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Unisex name[1]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어색하지 않게 쓸 수 있는 이름. 부모들이 아이가 예로부터 이어지는 성 관념에 구애받지 않고[2] 자유롭게 자라나길 바라나는 소망을 담아 작명하는 경우가 많다. 중성적인 이름 대부분은 남자보다 여자에게 더 많이 쓰이는 경향이 있다.[3] 20세기 이후 전 세계에서 많이 사용되는 부류에 속한 이름이다.
물론 중성적 이름이 아닌 대다수가 남성인 '승원', '우진', '현수', '성민' 같은 이름은 남성적 이름, 대다수가 여성인 '지수', '태희', '수빈', '유진' 같은 여성적 이름도 반대 성별에게 쓰이기도 한다.[4]
중성적인 이름은 많고, 같은 중성적인 이름이라도 어감(보통 성씨와의 조합)에 따라 갈리지만[5] 대체로 여성의 비율이 더 높은 이름이 많은 편이다. 여성의 비율이 더 높은 중성적인 이름은 지수, 지우, 지민, 수민, 유빈, 유진, 등.[6] 중성적 이름 중 남성 비율이 높은 이름은 '정민' 이 대표적이며 경민, 우주, 주영, 정현, 서진, 현진, 규빈 등도 있다.
중성적인 이름 중 대다수는 개명 비율로는 여성이 높다. 특히 여성의 비율이 높다면 개명으로써는 여성의 비율이 압도적이며 남성의 비율이 높아도 어지간해서는 여성의 개명이 더 많으며 80%를 넘어가는 남성적이라 볼 수 있는 이름에서만 남성의 개명 숫자가 더 많다. 심지어 남성적인 이름도 극단적이지 않는 이상 개명 비율이 여성에게도 어느 정도 된다.[7] 이는 개명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2~3배 더 많이 하기 때문이다. 당연하지만 그냥 여자 이름은 개명은 대부분이 여자이다.
중성적인 이름에 많이 사용되는 글자는 '민'이 대표적이며 '영', '지', '진', '수', '현', '경', '율', '하', '주', '윤', '정', '빈', '원', '세', '해', '안', '온' 등이 있다. 위의 글자들은 남자, 여자 모두에게 많이 사용되고 어색하지 않은 글자다.[8]
더 많은 쪽 성별에게 쓰이는 비율이 대략 60% 이하라면 완전한 남녀 공용 이름이며, 남자/여자 이름이라 하기엔 어색하다. 60~75% 정도라면 애매하고 75~90%는 반대 성별에서는 볼 수 있는 수준이기는 하지만 남자/여자 이름이라는 인식도 있고, 90%를 넘어가면 대부분의 사람이 남녀 공용 이름이 아닌 것으로 본다. 99% 이상이면 완벽히 남자/여자 이름으로 여겨지며 이 경우 아무리 흔한 이름이라도 반대쪽 성별에선 보기 정말 매우 힘들다.
자동으로 문서가 업데이트되지 않으므로 완전히 맞지 않을 수 있다.
이름, 동명이인 문서도 참고하면 좋다.
