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2 17:11:11

진나 국제공항

진나 국제공항
جناح بین الاقوامی ہوائی اڈا
Jinnah International Airport
IATA : KHI / ICAO : OPKC
개요
국가
[[파키스탄|]][[틀:국기|]][[틀:국기|]]
종류 민용공항
운영 파키스탄 민용항공관리국
허브 항공사 파키스탄 국제항공
개항 1924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활주로
제1활주로 07R/25L (3,400 m)
제2활주로 07L/25R (10,500m)
고도 30m (100ft)
지도
1. 개요2. 역사
2.1. 몰락

[clearfix]

1. 개요

파일:jinnah-international-airport.jpg
파일:b52801eccef94ce06bfaec600e07854d.png

파키스탄 제1의 도시이자 옛 수도였던 카라치에 있는 국제공항이다.
파키스탄 국제항공의 허브 공항이며 이름은 파키스탄의 국부이자 초대 파키스탄 총통인 무함마드 알리 진나에서 따왔다.

파키스탄의 관문이며, 냉전기간동안 세계적인 허브 공항이었다.

2. 역사

1932년에 인도인 J. R. D. 타타가[1] 뭄바이의 Juhu Aerodrome에서 여기[2]까지 우편을 실은 비행기를 운항했다.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연합군의 버마, 중국 전선 물자 및 병력 수송기지로도 활약한 바 있다.

파키스탄이 영국에서 인도와 분리해 독립하자 196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는 유럽 아시아를 잇는 허브 공항 중 하나였다.

그 당시 카라치에 취항한 주요 항공사로는 에어 인디아, 영국항공, 인터플루크[3], 알리탈리아, 에티오피아 항공, 에어 프랑스, 콴타스, 팬암[4], 로얄 요르단 항공, 일본항공, 루프트한자, 스위스에어, 스칸디나비아 항공, KLM 등이 있었다.

냉전으로 시베리아 중국 영공을 통과해 유럽에서 아시아로 갈 수 없었던 당시 이 공항은 인구 대국 파키스탄의 항공 수요와 관광지로서의 인기 덕에 유럽 항로의 거점으로 높은 지위를 누렸다. 한 때는 레바논 베이루트, 이집트 카이로 등과 함께 이슬람권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들 중 하나로 꼽히는 도시가 카라치였다.

특히 1970년대까지 팬암이 운항했던 세계일주 노선의 기착지이기도 했다. 해당 노선은 뉴욕에서 유럽, 중동, 남아시아, 일본과 하와이를 지나 LA까지 오는 노선이었다. 당시 팬암은 항공 산업의 규제로 인해 국내선 운항 권한이 없었다.

2.1. 몰락

그러나 1990년대 냉전이 끝나 러시아 중국의 영공이 개방되었고, 보잉 747-400이나 A340, MD-11 같이 긴 항속거리를 가진 여객기들이 등장하면서 동남아시아 인도, 중동을 거쳐 남회하는 유럽 항로는 서서히 사라지기 시작했다.

게다가 좀 멀지만 위치가 더 좋은 중동의 두바이가 오일머니의 힘으로 세계적인 허브로 발돋움하였으며 여기에 파키스탄의 관료주의와 정치적, 사회적 불안이 겹쳐져 항공사들은 이 공항으로의 운항을 기피하기 시작한다. 다른 한편으로 해당 공항을 허브로 삼은 파키스탄 국제항공의 개판 막장 운영도 문제였는데, 항공기 내 위생 같은 기본적인 것도 잘 지켜지지 않았고, 1992년에는 진나 국제공항을 거쳐 네팔로 여행하려던 유럽인, 캐나다인, 일본인 관광객들이 탑승한 268편 비행기가 추락하면서 탑승객 전원이 사망하는 사고도 일어났다. 파키스탄 국제항공의 주요 사고 원인은 조종사들의 실력 미숙에 있었다.

더구나 1970년대 이후 서서히 힘을 키워 오던 홍콩 국제공항도 성장하며 캐세이퍼시픽항공이 모든 수요를 대체하기 시작했고 동남아시아 허브도 자연스레 홍콩 및 신생국 싱가포르로 옮겨진다.

결국 루프트한자, KLM[5]이 떠난 이 공항에 남은 유일한 비 이슬람권/ 비 남아시아 회사는 스위스에어였는데, 언젠가부터 그마저도 취리히에서 두바이를 경유해 운항하고 있었다. 게다가 그 스위스에어도 한때는 '날으는 은행'이라 불릴 정도로 수익이 좋았으나, 무리하게 다른 회사를 인수하고 사업을 확장하다가 9.11 테러로 2001년 10월 2일 운항이 중지되었다.

결국 사실상 파산해 버린 스위스에어의 자산을 인수한 스위스 국제항공이 취리히-두바이-카라치 노선을 계속 운항하게 되었으나, 이전의 스위스에어의 방대한 노선에서 수익을 올릴 수 없었고 가면 갈수록 나빠지는 파키스탄의 상황도 한몫했던 스위스 국제항공은 결국 2004년에 이 노선의 운항을 중단하였고, 이로써 진나 국제공항은 중동-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항공사를 제외하고는 아무도 오지 않는 동네가 되어 버렸다.

루프트한자 2009년 경 프랑크푸르트-카라치 노선을 주 3회 운항 재개하기도 했으나 그놈의 불안정한 정치 상황 때문에 또 중단(...)크리를 맞았으며 게다가 2014년에는 탈레반의 습격을 받기도 했다.

한편 여기 말고 현 수도인 이슬라마바드로 오던 영국항공은 2010년에 발생한 테러 한 건 때문에 파키스탄에서 아예 철수해 버렸다. 원래 영국항공이 웬만한 구 대영제국 식민지라면 다 오는데도 철수한 것이다. 게다가 파키스탄이 그냥 소국도 아니고 인구만 2억 4천 만이 넘는 나라인데도 말이다.

하지만 2019년부터 이슬라마바드 행 노선을 재개하였다. 2020년 5월 22일 진나 국제공항으로 착륙하려던 파키스탄 국제항공 8303편이 고어라운드 후 착륙 재시도 중 인근 주택가에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1] 타타그룹을 소유한 타타 가문의 일원으로 창업주 잠셋지 타타의 5촌 조카 되는 인물이다. [2] 당시에는 Drigh Road airstrip으로 불렸는데 아직 인도-파키스탄 분할 전이었다. [3] 동독의 플래그 캐리어였다. [4] 다만 팬암과의 악연이 있었다. 팬암은 뭄바이 및 뉴델리에서 출발하여 이 곳과 유럽을 경유해 존 F. 케네디 국제공항으로 향하는 노선인 73편을 보잉 747-100을 투입해 운항했는데 1983년에 승객 227명과 승무원 16명을 태운 N738PA 기체가 착륙 중 4번 엔진의 역추진 문제로 오버런하여 완파되었고 1986년에는 승객 360명과 승무원 19명을 태운 N656PA 기체가 이 공항에서 프랑크푸르트로 향하기 위해 지상에서 대기 중 팔레스타인 테러리스트들에게 납치당해 21명이 사망했다. [5] 자사의 보잉 747-400 중 하나에 City of Karachi라는 이름을 붙여주기도 했는데(등록번호 PH-BFK), 얄궂게도 이 비행기는 철수한 이후로도 2016년까지 현역으로 운행하다가 2018년에 스크랩 처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