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8 17:07:25

제주도순환궤도

제주순환궤도에서 넘어옴
1. 개요2. 1929-1931년 운행했던 협궤 인차철도
2.1. 개통 이전2.2. 운행 당시2.3. 역 목록2.4. 폐업 이후
3. 2016년 이후 논의되는 1공항-2공항 연결 교통수단

1. 개요

제주특별자치도를 순환하는( 순환선) 철도( 궤도) 교통수단.

2. 1929-1931년 운행했던 협궤 인차철도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제주도순환궤도.jpg 파일:제주도순환궤도.png
개통 구간 전체 계획

당시 전라남도 제주도에서 과거 운행했었던 협궤 철도노선. 개통 당시 운행 구간은 협재역~ 제주역~ 김녕역 구간이었다.

2.1. 개통 이전

1927년 5월 16일, 야마모토 마사토시(山本政敏, 산본정민)라는 사람이 126리[1]의 수압궤도( 인차철도) 건설을 위해 250만원을 출자해 '제주도순환궤도회사'를 만들며 목하도청( 조선총독부)에 부설을 신청했다. 당시 동아일보

1927년 8월 19일, 에이조 나카야마(中山榮造, 중산영조) 원상해일일신문의 편집장이 철도국에 정식신청했다. 경편철도로, 제주도의 풍부한 해산물, 농축산물 화물운송용으로도 기대되자 일반 대중의 관심도 크게 끌었다. 조선우신회사(당시 한반도와 제주도의 우편을 운송하던 회사)도 구체적인 협정을 맺었다. 당시 동아일보

1928년 8월 24일, 제주 해안을 따라 순환궤도를 계획하고 진행해왔었으며, 김녕~협재리의 30리(11.8km)를 건설하는 것으로 공사시행 인가를 신청했었다고 보도되었다.

1928년 11월 14일, 착공 보도가 나왔다. 봄부터 측량 및 계획은 이미 진행되어 왔고, 11월 초에 일본에서 사장(마사토시 씨)과 다수의 사원들, 그리고 건설재료들이 도착하여 5일부터 공사를 개시했고, 6일엔 영목도사(제주도지사)를 포함한 200여명을 초청해 기공식을 열었다. 당시 동아일보

1929년 9월 6일 가영업을 시작했고, 11월 5일 정식 영업을 시작했다. 시운전의 감사 종료에 시간이 2달 소요된 것이다. 10월 31일 보도, 11월 1일 보도

2.2. 운행 당시

파일:제주순환궤도.jpg 파일:재주순환궤도(2).jpg
  • 궤간 610mm ( 협궤) 인차철도
  • 종료 당시 총 연장 57.0km - 제주~김녕 23.9km, 제주~협재 31.8km, 제주~읍내 1.3km
  • 개통 당시 역 수 7개 - 제주-조천-김녕, 제주-사수-애월-한림-협재
  • 개통 당시 건설비 75만원
  • 향후 제주도 순환선으로 193.1km까지 계획했으며, 완공 뒤 제주-모슬포(서부차부), 제주-성산포(동부차부), 모슬포-성산포(남부차부) 3개 영업소 분할 담당 예정이었음.
  • 차종은 포드(Ford)사의 4인승 및 8인승의 도로꼬(トロッコ)라 불리는 궤도화차( 인차철도)를 이용했다. 후에 16인승→25인승, 1940년대 30인승, 1943년에 30대 내외였다. #

2.3. 역 목록

제주도순환궤도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본선 : 협재
- - - - - - - -
지선 : 제주
-
취소선:폐역
}}}}}}}}}
  • 내도역, 이호역, 사수역은 일부 자료에만 있다.
  • 성산포역, 서귀포역, 모슬포역은 계획으로만 있었다. #
  • 추후 2차 구간으로 협재~모슬포(18리), 김녕~성산포(13리), 3차 구간으로 성산포~모슬포(40리)를 계획했으나 무산되었다.

2.4. 폐업 이후

1931년 9월 16일, 사고 다발로 인해 2년만에 영업을 중단했다. 철길을 걷어내고 나서 소로를 확장하는데 썼고 현재는 제주도 일주도로 노선의 일부가 되었다. 기본적으로는 화물용 노선이었지만 당시에는 사람이 타고 다니기도 했었다. 다만 영업을 중단하기는 했지만 화물운반용으로 일부 노선(한림항~옹포리)은 해방 전후까지도 존속해 있었다.

2024년 시점, 제주항 부근 중국 피난선이 있는 용진교 부근에 '수압식 철도 터'라는 작은 비석 하나가 남아 있다.

3. 2016년 이후 논의되는 1공항-2공항 연결 교통수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주 제2공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주특별자치도/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2016년 1월, 현덕규 새누리당 예비후보가 제주공항에서 제주 제2공항까지 모노레일을 제안하며 이를 '하늘열차'라 이름 붙였다. #
  • 2016년 6월, 원희룡 제주지사가 제주 제2공항에서 제주시까지 15km의 연결할 신교통수단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
  • 2017년 5월, 12회 제주포럼에서 제주시 서귀포시를 잇는 40km의 자기부상열차를 건설할 경우 1.6조원이 소요될 것이라는 결과가 발표되었다. #
  • 2019년 3월, 제주관광학회가 2가지 광역철도 노선 안을 제안했다. 하나는 제주도순환궤도에 일부 내륙쪽 차량기지/지선을 두는 방식, 하나는 1공항-2공항-서귀포만을 연결하는 방식이다. #
  • 2019년 5월, 제주 제2공항에서 제주시까지 15km의 연결할 신교통수단들의 큰 비용이 지적받는다. #
  • 2022년 6월, 제주도가 제주도 학술용역심의위원회에 트램 도입의 사전타당성 용역을 내년 6월까지 맡겼다. 제주시 도심 외에도 서귀포시 도심, 신화역사공원, 영어교육도시, 제주 전역 등 트램의 도입가능성 여부와, 재정/민자 방식을 문의했다. #
  • 2023년 9월, 오영훈 제주지사가 제주도심 트램을 놓은 뒤, 이후 제주도순환궤도를 건설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
  • 2023년 11월, 조항웅 인트랜 대표가 한국철도학회에서 "고가철도의 자기부상열차로 1공항-2공항을 60분 내 연결 제안", "제주시 도심에선 서광로~번영로로 놓아, 신제주교차로와 국립박물관사거리에서 수소트램과 환승하게끔 제안" 등을 말했다.[2]


[1] 1 리(단위)는 400m 가량이다. 즉 50.4km. [2] 다만 질의응답에서 '고가철도'는 좋지만, '자기부상열차' 방식은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가 풍속 15m/s만 되어도 정지되었던만큼, 차라리 고속철도로 지어야 하며, 고속철도 건설비가 자기부상열차 건설비의 2배이므로 경제성을 다시 검토해보시라는 반론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