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 분야 자격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농어업토목기술사 |
- | 토목산업기사 | 토목기사 | - | ||||
- | - | - | 토목구조기술사 | ||||
- | - | - | 토질및기초기술사 | ||||
- | - | - | 도로및공항기술사 | ||||
건설재료시험기능사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 건설재료시험기사 | - | ||||
도화기능사 | - | - | - | ||||
- | - | - | 상하수도기술사 | ||||
석공기능사 | - | - | - | ||||
- | - | - | 수자원개발기술사 | ||||
잠수기능사 | 잠수산업기사 | 잠수기능장 | |||||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 - | - | → | - | |||
지도제작기능사 | - | - | - | ||||
지적기능사 | 지적산업기사 | 지적기사 | 지적기술사 | ||||
- | - | - | 지질및지반기술사 | ||||
- | - | 응용지질기사 | - | ||||
- | - | - | 철도기술사 | ||||
철도토목기능사 |
(2022년 폐지) |
철도토목기사 | - | ||||
측량기능사 | - | - | - | ||||
- |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술사 | ||||
콘크리트기능사 | 콘크리트산업기사 | 콘크리트기사 | - | ||||
- | - | - | 토목시공기술사 | ||||
- | - | - | 토목품질시험기술사 | ||||
항공사진기능사 | - | - | - | ||||
항로표지기능사 | 항로표지산업기사 | 항로표지기사 | - | ||||
- | - | - | 항만및해안기술사 | ||||
- | - | - | 해양기술사 | ||||
- | - | 해양공학기사 | - | ||||
- | - | 해양자원개발기사 | - | ||||
- | 해양조사산업기사 | - | - | ||||
- | - | 해양환경기사 | - | ||||
공간정보융합기능사 | 공간정보융합산업기사 | - | - |
지적기사 地籍技士 Engineer Cadastral Surveying |
|
중분류 | 142. 토목 |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
1. 개요
토지의 경계와 면적을 법률적으로 확정하는 기속측량으로써 지적측량 능력을 검증하는 시험본디 기사 시험 응시 자격은 관련 학과 학사 학위(또는 취득 예정자), 또는 현업에서 일정 기간 이상의 종사를 요구한다. 2012년 6월 7일 개정되고 2013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고용노동부고시 제2012-49호 " 국가기술자격의 종목별 관련학과 고시"( #)에 의하면 사실상 비관련학과 관련 응시제한이 폐지되었다.
1, 2, 3회차 시험이 실시되고 있다.
2. 시험방식
크게 필기와 실기로 구분된다. 필기는 4지선다형 객관식, 실기는 주관식 필답형 시험인 내업과 작업형 시험인 외업으로 나뉜다.필기의 경우 지적측량, 응용측량, 토지정보체계론, 지적학, 지적관계법규 각 분야 20문제, 총 100문제가 출제된다. 합격 필요 점수는 60점, 과락은 각 분야 40점 미만(7문제 이하)이다. 시험의 시간은 총 150분이다. 매년 3회(1, 2, 3회) 시험이 있다. 필기 합격자는 합격일로부터 2년동안 필기시험이 면제된다.
실기는 복합형으로 필답형인 내업과 작업형인 외업으로 구성된다. 내업은 전국 동일시간에 치르지만 외업의 경우 시험장마다 응시 날짜가 다르다. 내업은 B4 크기의 시험지로 3시간 동안 응시하며 외업은 주로 학교 운동장에서 응시하게 된다.