2. 사례
문서가 지나치게 길어지면 폭주할 우려가 있으므로 실제 나무위키에서 문서가 만들어진 이름만 작성할 것.2.1. 대한민국
주로 순우리말 이름인 경우와 이름에 음성모음[9]과 비음 받침[10]을 쓸 경우에 자주 나타난다. 외자 이름 중에서도 이런 이름이 꽤 있다.공통 각주 기준
[A] 남성의 비율이 조금 높은 경우.(60~75%)
[B] 남성의 비율이 다소 높은 경우.(75~90%)
[C] 남성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경우.(90% 이상)
[D] 여성의 비율이 조금 높은 경우.(60~75%)
[E] 여성의 비율이 다소 높은 경우.(75~90%)
[F] 여성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경우.(90% 이상)
[G] 남녀 비율이 비슷한 경우.(50~60%)
[B] 남성의 비율이 다소 높은 경우.(75~90%)
[C] 남성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경우.(90% 이상)
[D] 여성의 비율이 조금 높은 경우.(60~75%)
[E] 여성의 비율이 다소 높은 경우.(75~90%)
[F] 여성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경우.(90% 이상)
[G] 남녀 비율이 비슷한 경우.(50~60%)
- 가람[G]
- 가온[G]
- 가우[A]
- 가을[D]
- 강은[G]
- 겨레[A]
- 겨울[D]
- 경민[B]
- 경빈[A]
- 경윤[A]
- 경연[D]
- 경원[A]
- 경은[F][31]
- 경주[G]
- 경진[A]
- 규민[B][35]
- 규은[E]
- 규빈[A][38]
- 규진[B][40]
- 규연[G]
- 규영[B]
- 규원[A]
- 규인[A]
- 근출[E][46]
- 금선[D]
- 기연[G]
- 기영[B]
- 기은[G]
- 나오[A]
- 노아[C]
- 노을[D]
- 누리[D]
- 다민[D]
- 다빈[E]
- 다온[G]
- 다원[D]
- 다운[G]
- 다율[E]
- 다현[F][62]
- 도연[D]
- 도영[B]
- 두리[A]
- 리안[E]
- 라온[G]
- 로운[B]
- 루다[E]
- 린[F][71]
- 마오[G]
- 마음[G]
- 믿음[B]
- 명진[C]
- 미루[D]
- 미르[B]
- 미오[F]
- 미준[A]
- 민[A][81]
- 민서[E]
- 민수[C][84]
- 민영[D]
- 민재[C]
- 민주[E]
- 바다[G]
- 보경[F]
- 보영[F]
- 보현[D]
- 사이[G]
- 상은[G]
- 상희[G]
- 서우[G]
- 서원[G]
- 서율[D]
- 서빈[D]
- 서진[A]
- 서현[F]
- 서하[E]
- 석희[B][103]
- 선우[B]
- 선진[G]
- 성경[E]
- 성민[C]
- 성연[G]
- 성원[C]
- 성은[E]
- 성주[B][112]
- 성지[G]
- 성희[E]
- 성화[G]
- 세빈[E]
- 세영[D]
- 세윤[A]
- 세원[G]
- 세진[A]
- 세현[A]
- 시경[A][123]
- 시언[A]
- 솔[D]
- 솔민[G]
- 수민[E]
- 수빈[F][129]
- 수인[E]
- 수안[D]
- 수완[B][133]
- 수영[D]
- 수원[A]
- 수현[G]
- 승리[B]
- 승연[D]
- 승원[C][140]
- 승주[A]
- 승지[D]
- 승현[B]
- 승희[E]
- 시영[G]
- 시온[A]
- 시우[B]
- 시원[B]
- 시윤[A]
- 시율[A]
- 시현[G]
- 신영[D]
- 아람[E]
- 어진[A]
- 여름[E]
- 예담[D]
- 예람[E]
- 예성[C]
- 예안[D]
- 인서[D]
- 연수[D]
- 연우[G]
- 연재[D]
- 영진[C]
- 영주[D]
- 연진[E]
- 영현[B]
- 요나[G][169]
- 요우[G]
- 우경[A]
- 우린[D]
- 우연[G]
- 우영[B]
- 우진[C]
- 우정[D]
- 우주[B][178]
- 원경[D]
- 원순[C]
- 원영[A][182]
- 원진[C]
- 원정[D]
- 원주[G]
- 원희[G]
- 유담[A]
- 유람[E]
- 유민[D]
- 유비[D][191]
- 유빈[E]
- 유건[C]
- 유안[G]
- 유하[E]
- 유원[G]
- 유진[E]
- 유현[A]
- 율[A]
- 온유[A]
- 윤[A]
- 윤서[E]
- 윤영[E]
- 은결[A]
