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2 13:33:56

종가

1. 큰집2. 1에 비유하여, 어떤 분야의 원조격인 곳3. 대상의 김치 브랜드4. 임금이 탄 수레를 모시고 따르던 일5. 증권 시장에서, 그날의 마지막에 이루어진 가격6. 교도소를 말하는 은어

1. 큰집

장남으로만 대대로 이어온 집을 말한다.[1] 종가를 다시 대종(大宗)과 소종(小宗)으로 나눌 수 있다. 대종은 적장자(嫡長子) 상속을 통해 무한히 이어져나가는 집안이고, 소종은 대종의 집안에서 갈라져 나간 것으로, 소종의 종손 기준으로 같은 고조부(高祖父)에게서 나온 일족이 한 소종 집단이 되며 그 소종이 계속 이어져 대종이 되고 또 다른 소종이 분가하는 방식이다. 즉, 대종과 소종은 상대적인 개념이고 종손집도 기본적으로 다른 대종에서 갈라진 소종이 중요인물을 배출하게 되면 그 인물의 공통 자손이라는 독자적인 정체성을 가지면서 새로운 대종이 되는 것이고 그 대종으로부터 소종이 계속해서 갈라지는 식이다. 증조부 이하의 조상을 같이하는 소종의 종가는 흔히 큰집으로 부르고, 고조부를 같이하는 소종의 종가를 소종가로 부른다. 또, 종법에는 없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대종과 소종 사이에 집단적 동질성을 가지는 친족집단으로서 파종(派宗)이 있다. 그러한 파종의 종가를 파종가(派宗家)라고 한다.[2]

종가라는 개념은 주나라 때의 종법제도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주나라의 봉건제도가 종법에 기원을 두는데, 주 왕실이 대종이 되고, 각 제후국은 소종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주나라 종법제도의 세계관에서 국가는 가문과 별개로 독립된 실체가 아니라 종법질서가 확장된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실상 종가라 하면 단순히 몇 대째 장남으로 내려온 집안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불천위를 모시는 집안의 소위 큰집을 일컫는다. 전국에 불천위 제사를 모시는 집이 정확히 몇 집인지는 통계가 없으나, 대략 수백여 집안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구 조선이 멸망하고 나서 대한민국 정부에서 국불천위를 추가로 더 지정하는 일은 없고, 유림 차원에서 추대하는 불천위도 1960년대 이후로는 새로 추대하지 않으니 관습적인 것이다.

종가의 가주를 종손(宗孫), 그 아내를 종부(宗婦)라고 부른다. 종손은 남계 장남이 잇는 것이었다. 만약 종손에게 대를 이을 아들이 없을 경우 형제 등 가까운 일가의 조카뻘 항렬이 되는 자를 양자로 들이기도 했었다.[3] 보통 양자는 차남의 아들, 3남의 아들 중에서 들이지만, 차남에게 아들이 있더라도 아들이 하나인 경우에는 다른 형제의 양자로 보내지 않고 3남의 아들에게로 우선권이 넘어간다. 자기보다 형에게 양자로 보낼 경우에는 큰아들을 양자로 보내고, 동생에게 양자로 보낼 경우에는 작은아들을 양자로 보냄이 원칙이다. 차남, 삼남 모두 아들이 하나일 경우, 먼 친척 중에서 들이는 경우도 많았다.

그리고 양자를 아무나 들이는게 아니라 같은 문중의 아들 항렬에서 들여야 하므로, 애당초 큰아들로만 내려온 종가집에서 양자로 들이는 대상이 되는 후보 자체가 그렇게 많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보통 종손이 큰아들로만 내려와서 세대가 넘어가는 속도가 해당 문중에서 가장 빠른 편이므로, 문중 전체에서 가장 항렬이 낮은 경우가 흔했고, 그런 이유로 종가에 양자로 입적할 수 있는 자손들 또한 대부분 같은 문중 내의 또 다른 종갓집 가지에서만 태어나다시피 했기 때문이다. 굳이 양자를 들이지 않으면 차선으로 차남의 아들이 승계하고, 그렇게도 안 되면 차차선으로 3남의 아들이 승계해 나가기도 한다. 그러나 양자를 들이지 않고 차남의 아들이 승계하는 경우, 엄밀히 말하면 '종손'이 아니다. 그 경우 종손은 단절된걸로 본다. 다만 제사를 맡으면서 봉사손 노릇을 하는 경우, 사실상의 큰집이 되기는 한다,

종손과 종부가 하는 일에는 2가지가 있는데, 조상의 제사를 받드는 봉제사(奉祭祀), 그리고 손님을 맞이하는 접빈객(接賓客)이다.

