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0 19:07:37

정만석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의 행정 관료에 대한 내용은 정만석(행정 관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순조 ~ 고종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306대

이시수
제307대

서용보
제308대

이시수
제309대

서매수
제310대

한용구
제311대

서용보
제312대

이시수
제313대

김재찬
제314대

한용구
제315대

김재찬
제316대

김사목
제317대

남공철
제318·319대

이상황
제320대

이존수
제321·322·323대

이상황
제324대

심상규
제325대

홍석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25대

홍석주
제326대

박종훈
제327대

김홍근
제328대

정원용
제329대

권돈인
제330·331대

김도희
}}}
제330·331대

김도희
제332대

박종훈
제333대

김홍근
제334대

김홍근
제335대

이헌구
제336대

조두순
제337대

박회수
제338대

조두순
제339대

이유원
제340대

김병학
제341대

강로
제342대

이최응
제343·344대

김병국
제345대

송근수
제346대

김병국
제347대

김홍집
제348대

김병시
제349대

김홍집
제350대

김병시
제351대

김홍집
제352대

조병세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340대

서용보
제341대

김관주
제342대

이경일
제343대

김달순
제344대

서용보
제345대

김재찬
제346대

김사목
제347대

남공철
제348대

임한호
제349대

이서구
제350대

심상규
제351대

이존수
제352대

정만석
제353대

김이교
제354·355대

박종훈
제354·355대

박종훈
제356대

이지연
제357대

조인영
제358대

정원용
제359대

권돈인
제360대

김도희
제361대

박회수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62대

박영원
제363대

김좌근
제364·365·366대

조두순
}}}
제367대

이경재
제368대

임백경
제369대

류후조
제370대

홍순목
제371대

한계원
제372대

박규수
제373대

김병국
제374대

김병덕
제375대

심순택
제376대

김병시
제377대

김유연
제378대

조병세
제379·380·381·382대

정범조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숙헌공(肅獻公)
정만석
鄭晩錫
출생 1758년( 영조 34)
사망 1834년( 순조 34)
시호 숙헌(肅獻)
본관 온양 정씨
성보(成甫)
과재(過齋)
부모 부친 - 정기안(鄭基安, 1695 ~ 1767)
모친 - 김상정(金相鼎)의 딸

1. 소개2. 생애3. 평가4. 관련 문서

[clearfix]

1. 소개

조선 후기의 문신. 홍경래의 난을 수습한 인물이다.

2. 생애

1758( 영조 34)에 태어난 정만석은 1783년( 정조 7) 과거 급제하여 정계에 발을 들였다. 성균관전적(정6품)을 시작으로 병조참의(정3품)에 오른다. 1794년에는 호남·호서 암행어사를 맡아 명성을 떨쳤다. 1801년( 순조 1)에는 하정사[1] 자격으로 청나라에 파견되었다.[2] 조선으로 돌아온 정만석은 다시 경상우도암행어사를 거쳐 동래부사에 임명되었으며, 뇌물을 받고 서계[3]를 조작한 역관을 처벌하였다.

1811년 홍경래의 난이 발생하자 조정은 정만석을 위무사로 임명하여 평안도 민심을 수습하게 하였다. 이후 평안 감사가 되어 반란 관련 죄인들을 직접 문초하였으며, 사건의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여 임금에게 바쳤다. 난을 수습한 공로를 인정받았는지, 한성부판윤을 거쳐 호조판서,[4] 우의정자리까지 오르게 된다.

3. 평가

청백리 칭호를 얻은 인물이다. 또한 암행어사와 같이 외직에 있을 때는 선정을 베풀어 명성이 높았다. 다만 번거롭고 자질구레한 일에 집착하여 기본적이고 큰 맥락을 파악하는 능력은 떨어졌다는 평이 남아있다.

4. 관련 문서


[1] 새해를 축하하기 위하여 중국에 보내던 사신 [2] 이후 1819년 정만석은 다시 한번 청나라 사신으로 파견된다. [3] 조선시대 일본과의 공식외교문서, 여기서는 대마도와의 통신서계였다. [4] 지금의 경제부총리