- 은성[A]
- 은수[G]
- 은우[B][208]
- 은율[G]
- 은재[D]
- 은호[C]
- 의진[A]
- 이현[A]
- 인영[E]
- 인하[G]
- 장은[G]
- 재경[A]
- 재아[D]
- 재연[G]
- 재영[C]
- 재은[F]
- 재이[E]
- 재인[D][224]
- 재정[B]
- 재희[G]
- 진홍[B]
- 정[A]
- 정민[A][230]
- 정빈[A]
- 정안[A]
- 정인[D]
- 정우[C]
- 정원[G]
- 정윤[D]
- 정은[F][238]
- 정하[G]
- 정현[A][241]
- 정희[E][243]
- 주경[G]
- 주빈[G]
- 주영[A]
- 주연[F]
- 주원[B]
- 주현[G]
- 준희[A][251]
- 지민[D][253]
- 지수[E][255]
- 지안[D]
- 지오[B]
- 지우[D][259]
- 지율[G]
- 지원[D]
- 지현[E]
- 지호[B]
- 지후[B]
- 지환[C]
- 진[G][267]
- 진서[G][269]
- 진솔[G]
- 진영[A]
- 진유[G]
- 진하[A]
- 진화[D]
- 채민[D]
- 채영[F][277]
- 채현[E]
- 태경[B]
- 태연[D][281]
- 태영[B]
- 태은[E]
- 태이[G]
- 태인[B]
- 태자[G]
- 태희[E][288]
- 하늘[G]
- 하루[G]
- 하람[A]
- 하민[A]
- 하빈[G]
- 하원[D]
- 하온[G]
- 하윤[E]
- 하율[D]
- 하진[A]
- 한경[A]
- 한결[C]
- 한별[E]
- 한서[A]
- 한솔[A]
- 한울[B]
- 해민[G]
- 해진[G]
- 해영[D]
- 혜성[A][309]
- 혜준[B]
- 현[B]
- 현영[F]
- 현서[G]
- 현수[C]
- 현진[A]
- 형은[G]
- 호연[B]
- 환희[B]
- 효민[D]
- 효빈[E]
- 효성[B]
- 효진[E]
- 희망[G]
- 희선[F]
- 희수[G]
- 희연[F][327]
- 희원[D]
- 희주[F]
2.2. 일본
- 나기사
- 나오
- 나츠
- 나츠메
- 나츠키
- 나오토
- 레이
- 렌
- 료
- 루카
- 리오
- 리츠
- 린
- 마사미
- 마오
- 마유
- 마코토
- 마후유
- 마히로
- 마히루
- 메구미
- 모토미
- 무츠키
- 무쿠로
- 미나미
- 미라이
- 미사오
- 미오
- 미즈키
- 미츠루
- 미츠키
- 미치루
- 미코토
- 뱌쿠야
- 사쿠라[330]
- 사쿠야
- 세나
- 세츠나
- 세카이
- 시노부
- 시온
- 시즈쿠
- 시호
- 소라
- 스바루
- 아스카
- 아유무
- 아키
- 아키라
- 에무
- 요우
- 유( 유우)
- 유마( 유우마)
- 유즈루
- 유키( 유우키)
- 이오리
- 이즈미
- 이츠키
- 츠바사
- 츠바키
- 츠카사
- 치아키
- 치카루
- 치히로
- 토오루
- 카나메
- 카나타
- 카나데[331]
- 카에데
- 카오루
- 카즈미
- 카츠미
- 케이
- 코요미
- 코우
- 하루
- 하루카
- 하루히
- 히나타
- 히로
- 히비키
- 히지리
- 히카루
- 히카리
- 후부키
2.3. 서양
서양의 남녀 공용 이름은 '남성형과 여성형의 발음은 같고 표기는 다른' 경우가 왕왕 있다. 혹은 같은 애칭을 남성형의 애칭으로 쓰기도 하고 여성형의 애칭으로 쓰기도 한다.- 니콜[332]/ 니키
- 다니엘[333]
- 도미니크[334]
- 라일리
- 랜디[335]
- 레슬리
- 레이븐[D]
- 로리
- 로빈[337]
- 로사리오
- 루[338]
- 루이스
- 르네[339]
- 린[340]
- 마르셀[341]
- 매디슨[342]
- 맥스[343]
- 메릴
- 미셸[344]
- 모건
- 발레리
- 바비/ 밥[345]
- 버니[346]
- 베일리
- 블레어
- 블레이크
- 사샤/ 샌디/ 알렉스[347]
- 샘[348]
- 세이지
- 스테이시
- 아리엘[349]
- 안드레아[350]/ 앤디[351]
- 애슐리[352]
- 에블린
- 예가네
- 윈터
- 윌로우
- 재키[353]
- 제시
- 제이미[354]
- 조던
- 조이[355]
- 줄리안[356][357]
- 찰리
- 카메론
- 카미유
- 카일
- 케네디
- 케리
- 켈리
- 코리
- 콜린
- 크리스
- 클레르/ 클레어[358]
- 클로드
- 킴벌리
- 테리[359]
- 테일러
- 트레이시
- 헤이든
- 힐러리
[1]
epicene name, gender-neutral name, androgynous name으로도 쓰일 수 있다.