꽃다운 20살에 종부가 되어
600년 내려 온 종가집 예법 따라
조상님께 누가 될까 이 가문에 폐가 될까
숙명처럼 살아온 종부의 길이여
하늘이 내 맘 알고 땅이나 내 맘 알지
이 가슴 태운 속을 누가 알리요
몸가짐 언행 하나 조심하면서
꽃처럼 곱던 얼굴 백발이 다 되도록
외로워도 말 못하고 괴로워도 참아내며
오직 한 길 지켜온 종부의 길이여
하늘이 내 맘 알고 땅이나 내 맘 알지
한 많은 그 사연을 그 누가 알리요

가수 정희라[4]의 노래, < 종부의 길>. 종부의 어렵고 막중한 삶에 대한 노래이다.[5]

종가나 종손의 개념[6]은 법적인 보장을 받는 것은 아니고, 단지 관습적인 것에 불과하다.[7] 과거의 종손은 본래 종족통리권(宗族統理權)도 가지고 있었고 유명인의 종손은 각별한 대우를 받았으나, 현재는 그러한 관념은 퇴색되었다.

따라서 개인주의 평등주의가 널리 퍼진 현대에는 여성들이 종부가 되기를 꺼리는 경우가 많아 이 때문에 종손들이 결혼에 애를 먹고 있기도 하다. 종가의 안주인(또는 며느리)으로서의 져야 할 책임으로 자신의 생활을 포기해야 하다시피 한 데에 비해, 그에 따른 대우나 보상이 없다시피 하기 때문. 종부와 종가의 며느리들 또한 자신의 생활을 가질 권리가 있으며, 단순히 종가의 사람이란 이유로 이를 희생해야 할 의무는 없기 때문이다. 사실 옛날에는 특히 종가쯤 되는 집이면 음식 만들기나 제사 뒤치다꺼리는 집안 하인들 몫이었는데,[8] 신분제가 무너진데다가, 식모도 1970년대와 80년대를 거쳐 사라지면서 종부가 부엌데기로 전락해버려서 그렇다. [9] 문화가 일부분은 바뀌었는데 일부분은 그대로라서 생기는 문제. 즉 권한은 없어질 대로 없어지고 노비들이 담당했던 의무만 지게 된 거다.

이외에도 고유의 가전(家傳) 기술[10][11]을 보유한 집안의 가장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때 종가는 가문의 기술의 보호 및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외부에 개방할지를 의사결정하는 등 막중한 책임을 지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기술 유지는 가내 기술이 발달한 일본에서 쉽게 발견되고, 한국이나 중국에도 많이 존재한다.

대중매체에서 종가의 이미지는 대체적으로 보수적인 면이 강한데, 일종의 클리셰가 정해져 있다. 가령 새로 들어오는 여성(주로 종부로 들어오는 여주인공)에게 "너 같은 근본도 없는 년이 들어온다고? 난 반댈세!!"라거나, 현대 여성들처럼 행동을 하면 "종가의 며느리가 이게 무슨 꼴이냐?!"라며 못마땅해 하다가 그러다가 나중에는 인정을 하고 받아 들이는 식이 많다. 또한 과거 조상들이 붕당이나 개인적인 원한 등의 이유로 인해 사이가 나쁜 관계라면 로미오와 줄리엣 급.[12]

과거에는 명망 있는 가문이라면 딸이나 누이를 종가에 종부로 시집보내기 위해 혈안이 돼 있었는데, 그렇다고 당시에도 여성들에게 종부가 매력적인 자리였던 것은 아니었다. 경제적으로 안정된다해도 짊어져야 할 책임이 많기 때문에 명문가 맏며느리 자리 자체가 기피되고 있었고, 종가라면 말할 나위도 없었다. 하지만 당시는 혼인 당사자의 희망과는 상관없이, 가문의 이해관계에 따라 어른들이 시키는 대로 혼인하던 시대였다. 싫어도 어쩔 수가 없는 일이었다.

