봉곡 - 봉강 - 죽동 - 대방 - 대산면사무소 - 모산 - 일동 - 신전첫차는 대방동 5시 40분, 신전 7시 20분
막차는 대방동 19시 40분, 신전 21시 50분
1대가 210분 간격으로 하루 5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합성동-동읍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우성여객에서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대방동으로 연장되었다. 96년도에 마창 8개사로 노선이 이관되었었다.
개편 때 31번으로 변경되었다.
6.4. 400번 (북면온천-부곡온천) (폐선) - 마창8개사, 영신버스
북면온천 - 북면사무소 - 북면운동장 - 마산 - 연동 - 가곡 - 본포 - 학촌 - 유촌 - 구산 - 비봉 - 인교 - 수다 - 부곡 - 부곡면사무소 - 부곡터미널창원과 창녕을 오가는 최초의 시내/농어촌버스 노선으로, 마창8개사 1대, 영신버스 1대가 각각 일 4회씩 총 8회를 운행하던 노선이다. 이후 마창8개사는 철수하여 영신버스만 31번을 영산-북면 1회, 부곡-북면 2회로 하루 3회 운행하고 있다.
여담으로 마창8개사 소속 1대는 경남대학교 인근에 있는 남부터미널이 차고지였기 때문에 첫차와 막차에 한해서 남부터미널-북면온천 구간 회송을 할 수밖에 없었는데, 그 구간을 390번과 동일한 노선으로 영업운행하였다.[17] 이는 마창 시내버스 가운데 회송 중 공차회송을 하지 않고 그대로 영업운행했던 거의 유일한 사례다.
[1]
차이점이라면, 어시장 - 불종거리로(300번)/부림시장(122번) 구간, 윤병원(300번)/북동공설시장(122번) 구간, 창원의집입구(300번)/사격장입구 및 창원대학교(122번) 구간 차이 등이 있다.
[2]
그러나 801번은 육호광장-운동장 경유,
창원대로 경유라는 점에서 303번과는 성격이 꽤나 다르다.
[3]
창원 F3 대회가 열리면 그 기간 동안
충혼로 일부 및 주변 몇 도로가 F3 경주로로 쓰이기 때문에 해당 구간은 경주용 자동차를 제외한 모든 차량에 대한 통행이 차단되었다.
[4]
당시 305번 노선은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불종거리로 - 신태양극장 - 회산교 - 석전사거리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동서식품 - 창원시외터미널 - 올림픽공원 - 창원병원 - 창원남고 - 경창상가 - 삼일상가 - 성산아트홀 - 경남도청 - 대동상가 - 가음정동으로 운행하였다.
[5]
차이점이라면 해운중학교/월영아파트 및 어시장/부림시장 경유 여부 차이 밖에 없다.
[6]
차이점이라면, 월영아파트(306번)/경남대학교(109번) 기점 차이와 창원대로 - 창원시외터미널 - 창원공고(306번)/팔용동 - 유니시티 - 도계초등학교 - 명곡동(109번) 경유, 재료연구원(306번)/외동초등학교(109번) 경유 차이 그리고 남양초등학교 경유 유무(306번은 미경유, 109번은 경유) 차이가 있다.
[7]
당시 309번 노선은 인의동 - 진해역 - 여좌동 - 시민회관 - 양곡상가 - 세원중기 - 창곡삼거리 - 올림픽공원 - 창원병원 - 창원남고 - 경창상가 - 삼일상가 - 성산아트홀 - 성심유치원 - 창원대학교로 운행하였다.
[8]
당시 312번 노선은 남산동 - 알뜰생활관 - 개나리2차아파트 - 남양동성아파트 - 법원 - 도청 - 사격장입구 - 지귀상가 - 명서다리 - 도계주유소 - 사단앞 - 윤병원 - 창원역 - 한국전력 - 마산시외터미널 - 마산역 - 경남은행본점 - 북성초교 - 교도소입구 - 중리삼거리 - 용마정비 - 삼계롯데마트 - 죽암 - 마산대학으로 운행하였다.
[9]
장미아파트로 연장된 뒤부터 안계초등학교로 최종 연장되기 직전까지의 11번 노선 기준이며, 안계초등학교로 최종 연장된 이후에는 중리공단로(용마정비 구간)를 경유하지 않고, 서광맨션 - 장미아파트 - 삼계롯데마트 구간을 양방향 경유하였다.
[10]
당시 315번 노선은 남부터미널 - 해안도로 - 부림시장 - 회산교 - 석전사거리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진해행:마산시외터미널/마산행:도원예식장) - 양덕초교 - 마산고속터미널 - 수출후문 - 봉암교 - 양곡상가 - 시민회관 - 여좌동 - 중앙시장 - 경화동 - 남흥아파트 - 풍호동 - 장천동으로 운행하였다.
[11]
당시 316번 노선은 장천동 - 풍호동 - 남흥아파트 - 경화동 - 중앙시장 - 여좌동 - 시민회관 - 양곡상가 - 세원중기 - 창곡삼거리 - 올림픽공원 - 창원병원 - 창원남고 - 경창상가 - 삼일상가 - 성산아트홀 - 성심유치원 - 창원대학교로 운행하였다.
[12]
당시 317번 노선은 장천동 - 풍호동 - 남흥아파트 - 경화동 - 중앙시장 - 여좌동 - 시민회관 - 양곡상가 - 세원중기 - 남창원역 - 창원병원 - 삼일상가 - 정우상가 - 창원종합운동장 - 까치아파트 - 지귀상가 - 농협한마음공판장 - 명서다리 - 도계주유소 - 소답동으로 운행하였다.
[13]
당시 인가거리가 편도로 54km이다. 다음 지도로 당시 경로대로 거리재기를 할 경우 약 55.8km정도로 나온다. 참고로 현재 인가거리가 제일 긴 41번(경남대-본포) 노선이 편도 48.6km이며, 폐선된 159번(북면-용원) 노선의 인가거리가 편도 약 51.6km였다.
[14]
당시 노선은 대정 - 양촌 - 곡안 -
국군마산병원 - 지산 - 진동 - 태봉 - 밤밭고개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대로 - 창원터미널 - 문성고등학교 - 정우상가 - 은아아파트 - 대동백화점 - 남산초 - 대방동으로 운행하였다.
[15]
당시 383번 노선은 일암 - 대정 - 양촌 - 곡안 - 오서 - 지산 - 진동 - 태봉 - 밤밭고개 - 경남대학교 - 제일여고 - 한우아파트 - 서원곡입구 - 회원초등학교 - 국제주유소 - 석전사거리 - 교도소입구 - 중리삼거리 - 청아병원 - 죽암 - 마산대학으로 운행하였다. 당시 진동-내서간 노선이 없었기도 했고, 72번은 마산 시내만 순환하던 시절이라, 내서-산복도로간 노선 확충 목적도 있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16]
당시 노선은 오서 -
국군마산병원 - 지산 - 진동 - 태봉 - 밤밭고개 - 신산복도로 - 한우아파트 - 완월초등학교 - 경남데파트 - 부림시장 - 육호광장 - 무학여고 - 경남은행본점 - 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대로 - 창원터미널 - 문성고등학교 - 정우상가 - 은아아파트 - 대동백화점 - 남산초 - 대방동으로 운행하였다.
[17]
단, 390번의 기종점인 월영아파트는 경유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