[2]
예를 들어
테일러 스위프트의 부모님은 딸이 사업가가 되길 바라며 명함만 보고 여자라고 무시당할 수 있는 여지를 없애기 위해 중성적인 느낌의 테일러 (Taylor)라는 이름을 붙여줬다.
[3]
딸이 여자라고 이름만 보고 남들에게 무시당할 수 없다는 이미지를 심어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4]
성별에 어울리지 않는 이름은 개명의 사유가 되기도 하나, 이런 이름은 그 정도까지 어울리지 않는다고 하기에는 다소 애매하다. 만약에 여성의 이름이 '혁'이 들어있거나 '동훈', '동환', '용환', '재훈', '재호', '용호', '동호', '성훈', '동준', '환준', '재준', '용준', '완준', '준환', '준호', '민준' 같이 극단적인 남성 이름이거나, 남성의 이름이 '숙' 이 들어있거나 '서연', '지연', '소연', '나연', '채연', '가연', '다연', '혜연', '가은', '다은', '예린', '혜린' 같이 극단적인 여성 이름이라면 대부분 개명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이름은 이름만 봐도 성별을 알 수 있고 반대 성별을 가진 사람들이 정말 극소수에 불과하다.
[5]
대표적으로 외자 이름 중 하나인 민이 있다. 대부분의 성씨는 여성에게도(특히 조씨) 잘 어울리지만 강씨는 예외이다. 이름이 '강민'인데 여자라면 누가 봐도 남자 이름같기 때문이다.
[6]
허나 시간이 흐를수록 남자아이 이름에 중성적인 이름이 더욱 많아지고 있기는 한데, 마초적인 남자다움에서 벗어난 예쁘고 귀여운 남자 이미지가 대세로 자리잡힌 것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7]
대표적으로 시원, 우주 등이 있다. 출생 비율로는 남성이 80% 이상이지만 개명 비율은 거의 반반이다.
[8]
물론 당연히 조합이 있듯이 이 글자들이 있어도 완전한 남자 이름이나 완전한 여자 이름도 있다. 다만 위의 글자만 보면 남녀 모두에게 많이 보인다. 반대로 그런 조합이 없더라도 반대되는 글자의 조합으로 중성적 이름을 만들 수 있다.
[9]
특히 'ㅓ', 'ㅕ', 'ㅜ', 'ㅠ', 'ㅡ'와 이 모음들이 들어간 이중모음.
[10]
주로 'ㄴ', 'ㅇ'
[A]
남성의 비율이 조금 높다.(60~75%)
[B]
남성의 비율이 다소 높다.(75~90%)
[C]
남성의 비율이 매우 높다.(90% 이상)
[D]
여성의 비율이 조금 높다.(60~75%)
[E]
여성의 비율이 다소 높다.(75~90%)
[F]
여성의 비율이 매우 높다.(90% 이상)
[G]
남녀 비율이 비슷하다.(50~60%)
[G]
[G]
[A]
[D]
[G]
[A]
[D]
[B]
[A]
[A]
[D]
[A]
[F]
[31]
여성에게 많이 쓰이나
문경은,
노경은과 같이 남성에게도 가끔 쓰인다.
[G]
[A]
[B]
[35]
남자 유명인으로는 보이그룹
쏘디악 멤버
규민이 있고 여자 유명인으로는
백규민이 있다.
[E]
[A]
[38]
남자 유명인으로는 보이그룹
제로베이스원 멤버
김규빈이 있고 여자 유명인으로는 가수
규빈가 있다.
[B]
[40]
남자 유명인으로는
신규진이 있고 여자 유명인으로는 걸그룹
엔믹스 멤버
규진이 있다.
[G]
[B]
[A]
[A]
[E]
[46]
2008년 이후 출생자는 단 1명도 쓰이지 않지만(개명도 0명) 1970년대 출생자까지는 어느 정도 보인 이름이다.
해병문학의
황근출이 유명해 진 것도 있고 어감 자체도 단단한 느낌이라 얼핏 보면 남자 이름 같지만 오히려 여자가 더 많이 쓰인다.