실제로 부모에게 아무 말도 못 들었는데 시집 와보니 남편이 종손이었다는 황당한 사례(...)도 있고, 퇴계 이황 가문 종손의 딸로 태어난 이점숙은 어려서부터 종부로서 희생하는 어머니의 모습을 보며 자신은 절대로 종가에 시집가지 않겠다고 생각했지만, 할아버지의 강요로 어쩔 수 없이 이황의 수제자인 학봉 김성일 가문의 종부가 되었다고 한다.

때문에 자유연애가 보편화되어 결혼 상대자를 스스로 결정하게 되고 산업화가 급속도로 발전한 1970년대를 기점으로 시작해, 종가는 결혼 기피 대상이 되어버렸다.[13] 형제가 전부 남자라면 더 말할 것도 없다. 1960년대생들부터가 점점 종가 및 전통문화를 기피하며, 캠퍼스에서 낭만을 꿈꾸며 자유연애를 하던 신세대 여대생이 등장한 시기였는데 이제 1960년대생들은 전부 60대이며, 여자면 대부분 시어머니, 장모가 되어가는 나이이다. 현재 20대는 그 윗세대인 30~40대하고도 세대갈등을 겪는 시기인데, 종가문화를 들이대는 순간 기겁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2009년 MBC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한국의 종가를 찾아서>를 보면 종가집 고명아들이 등장하는데, 이 사람은 연애 3년차임에도 여자친구한테 자신이 종가집, 그것도 고명아들이라는 사실을 차마 밝히지 못하고 있었다.

토지개혁 이전에는 종가이면 소작농을 두는 지역의 토호였고, 토지개혁이 진행되고나서도 농촌인구 비율이 높던 1980년대까지도 해당 지역에서는 나름대로 지역유지 노릇을 했다.[14], 그러나 농촌의 젊은층들이 대도시와 그 근교지역으로 몰리면서 이촌향도가 진행될대로 진행되고 농촌 인구가 극심하게 감소된 현대에 와서는 시골의 토호라고 해봤자 토지세만 축내는 싸구려 부동산에 지나지 않아 가차 없이 기피대상이다. 게다가 오래 전에 한옥으로 지은 종택에서 생활하는 경우 종택이 문화재로 지정된 경우도 많아, 집 수리 수준에서도 애로가 꽃피는 것은 기본이다.[15] 하도 종가집에 대한 결혼 기피가 심하다 보니, 젊은 종가집 후손[16]들은 본가인 종가와의 인연을 거부하며, 심지어는 명절에 찾아가지도 않는다. 사실상 종가라고 해봐야 옛날처럼 권력이나 부유한 토지가 있는 것도 아니고, 후손들에게 제공할 메리트도 크지 않기 때문에 종가집 문화는 빠른 속도로 소멸되고 있다. 결혼 적령기 자녀를 둔 종부들은 자기 대에서 악습을 끊고 자녀들을 결혼시키기 위해서 일부러 자녀들을 명절에 부르지 않으며, 종가집 어른들에 대해서도 적대적으로 대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17][18] 현재 젊은 세대에서는 여성은 물론 남성들도 종가집 문화를 매우 혐오하고 싫어한다. 특히 종가집 문화의 경우, 중노년 및 노년 세대들조차도 대부분 혀를 내두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전통문화는 젊은 세대에게 철저히 외면당하고 버려지고 있으며, 기성 세대 또한 과거의 고압적인 자세를 다소 내려놓는 추세이다. 이미 어르신들조차도 종가집과 같은 과거의 가부장적인 전통문화가 이제 비웃음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으며, 목소리를 거의 내지 못하고 있다. 그래도 노인을 공경하던 문화가 잔재로 남아있던 30~40대와는 다르게 10~20대는 불합리함을 당하거나 노인들이 부조리를 행사하려 하면 거리낌없이 주먹이나 흉기, 둔기 등의 물리력을 행사하려 하므로 노인들이 이 문서를 볼 경우, 아래 세대, 젊은 세대는 특히 주의해서 대해야 한다.[19]

또한 종가집들의 특징중 하나로 종부한테 아들을 낳게 해주는 방법이랍시고 이상한 음식이나 한약, 혐오음식을 먹으라고 하는 등 되도않는 미신에 심취한 것도 특징이라 더더욱 혐오를 받는 것이다. 당연한 얘기지만 아들을 낳게해주는 약이나 음식 같은건 없으며, 자녀의 성별은 정자가 결정한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밝혀진지 오래다.