본 문단은 2017.1.1.〜2020.12.31.에 시행된 지적기사 출제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021.1.1.〜2024.12.31.에 실시되는 지적기사 출제기준은 '큐넷홈페이지-고객지원-자료실-출제기준'에서 '지적기사' 관련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2.1. 필기
2.1.1. 지적측량
- 빈출[1]: 각과 거리 측량, 지적삼각점측량 관측 및 계산
- 핵심[2]: 지적삼각보조점측량 관측 및 계산, 지적도근점 측량 관측 및 계산, 토지이동 측량 - 지적공부를 정리하지 않는 측량, 지적확정측량 - 경계점좌표 등록부 비치지역의 측량 방법
- 중요[3]: 지적측량의 목적과 대상, 면적측정 방법과 기준, 면적의 배분 및 결정, 제도의 기초 이론, 지적공부의 제도방법
2.1.2. 응용측량
- 빈출: 직접수준측량, 사진측량 일반, 수치사진측량
- 핵심: 간접수준측량, 지형의 표시, 곡선 설치법, 완화곡선 및 클로소이드, 위성측량 일반
- 중요: 지형측량 방법, 노선측량의 순서 및 방법, 갱내측량, 원격탐사
2.1.3. 토지정보체계론
- 빈출: 데이터의 종류 - 도형정보, 데이터베이스 - 자료관리, 토지정보체계 운용 및 활용 - 토지 관련 행정 분야
- 핵심: 데이터의 처리 - 입력,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의 표준화, 토지정보체계 운용 및 활용 - 지적공부 전산화
- 중요: 기타 모든 항목
2.1.4. 지적학
- 빈출: 우리나라 지적제도 - 지적사
- 핵심: 지적의 기본이념, 지적의 기본요소, 우리나라 지적제도 - 지적제도, 토지등록제도과 소유권과 지적측량, 지번
- 중요: 지적의 기능, 외국의 지적제도, 지목, 경계
2.1.5. 지적관계법규
- 빈출: 부동산등기법,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핵심: 지적공부의 등록사항, 토지의 이동, 토지의 이동신청 및 신고, 축척변경, 측량기술자
- 중요: 토지의 조사등록, 지목의 종류, 지적전산자료의 이용, 등록사항의 정정, 지적위원회, 도로명주소 [4]
2.2. 실기
2.2.1. 내업필답형
줄여서 '내업'이라 불리기도 한다. 총점은 55점으로 3시간 동안 치러진다.1. 지적삼각측량 및 삼각보조측량[5]
- 수평각 측점귀심 계산[6]
- 수평각 점표귀심 계산[7]
- 표고 계산[8]
- 평면거리 계산[9]
- 유심다각망 조정[10]
- 사각망 조정[11]
- 삽입망 조정[12]
- 삼각쇄 조정[13]
- 삼각망 정밀조정[14]
2. 지적도근측량[15]
- 배각법에 의한 도근측량[16]
- 방위각법에 의한 도근측량[17]
- 교회법에 의한 도근측량[18]
- 다각망 도선법에 의한 교점다각망(X, Y형)
- 다각망 도선법에 의한 교점다각망(H, A형)[19]
3. 수치(좌표) 측량
4. 세부측량
5. 응용측량
2.2.2. 외업작업형
1. 지적삼각측량(수평각 관측)[24]- 한 지점에서 세 지점을 관측하는 것이 특징
- 삼각형에서 2곳의 기지점 내각을 관측하는 경우
- 오각형에서 4곳의 기지점 내각을 관측하여 나머지 각을 관측 하는 경우
- A점에서 내각PAB, B점에서 내각ABC를 관측하는 경우.[26]
2021년 새롭게 도입.기존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에서 외업시험인 토탈스테이션으로 변경됨.[27]
- A, B, C점 3곳에서 기계를설치해 B C점의 좌표 / P S점의 수평거리, 좌표, 방위각 / R S점의 수평거리, 좌표, 방위각을 구한 뒤 최종적으로 PS의 거리를 구함
- 기지변이 ABC인 경우: P1, P2, Q1, Q2를 시준하여 구함
- 기지변이 ABCD인 경우[29] : P와 Q를 시준하여 주로 변 AP, DQ, PQ 등을 구함
3. 시험장소
필기시험이나 내업필답형의 경우 다른 기사 자격증과 같이 시험 응시 장소가 여유롭다. 그러나 외업작업형의 경우 지적측량 장비 특성상 관리 인원 부족, 희소성, 고가 등의 이유로 개설되지 않는 지역도 존재한다. 그러므로 미리 실기 장소와 교통편을 파악하는 것이 유익하다.3.1. 작업형 개설 장소[30]
- 매번 개설되지 않은 곳이 많으므로 사전에 큐넷 홈페이지참고 바람[31]
- 강원도: 강릉중앙고등학교,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 상지대학교[32]
- 경기도: 의정부공업고등학교,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 안양공업고등학교[33]
- 경상남도: 창원공업고등학교, 창원문성대학교
- 경상북도:
- 광주광역시: 광주공업고등학교
- 대구광역시: 대구과학대학, 경상공업고등학교
- 대전광역시: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동의공업고등학교
- 서울특별시:
- 인천광역시:
- 전라북도: 전주비전대학교
- 전라남도: 목포대학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국제대학교
- 충청남도: 충남도립대학교
- 충청북도: 증평공업고등학교, 충주공업고등학교[34]
[1]
2006~2016년 1회 평균 2문제 이상 출제됨
[2]
2006~2016년 1회 평균 1문제 이상 출제됨
[3]
2006~2016년 1회 평균 0.6문제 이상 출제됨
[4]
cbt로 전환되면서 자주 출제되고 있다
[5]
지적산업기사에서는 출제되지 않는 항목
[6]
야장이 주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음
[7]
야장이 주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음
[8]
야장이 주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음
[9]
예외적으로 지적산업기사에도 출제된 적이 있음. 출제 당시 야장과 함께 대입만 하면 풀수 있을 정도로 평이하게 나옴
[10]
삼각형 5개 유형, 삼각형 4개 유형 총 2가지가 주로 나온다. 이 중 삼각형 5개 유형은 망조정 중 평균적으로 가장 시간을 많이 할애하는 문제이다. 풀이방법은 망조정중 가장 쉬우나 적고 계산해야 할게 가장 많은 노가다유형이라 보면 된다.