[D]
[G]
[B]
[G]
[A]
[C]
[D]
[D]
[D]
[E]
[G]
[D]
[G]
[E]
[F]
[62]
여성의 비율이 절대적으로 높으나 보따
조다현과 같이 남성에게도 가끔 쓰인다.
[D]
[B]
[A]
[E]
[G]
[B]
[E]
[F]
[71]
한자 표기가
옥빛 린이나
맑을 린이라면 대부분 여자 이름으로 쓰이지만
굳셀 린이나
기린 린 등의 다른 글자가 사용된 경우 남자에게도 쓰인다. 물론 절대적인 것은 아니라서 남성임에도 옥빛 린을 쓴다던가 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기타리스트
황린은 남성임에도 옥빛 린을 쓴다.
[G]
[G]
[B]
[C]
[D]
[B]
[F]
[A]
[A]
[81]
준, 현, 훈, 율, 봄, 건, 찬 과 같이 흔한 외자 이름으로 남자가 더 많이 쓰이지만 여자도 흔히 쓰는 이름이다. 다만, 강씨는 대부분 남자한테만 쓰인다.
[E]
[C]
[84]
남성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지만 아주 드물게 여성에게도 쓰인다.
[D]
[C]
[E]
[G]
[F]
[F]
[D]
[G]
[G]
[G]
[G]
[G]
[D]
[D]
[A]
[F]
[E]
[B]
[103]
흔히 쓰는 이름은 아니지만
J사를 대표하는 앵커와
여자 쇼트트랙을 대표하는 간판이 있어서인지 체감상 흔히 보인다.
[B]
[G]
[E]
[C]
[G]
[C]
[E]
[B]
[112]
저기 북쪽 나라에서는
그분의 본명과 겹치기 때문에 사용 불가능.
[G]
[E]
[G]
[E]
[D]
[A]
[G]
[A]
[A]
[A]
[123]
한국에서 가장 유명인은 남성인
성시경. 그 밖에도
주시경이 있다.
[A]
[D]
[G]
[E]
[F]
[129]
여성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긴 하지만 남자한테도 쓰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
[E]
[D]
[B]
[133]
남성의 비율이 높긴 하지만, 매우 남성적인 어감과 다르게 영어 단어 Swan의
음차로 여겨지는지 여성 이름으로도 다소 쓰인다.
동갑내기 과외하기의 작가이자 동명의 주인공 이름인 이수완이나 유명 여성 드라마 작가 진수완,
엔젤아이즈의 여주인공 윤수완 등. 하지만 이름이 비슷한 수환은 확실한 남자 이름이다.
[D]
[A]
[G]
[B]
[D]
[C]
[140]
남성 비율이 매우 높으나 가수
오승원 등 드물게 여성 이름으로도 쓰인다.
[A]
[D]
[B]
[E]
[G]
[A]
[B]
[B]
[A]
[A]
[G]
[D]
[E]
[A]
[E]
[D]
[E]
[C]
[D]
[D]
[D]
[G]
[D]
[C]
[D]
[E]
[B]
[G]
[169]
성경 인물이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기독교 가정의 아들에게 이 이름을 붙여 주는데 종교와 상관없이 단순 어감 때문에 여자 이름으로도 많이 쓰인다.
[G]
[A]
[D]
[G]
[B]
[C]
[D]
[B]
[178]
중성적인 이름의 대명사라는 얘기가 있지만 2008년 이후 출생자 중 이 이름을 가진 사람의 약 85%는 남성으로 남성의 비율이 높다.
[D]
[C]
[A]
[182]
아이브
장원영과 정치인
양이원영이 유명해서 그렇지 남성의 비율이 더 높다. 앞 케이스의 경우
그의 친언니도 아래 서술되어 있다.
[C]
[D]
[G]
[G]
[A]
[E]
[D]
[D]
[191]
여성의 느낌이 꽤 강하지만 삼국지의 유비가 유명하기 때문에 남성에게도 많이 짓는다.
[E]
[C]
[G]
[E]
[G]
[E]
[A]
[A]
[A]
[A]
[E]
[E]
[A]
[A]
[G]
[B]
[208]
2010년대 초반 출생자까지는 남자, 여자 모두 비율이 크게 차이 나지 않는 중성적인 이름이지만 2010년대 중반 이후 차은우, 정은우의 영향으로 남성에게 작명 빈도가 크게 늘어났고 2022년 이후로는 슈돌 김은우의 영향도 받아 요즘 태어나는 애들은 남성의 비율이 훨씬 높다.