게다가 기껏 종가집에 시집갔더니 딸을 낳고 아들을 낳지 못했단 이유로 구박하는 일도 많고, 거기다 종가집들이 자신들은 가문의 대를 이어갈 아들이 필요하다면서 남아선호사상을 가지면서 정작 남의 집에 대해선 자신들의 집안으로 시집 와줄 딸을 낳아주길 바라니 위선도 이런 위선이 없다.

종가집에서 며느리가 아들을 낳지 못하고 딸을 낳았단 이유로 며느리를 구박했다가 정작 종손인 아들이 자신의 배우자 편에 서서 부모한테 자기 배우자를 이런 되도않는 이유로 구박한 것에 대해 따지고 대들다가 결국 부모와 자식의 관계가 매우 나빠지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그래도 2010년대 들어서는 전통은 남기면서 허례허식은 정리하는 사례도 생겨나고 있다. 일단 제삿상을 간소화하는 건 기본. 율곡 이이의 종가는 일산신도시 아파트에 있으며[20], 고성 이씨 종가는 2002년 원래 종가 임청각을 국가에 기증하고 아파트로 갔을 뿐만 아니라 1994년 각종 제사를 하루에 몰아서 하기로 결정했다. 코로나19 시대에는 퇴계 이황의 종가에서 제사를 으로 지냈으며, 어떤 종가에서는 음복을 도시락으로 대신하기도 했다. 다만 2024년 이후로 알려진 사실로는 엄혹한 저출산과 결혼기피로 인해, 상당수의 종가 본가들은 대가 끊겼으며, 방계만이 어찌저찌 유지하는 곳이 많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게 억지로 유지하려던 집안문화와 대가 사회의 변화에 따라 소멸되고 있는 것이다.

2. 1에 비유하여, 어떤 분야의 원조격인 곳

예를 들면, "축구종가 잉글랜드" 같은 표현을 쓴다.

3. 대상의 김치 브랜드

파일:종가 BI.svg
홈페이지
대상의 브랜드. 옛 이름인 종가집이라고 하면 대부분 알아듣는다.

1987년 두산이 만든 브랜드였으나 두산의 중공업화 전략에 따라 2006년 대상이 인수했다.

종가집이라는 브랜드 이름은 일종의 고유명사로 취급하여 허용되겠지만, '가()' 자체가 집을 의미하기 때문에 '역전 앞', '생일날' 같이 중복된 표현이다.

1987년부터 김치 판매를 시작하였고,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선수단에게 김치 공급을 하였다. 2012 런던 올림픽 때에도 올림픽 선수단에게 김치를 공급했기 때문에, 그때 올림픽파크 선수촌에 머문 한국 선수들의 증언에서 김치가 먹을만하다는 이 있었는데 그 포장김치가 이것을 한국에서 공수해온 것이었다.

2001년부터 20년 넘게 김치 브랜드파워 1위를 차지할 정도로 시판 김치중에서는 본좌격 브랜드로 통한다. 그만큼 비싸고 종류도 많은 편이다.

내수용 브랜드는 종가집, 해외 판매용 브랜드는 종가로 구분되어 있었으나 2022년 10월 18일부로 국내, 해외 상관 없이 종가로 명칭을 통일했다.

2023년 9월부터 아이돌 그룹 세븐틴 호시 앰버서더를 맡고 있다.