[11]
하단 기선 유형, 대각선 기선 유형 총 2가지가 주로 나온다. 기선의 위치에 따라 구해야 하는 좌표의 순서가 다르다 그리고 기선이 하단이 아니라 상단에 나올 수도 있으니 주의를 요함.
[12]
삼각형 3개유형, 삼각형 2개유형, 삼각형 2개 겹침유형 총 3가지가 주로 나온다. 이 중 삼각형 2개 겹침유형은 각규약 조정이 나머지 2개 유형과 다르니 주의를 요함
[13]
삼각형 3개유형, 삼각형 4개유형 총 2가지가 주로 나온다. 망조정 중 가장 까다로운 유형이다. 특히 각규약이 꽤나 까다롭기 때문에 각규약에 중점을 두어 학습할 것을 권한다.
[14]
여담으로 출제빈도가 상당히 낮고 해설을 봐도 이해가 잘 안가는 어려운 유형이다. 그래서 수험생 상당수가 아예 이 부분을 버리고 가는 편이다. 하지만 엄연히 출제가 된 적이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완벽한 55점을 노리는 수험생이라면 해설을 꼼꼼하게 볼 것을 권장하며 이 부분을 버릴 수험생이라면 다른파트를 완벽하게 학습할 것을 권장한다.
[15]
지적기사에서는 배각법과 방위각법에 의한 도근측량은 거의 출제 되지 않고 있는 반면 산업기사에는 거의 100%에 가까운 확률로 출제되고 있음
[16]
산업기사 출제유형이며 기사에는 거의 안나온다고 보면 된다.
[17]
산업기사 출제유형이며 기사에는 거의 안나온다고 보면 된다.
[18]
산업기사 출제유형이며 기사에는 아주 가끔 야장없이 쉽게 나오기때문에 내각을 구하는 방법 정도는 알아두는 게 좋다.
[19]
지적산업기사에는 거의 출제 되지 않았음
[20]
야장이 주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음
[21]
야장이 주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음
[22]
산업기사 빈출이며 기사에는 아주 가끔 나온다고 생각하면 된다.
[23]
산업기사 빈출이며 기사에는 아주 가끔 나온다고 생각하면 된다.
[24]
관측 자체는 기계설치가 1번뿐이고 조작법이 간단한 트렌싯(디지털데오돌라이트)을 사용하기때문에 어렵지 않으나 야장작성방법이 복잡하니 실수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5]
방위각 관측(별칭 : w 갈매기형)은 주로 지적산업기사에서 이루어짐, 수험생들이 가장 할만하다고 느끼는 과목이다. 조작법이 간단한 트렌싯을 사용하고 기기설치도 2회뿐이고 야장작성법도 간단하기 때문이다. 다만, 5각형 유형이 나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26]
2023년기준 1, 2, 3회차 모두 이 유형이 출제되었다.
[27]
수험생들이 가장 어려워하고 시간이 가장 부족하다고 느끼는 과제이므로 시간관리에 신경쓸 것.
[28]
측침을 구하지 못한 경우 바늘침이나 주사기침으로 대체하여 응시하기도 함
[29]
일반적으로 이 형태가 많음
[30]
별도의 각주가 없는 경우 2018년 3회 정기 기사 시험 기준
[31]
큐넷 홈페이지-기술자격시험-원서접수-원서접수현황
[32]
2020년 2회 정기 기사 개설 시험장
[33]
2020년 1회 정기 기사 개설 시험장
[34]
2021년 2회 정기 기사 개설 시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