[G]
[D]
[C]
[A]
[A]
[E]
[G]
[G]
[A]
[D]
[G]
[C]
[F]
[E]
[D]
[224]
영미권 여자 이름 Jane과 같은 발음때문에 여성의 비율이 높으나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재인은 남성인
문재인.
[B]
[G]
[B]
[A]
[A]
[230]
중성적인 이름의 대명사로 남녀 가리지 않고 흔히 쓰는 이름이다. 남성의 비율이 약간 높은 편이다.
[A]
[A]
[D]
[C]
[G]
[D]
[F]
[238]
여성의 비율이 압도적이며 남자 정은은
윗동네에 사는 지도자가 가장 유명하고(남한에서는
서정은이 있다.) 여자 정은은
배우가 가장 유명하다. 북한에서는 아예 일반인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는 데다 이미 쓰고 있는 사람은 죄다 개명하게 했고
남자 한 명만 있다.
[G]
[A]
[241]
남성의 비율이 조금 높지만, 여성에게도 많이 쓰인다.
[E]
[243]
여성 비율이 높지만, 남자 정희는 추사
김정희 및 전 대통령
박정희, 가수
이정이 있다. 박정희는 당대에 '푸른 기와집에 정희와
영수가 사는데 누가 남자고 누가 여자게?'라는 우스개가 유행하기도 했다고 한다.
[G]
[G]
[A]
[F]
[B]
[G]
[A]
[251]
'준'자가 들어간 이름에서 보기 드물게 중성적이다. 남성의 비율이 조금 더 높긴 하다. 여자 유명인으로는 예명이지만
고준희가 있고
최진실의 딸
최준희와 현재는 가수
주니엘이 최서아로 개명하기 전 이름이 최준희였다.
[D]
[253]
남성도 많지만 여성에게 더 많이 쓰이는 이름이다. 여성 유명인으로는 배우
한지민,
AOA의
신지민, 코미디언
김지민,
aespa의
유지민, 남성 유명인으로는
방탄소년단의
박지민 등이 있다.
[E]
[255]
여자 연예인 중에서는
블랙핑크의
지수,
버스터즈의
정지수,
러블리즈의
서지수가 있고, 남자 연예인 중에는
세븐틴의
조슈아의 한국 이름인 홍지수,
우왁굳의 배우
장지수가 있다.
[D]
[B]
[D]
[259]
여성의 비율이 높지만, 남성에게도 많이 쓰인다. 2008년 이후 출생자 기준 남녀 통틀어서 대한민국에서 가장 흔히 보이는 이름이다.
[G]
[D]
[E]
[B]
[B]
[C]
[G]
[267]
둘 다 예명이긴 하지만, 보이그룹
방탄소년단에
진이 있고 여가수 중에서도
진이 있다. 본명으로는 정치인
박진이 있다.
[G]
[269]
남성이 많을 것 같지만 의외로 남녀 비율이 비슷하다.
[G]
[A]
[G]
[A]
[D]
[D]
[F]
[277]
여성의 비율이 절대적으로 높은 이름이나,
나주 임씨 한정으로 채(采)◯
항렬 (31세손)으로 인해 남성에게도 종종 볼 수 있다.
[E]
[B]
[D]
[281]
유명인의 영향을 받은 사례 중 하나로 2000년대 중반 출생자까지는 남성의 비율이 더 높았으나 소녀시대 태연이 뜬 이후에 태어난 출생자는 여성의 비율이 크게 높아졌다.
소녀시대
태연과 야구 선수
김태연이 있다.
[B]
[E]
[G]
[B]
[G]
[E]
[288]
과거에는 남자가 약간 더 많았으나,
김태희가 뜬 이후로는 여자가 확실히 많아졌다.
[G]
[G]
[A]
[A]
[G]
[D]
[G]
[E]
[D]
[A]
[A]
[C]
[E]
[A]
[A]
[B]
[G]
[G]
[D]
[A]
[309]
'혜'자가 들어간 이름 중 혜준과 같이 남성 비율이 높은 보기 드문 이름.