4. 임금이 탄 수레를 모시고 따르던 일

從駕

5. 증권 시장에서, 그날의 마지막에 이루어진 가격

終價

6. 교도소를 말하는 은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교도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즉, 시조 이래 모든 대수가 장남이어야 하므로 매우 드물며 시간이 갈수록 적어진다. 보통 큰집이라 하면 제사를 지내는 범위인 한 고조부 아래에서 4대째 장남까지 내려오는 집안인 소종을 일컫는다. [2] ▶ 출처/자료제공: 「종가 (宗家)」,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2888),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 발췌(2024.03.01.기준) [3] 다만 사후(死後) 양자 제도는 1990년 민법 개정으로 폐지되었다. [4] 신문을 보지 등을 부른 그 가수다! [5] 대중적으로 알려진 노래들이 섹드립이나 음담패설들이 많아서라 그렇지 정희라는 해학적이고 풍자적인 노래들도 많이 부른다. 아니 애초에 성적인 해학이 섹드립이잖아 [6] 종가나 종손은 세월이 흐름에 따라서 늘어났고, 그 기준이 자기의 직계를 기준으로 하므로 웬만하면 제사를 지낸다. [7] 다만 족보, 제사용구, 선산의 상속은 제사주재자로서 보장하고 있다. [8] 조선시대에서는 노비제가 있었고 종가는 당연히 부유했다. 종가는 가문의 제사를 모시고 제사를 모시려면 재력이 있어야 했기 때문 설령 재력이 없더라도 종가가 망하면 가문 자체가 망하는 거였기에 어지간하면 분가, 방계에서 도와줬다. [9] 다만 이전에도 집안의 식문화의 중심이 되는 을 담그거나, 제사나 중요한 잔치에 쓰일 을 빚는 등의 중요한 일은 종부가 직접 나서야 했다. [10] 이를테면 무술이나 무형문화재 등 [11] 대부분 현대에 쓸모없어진 기술들이 많다. 씨간장 등은 현대 식품위생의 관점으로 보면 상당히 위험한 음식이다. 아플라톡신 등 독성포자를 가진 곰팡이가 같이 배양될 수도 있다. 그리고 무술 또한 대부분 역사와 출처를 알수도 없고 실전성은 전혀 없으며, 체조로서도 가치가 없는 출처불명의 댄스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12] 실제로도 이런 예가 있다. 특히 사화 환국 정치 등으로 인해 가문이 쑥대밭이 날 정도였다면 그 후손들, 특히 피해자 측 집안의 후손 입장에서는 도저히 혼인 자체가 불가능할 지경. 대표적인 예가 경상도 남인 종가와 서인- 노론 집안 간의 갈등이 있다. 이것을 약간 전문용어로는 세대를 이어오는 혐오라 해서 세혐(世嫌)이라고 한다. [13] 결혼이 워낙 신중한 생각이 필요한 절차다 보니 지역적인 요인, 마마보이, 장남, 장손이 제일 싫다고 하는데, 하필이면 장손의 상위호환이 바로 종갓집 장손(장현손, 4대째 이상 장남)이기 때문. 이로 인하여 장남이나 장손이 나머지 동생들보다 더 늦게 결혼하거나 종갓집에서 결혼을 하지 못하여 대가 끊기는 경우가 나머지 서열보다 더 많다. [14] 과거에는 종가에 시집가면 시부모들이 아이를 되도록이면 많이 낳으라고 강요하는데, 이유는 일손이 부족해서라고(...) 실제로도 형제 많은 집안을 보면 종가집 출신인 케이스가 많다고 한다. 물론 이때는 딱히 종부가 아니라해도 다산을 복된일이라고 여기던 관습이 강해서 자녀 다섯은 기본적으로 낳던것이 일반적인 시절이었다. 영아사망률이 낮아진 1960년대와 70년대에 인구가 매년 2% 이상씩 올라갔던 근본적인 이유로, 산아제한 정책이 강압적으로 진행되었던 이유였기도 했다. 다만 이걸 80년대에도 지속해서 문제일뿐이었지 [15]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에서 문화재청장 시절 일화를 밝힌 적이 있는데, 전국의 종부들을 초청하여 간담회를 열었더니, 그 동안 속으로만 삭이며 꾹 참고 살았던 종부들의 각종 불만사항이 폭발했다고 한다. [16] 이라고 해봐야 결혼적령기 자녀를 둔 60대 초중반. [17] 심지어는 60대가 된 막내종부들이 80, 90대 시아버지들을 폭행하는 경우도 보고된다고 한다. 신체적, 정신적으로 쇠약해진 시아버지, 시어머니를 학대하는 경우도 많이 보인다고 한다. 믈론 육체적, 정신적으로 약해진 노인들을 폭행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지만, 이들이 한 짓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업보인 부분도 있다. [18] 여성이 60대가 되면 남성호르몬이 나오기 시작하고, 80, 90대 시아버지 시어머니에 비해 육체적임은 물론이고 자식들에게 목소리도 훨씬 크며, 사회 물정도 많이 알아 사실상 며느리에게 버림받으면 비참한 죽음밖에 선택지가 없다. 따라서 거의 눈치를 보면서 조용히 살지 않으면 안되는 시대이다. [19] 특히 10~20대는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경기침체, 경제저성장 등의 피해를 직접적으로 보는 세대이므로 윗 세대에 대한 피해의식이 상당하다. 그만큼 기회를 많이 박탈당한 세대가 맞으므로, 괜한 꼰대짓은 삼가도록 하는것이 여러모로 좋다. [20] 원래 집성촌이 황해도 해주였다가 1947년 월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