[B]
[B]
[F]
[G]
[C]
[A]
[G]
[B]
[B]
[D]
[E]
[B]
[E]
[G]
[F]
[G]
[F]
[327]
여성의 비율이 높지만,
조희연 같이 남성에게도 쓰이는 이름이다. 이 쪽은 창녕 조씨 25세손 圭○, 喜○, 基○ 항렬을 써서 이렇게 지어진 것이다.
[D]
[F]
[330]
사실, 사쿠라는 여자아이 이름의 비중이 매우 높긴 하다.
[331]
절대다수가 여자 이름이다.
[332]
남녀 모두 쓰기는 하지만 대체로 남성은 'Nicole'의 원형인 Nicolas/Nicholas나 축약형인 'Nick'을 더 많이 쓴다.
[333]
남자는 Daniel, 여자는 Danielle인데 둘 다 발음은 똑같다. 허나 전자는 강세를 앞쪽에, 후자는 뒤쪽에 준다.
[334]
발음은 같으나 형태는 다르다. 남성형은 Dominic, 여성형은 Dominique
[335]
원래는 남자 이름이지만 글로벌 시대의 영어이름 사전에 따르자면, 1960년대~70년대 사이에 느긋하고 편안한 느낌의 여성 이름으로 자주 쓰이게 되었다고 한다.
[D]
[337]
Robyn이면 무조건 여자 이름이다. 대표적인 예가
리아나하고
로빈 미리암 칼손이 있다.
[338]
남자는 Louis, 여자는 Louise/Louisa의 애칭으로 쓰인다.
[339]
발음상의 차이가 없기는 하지만 여성은 'e'를 덧붙여 표기한다. 그러니까 남성형은 René, 여성형은 Renée가 된다.
[340]
보통 여자 이름으로 알려져 있지만 한때 남자에게 쓰인 적이 있었다.
[341]
발음상의 차이가 없기는 하지만 여성은 '~le'를 덧붙여 표기한다. 그러니까 남성형은 Marcel, 여성형은 Marcelle이 된다.
[342]
남자에게서는 잘 찾아보기 힘든 이름이지만 여자 이름으로는 미국에서 가장 인기 많은 여자아이 이름 2위까지 거머쥔 적이 있다. 한국의
서현과 포지션이 비슷하다 할 수 있다.
[343]
남자는 Maximilian 아니면 Maxwell, 여자는 Maxine의 애칭으로 쓰인다
[344]
발음상의 차이가 없기는 하지만 여성은 'e'를 덧붙여 표기한다. 그러니까 남성형은 Michel, 여성형은 Michelle이 된다. 하지만 영어인 경우 거의 100% 여성이다.
[345]
남자는 Robert, 여자는 Barbara의 애칭으로 쓰인다. 하지만 영문 철자는 Bobby, Barbie로 각각 다르다.
[346]
남자는 Bernard, 여자는 Bernardette의 애칭으로 쓰인다.
[347]
남성형 Alexander/여성형 Alexandra에서 유래.
[348]
남성형 Samuel/여성형 Samantha에서 유래.
[349]
여자는 Arielle로 쓰기도 한다.
[350]
하지만 이탈리아어인 경우 거의 100% 남성이다.
[351]
남성형 Andrew/여성형 Andrea에서 유래
[352]
1980년도 이후로는 주로 여성 이름으로 쓰인다.
[353]
표기는 남녀 공용은 Jackie, 여자 한정으로 Jacqui로 쓰인다. 남자는 잭(Jack)이나 재커라이어(Zachraiah), 여자는
재클린(Jacqueline)의 애칭이다.
[354]
남녀 모두에게 쓰이지만 남자는 Jamie, 여자한테 쓰일 때에는 Jaimie나 Jaime가 더 자주 쓰인다.
[355]
"즐거운" 이라는 뜻으로 한국의 "
라온"과 매우 비슷한 뜻을 담고있다. 그러나 여성의 비율이 꽤 높다.
[356]
정확하게는 남자에게 쓰일 때에는 Julian 또는 Julien으로, 여자에게 쓰일 때는 Julianne이 맞는다.
[357]
그리고 지금은 아니지만 과거에는
Julian이라는 표기가 남녀 모두에게 쓰였다.
[358]
남성형 Clair, 여성형 Claire
[359]
여성형은
테레사의 애칭으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